
中외교부장, 尹대통령 대만발언 언급 후 “불장난하면 스스로 타 죽어”
친강 중국 외교부장이 무력에 의한 대만해협 현상변경에 반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최근 발언을 소개하며 “대만 문제에서 불장난을 하면 반드시 스스로 불에 타 죽는다[玩火者,必自焚]”고 경고했다. 이러한 거친 표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1·2022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과 통화에서 미국을 겨냥해 썼던 것이다. 중국이 대만 등 자국의 민감한 문제에서 미국과 보조를 맞추는 한국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압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친강은 21일 한 포럼의 연설에서 최근 ‘무력이나 협박으로 대만 해협 현상을 일방적으로 바꾸려 시도한다’ 등의 언급을 접했다면서 “이런 발언은 최소한의 국제 상식과 역사 정의에도 위배되며, 그 논리는 황당하고 결과는 위험할 것”이라고 했다. 직접적으로 이름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윤 대통령을 겨냥해 비판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친강은 이어 “(대만 관련해서) 우리는 절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며 “대만 문제에서 불장난을 하는 자는 반드시 스스로 불에 타 죽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친강의 발언은 지난 2021년 11월 시진핑이 바이든과의 첫 정상회담에서 했던 말과 일치하다. 당시 시진핑은 “미국 일각에서 대만으로 중국을 제압하려 하기 때문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이라며 “이런 추세는 매우 위험하고, 불장난을 하다 타 죽을 것”이라고 했다. 시진핑은 지난해 7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앞두고 바이든과 통화했을 때도 “불장난”이란 표현을 썼다.
중국은 지난 20일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에서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타인의 말참견[置喙]을 불허[不容]한다”고 비판했다. 해외 정상의 발언에 대해 외교적으로 결례가 되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왕원빈은 또 “북한과 한국은 모두 유엔에 가입한 주권 국가로, 한반도 문제와 대만 문제는 성격과 경위가 완전히 달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라고 했다. 중국이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보는 입장을 강조하며 한국 헌법과 남북 관계의 특수성을 부정한 것으로 풀이될 수 있는 발언이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중국의 국격을 의심케 하는 심각한 외교적 결례”라며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윤 대통령이 방미를 앞둔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일본과 대만 문제에서 보조를 맞추는 한국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교 소식통은 “우리 외교부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여전히 존중한다고 밝혔는데도 중국은 지나치게 반응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한국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는 것”고 했다.
중국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이 미국의 대중 압박에 적극 동참하게 될 가능성 또한 우려하고 있다. 특히 미중 경쟁의 핵심 분야인 반도체에서 한국이 대중 디커플링에 동참할지 여부를 주시할 전망이다.윤 대통령의 최근 대만 관련 발언이 ‘대만해협 평화 안정’ 요구에서 더 나아가 중국의 무력 통일 시도를 명확히 반대하는 메시지로 바뀌었다는 분석도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9일 게재된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대만 해협 긴장 상황에 대해 “이런 긴장은 무력으로 현상을 바꾸려는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했다.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bee@chosun.com
尹 대만문제 언급에 한·중간 거친 공방 “말참견 하지마” vs “외교적 결례“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만 문제에서 현상태(status quo)의 힘에 의한 변경을 반대한단 입장이 로이터통신에 보도된 것을 두고 한국과 중국 사이에 외교적 공방이 일어났다.
먼저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 있으며, 대만은 중국 영토의 불가분의 일부”라며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의 내정이며, 중국의 핵심 이익 중에서도 핵심”이라 주장했다.
그는 특히 “대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국인 자신의 일”이라면서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라고까지 했다.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표현은 지난 2월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이 사용했던 ‘부용치훼(不容置喙)’와 동일한 말이다. 당시 박진 외교부 장관이 CNN과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협에서 충돌이 빚어지더라도 한반도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언급하자 이에 대한 반박으로 나온 사자성어였다.
‘부용치훼’는 청(淸)대 작가 포송령의 작품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간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말로 풀이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타국 정상에게 이 표현을 사용한 것은 무척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이에 한국 외교부는 “입에 담을 수 없는 발언”이라 반발하며 “중국의 국격을 의심케 하는 심각한 외교적 결례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라 비판했다.
통상 한중관계를 고려해 강경한 의미의 단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 한국 정부가 예외적인 태도를 보여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저녁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다.
장 차관은 싱 대사에게 왕 대변인의 발언이 외교적 결례라 지적했으며, 한중관계 발전에 이번 사건이 지장이 되지 않도록 중국 측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외교가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일국의 외교부 대변인이 상대국 정상에게 거친 언사를 사용한 것은 외교적으로 용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호존중과 호혜를 늘 강조해왔던 중국의 기본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점 때문에 강력하게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윤 대통령이 대만 문제를 남북한 문제와 동급으로 빗댄 것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윤 대통령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대만 문제는 북한 문제처럼 중국과 대만 둘만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 문제”라고 했었다.
왕 대변인은 이에 대해 “북한과 한국은 모두 유엔에 가입한 주권 국가로, 한반도 문제와 대만 문제는 성질과 경위가 완전히 달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면서 “한국 측이 중한 수교 공동성명의 정신을 제대로 준수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엄수하며 대만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사실상 남북한을 아예 다른 별개의 나라로 간주하고 있는데, 윤 대통령이 인터뷰에서 자신들이 보기에 엄연히 다른 문제를 동일하게 본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한국 측의 입장은 지난 19일 한국 외교부 당국자의 설명에서 드러난다. 당시 이 당국자는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은 우리는 물론 지역·글로벌 평화·번영에 중요한 만큼 이러한 맥락에서 언급한 것”이라면서 “정부는 하나의 중국 존중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밝혔었다.
다시 말해 북핵 문제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의 문제가 됐듯이 양안 문제도 자칫 세계 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중국과 대만만의 문제가 아니란 인식을 드러낸 것일 뿐이라는 게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박준규 기자 pjk7000@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62815
中 친강 외교부장, “대만문제 불장난하면 타죽어” 尹 발언 겨냥, 극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