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천대유 돈벼락’ 시민 쌈짓돈인데… 이재명 “내 최대 치적”…증폭되는 성남 대장동 수천억 배당 의혹, 당장 수사해야
이렇게 말아먹나…대장동 사업맡은 ‘성남의뜰’ 은 K씨 개인지배회사,성남도시공사는 돈만 대고 경영배제
대장동 사업 공모 일주일 전에 설립된 화천대유와 공공이익이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된 성남의뜰 실소유주마저 한 언론사의 부국장 K씨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천대유는 K씨가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는 개인지배회사이며, 성남의뜰 보통주 매입도 K씨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공이익이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된 성남의뜰 실소유주는 사실상 K씨라는 것이다.
대장동 사업이란 2015년 이재명 지사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했을 당시, 특수목적법인(SPC)인 성남의뜰을 설립해 성남도시개발공사와 공동으로 추진한 개발 사업을 말한다.
성남의뜰은 택지 개발이익을 공공이 환수하겠다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이다. 그러나 당초 목적과는 다르게 성남의뜰 보통주를 보유한 화천대유(14.28%)와 SK증권(85.72%)에 최근 3년간 총 4000억원 가량의 배당금이 돌아가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우선주는 보통주와 달리 경영에서 배제된다. 성남의뜰 우선주 53.76%를 보유하고 있는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지난 3년간 1순위로 1822억원을 배당받은 것에 비해 보통주를 각각 14.28%, 85.72% 가진 화천대유와 SK증권은 각각 577억원, 3460억원 가량을 배당 받았다.
특히 SK증권 특정금전신탁을 통해 성남의뜰 보통주 85.72%를 매입한 7명 중 1명은 화천대유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는 한 언론사 부국장 K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정금전신탁이란 위탁자가 수탁자인 은행이나 증권사에 운용지시를 구체적으로 내릴 수 있어 SK증권은 사실상 대행사 정도에 불과하다. K씨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K씨가 모집한 개인 투자자들로, 이들은 ‘성남의뜰에 투자해달라’고 SK증권에 돈을 맡겼으며 그 이유는 주주로 이름을 올리면 신원이 공개될 것을 우려했거나 SK 간판을 빌려 의혹을 줄이기 위했을 것이란 추측이다.
화천대유가 성남의뜰 설립 단계에서 출자금 5000여만원으로 주주로 참여한 점도 일반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가 공모를 낸 해당 사업에 당시 3개 컨소시엄이 공모를 했는데, 화천대유가 지분 14.28%로 참여한 성남의뜰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성남의뜰은 하나 은행을 대표사로 두고 있어 업체 선정과정에서 수월하게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나아가 K씨가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대장동 사업 공모를 내기 일주일 전에 화천대유를 설립했다는 점, 사업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으로서 사업자 선정에 깊이 관여한 건설사 출신 인사가 현재 이재명 캠프에 몸 담고 있다는 점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현재 이 지사 측은 공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성남도시개발공사 측도 성남의뜰 컨소시엄은 적법한 절차를 거쳐 업체를 선정했다며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으며, 화천대유 측은 부동산 개발사업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생긴 억측이란 입장이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7652
“화천대유, 1% 지분으로 대장동 개발사업 모든 권한 가져” 성남시의회에선 사업관련 지적 이어져
이재명 “대장동 개발은 모범적 공익사업” 강변
수익환수금은 어디로? … 민원 이어지지만 지지부진한 대장동 송전탑 지중화사업
성남시의회 회의에서 잇다른 지적 … 위법사항 지적한 시민 세 차례 고발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7657
‘화천대유 돈벼락’ 시민 쌈짓돈인데… 이재명 “대장동 개발, 내 최대 치적”
‘화천대유’ 특혜 의혹 확산…이재명, 긴급 기자회견 열고 부인
5000만원 투자해 577억 배당 받은 ‘화천대유’엔 모르쇠로 일관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1/09/14/2021091400206.html
이재명, 대장동 ‘화천대유’ 비리 의혹에 강력 반발…”성남시장 시절 최대 치적”
긴급 기자회견 열어 제기된 의혹에 반박 나서
“민간 개발 사업을 공영 개발로 바꿔 개발이익 환수한 모범 사례”
“‘화천대유’는 명목상 만든 페이퍼컴퍼니, 실제 대주주는 하나은행”
“위험 감수하고 개발사들이 돈 융통해 사업 참여한 것…나는 내부 관계 모른다”
“화천대유 의혹 제기하는 사람들은 사업 시스템 이해 못하는 것”
의혹 최초 제기한 조선일보와 장기표 등에게 강력 경고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7650
증폭되는 성남 대장동 수천억 배당 의혹, 당장 수사해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성남시장 재직 시절이던 2015년 추진했던 ‘대장동 개발사업’이 특정 개인·업체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대장동 개발은 96만8890㎡ 에 5903가구를 건설한 1조1500억 원 규모 사업인데, 사업에 참여한 화천대유자산관리가 최근 3년간 577억 원의 배당금을 받은 것이 의혹의 핵심이다. 자본금 5000만 원인 이 업체는 성남도시개발공사의 사업 공모 일주일 전 설립됐고, 기자 출신 설립자 김 모 씨는 이 시장을 인터뷰했던 인연이 있다. 직원 16명인 화천대유 매출액은 2017년 18억 원에서 2020년 6970억 원, 영업이익은 2017년 16억 원 적자에서 2020년 1479억 원 흑자로 크게 늘었다.
대장동 개발사업 배당금은 SK증권에도 3463억 원이 흘러갔는데, 실제로 김 씨와 측근 등 7명이 수혜자라는 의혹도 있다. 이들이 SK증권 특정금전신탁을 통해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성남의뜰’ 보통주 85.72%를 3억 원에 매입했다는 것이다. 김경율 회계사는 이들이 사실상 총 3억5000만 원의 자본금으로 4040억 원의 배당 수익을 올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씨 등은 수백억 원을 투자하고, 수천억 원을 금융권에서 빌려 운영자금으로 썼다고 하지만 위험 부담이 거의 없는 공공사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지나친 수익이다.
이 지사 측은 “공모 등을 거쳐 적법하게 진행했고 특혜는 없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화천대유 측도 “부동산 개발사업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생긴 억측”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당시 이 시장이 “택지 개발 이익을 환수하겠다”며 추진한 사업의 배당금이 특정 업체, 특정인에게 집중된 것은 공공 환수 취지에 어긋난다. 또, 사업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으로서 사업자 선정 등 핵심 역할을 했던 건설사 출신 인사가 경기관광공사(차관급) 사장으로 영전한 뒤 현재 이재명 캠프에서 일하고 있다는 것도 의혹을 더하고 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는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고, 국민의힘은 “공수처가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논란이 더 확산하지 않도록 당장 수사에 착수해 진상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http://m.munhwa.com/mnews/view.html?no=202109140103351100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