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교육 예찬론자 김누리 교수는 독일 성교육의 부작용을 아는가?…중·고 교과서, 학생들에게 자위와 성관계를 사실상 권장

독일교육 예찬론자 김누리 교수는 독일 성교육의 부작용을 아는가?

독일 68 ‘소아성애적 안티파’의 성교육을 가장 중요한 정치교육으로 찬양해 온 김누리 교수(중앙대 독어독문과)는 독일 68세대 ‘성교육의 교황’이자 아이콘인 헬무트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 실험에 대해서 어떠한 입장인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성교육의 교황’이라는 표현은 최근 발간된 헬무트 켄틀러의 전기서적의 소개문구를 인용한 것입니다.

저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학문적 비판 차원에서 김누리 교수에 대해 이 같은 비판의 글을 게시합니다. 왜냐하면 소아성애란 사춘기 이전의 어린아이에게 성적 욕을 느끼는 비정상적이며 엽기적인 일이기에 소아성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공론화 과정에서 쉽게 배제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저의 글과 같은 맥락으로, 최근 헬무트 켄틀러 교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젊은 독일 여성 정치학자의 논문이 단행본으로 2021년 출간됐습니다. 동성애자인 헬무트 켄틀러 교수는 독일 개신교내에서 동성애 운동의 선구자로서 또한 동성애적 소아성애(남색) 실험을 주도한 인물입니다. 소아성애 실험이란, 헬무트 켄틀러 교수가 일종의 ‘퀴어 가족’을 구성해서 집 없는 아이들을 소아성애자 ‘돌봄아버지들’에게 넘겨주어서 소아성애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 엽기적인 사건입니다.

헬무트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 실험 배후에는 독일 전체에 걸친 소아성애자/남색자 네트워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드러나 독일 사회에 충격을 던졌으며 2021년 이 소아성애 네트워크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독일 사민당과 관련이 있는 독일 베를린 시의회에도 소아성애 네트워크가 존재해서 베를린 시당국과의 긴밀한 협조하에서 이루어진 실험이기에, 이 소아성애 게이트는 단지 켄틀러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소아성애적 성혁명의 최초의 이론가인 빌헬름 라이히의 책을 광범위하게 읽었던 독일 68세대 자체를 소아성애적 안티파라고 평가합니다.

21세기 독일 젊은 지성인들은 독일 68 선배들의 소아성애적 안티파에 대해서 자랑스러워하지 않고 부끄러워합니다. 그런데도 김누리 교수는 왜 한국 86과 독일 68을 관련시키면서 독일 68(소아성애적) 성혁명을 정치교육을 위한 중대한 모델로 주장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김누리 교수는 소아성애 문제에 대해서 응답해야 합니다. 독일 좌파진영의 젊은 지성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독일 녹색당의 젊은 대변인도 녹색당 주류에 의해서 시도되었던 소아성애 비범죄화 시도에 대해서 2014년 당대회에서 사과한 바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이 독일 그림책을 소개했는데, 40여명 이상의 분이 공유할 정도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주셨습니다. 독일 68 ‘성교육의 교황’인 헬무트 켄틀러 교수에 대해서 논의하지 않으면서 독일 68 성교육을 가장 중요한 정치교육적 모델로 김누리 교수께서 주장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빈약합니다.

2015년부터 공론화되기 시작한 성소수자 헬무트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은 2021년에는 국제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주류 언론도 이 문제를 다루어주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건강가정을 해체하고 ‘퀴어가족'(Queer Family)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안에 담겨져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퀴어 가족에 대한 자료가 많습니다. 하지만 헬무트 켄틀러 교수도 일종의 ‘퀴어 가족’의 “돌봄아버지들”에게 사회적 약자들인 8세 정도의 아이들을 맡겼는데, 그 돌봄아버지들이 거대한 네트워크를 가진 소아성애자들이었다는 사실이 폭로된 것입니다.

‘퀴어 가족’내에서의 소아성애와 근친상간과 같은 성폭력의 증가문제는 진지하게 논의되어져야 합니다.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안 국회 반대청원에도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헬무트 켄틀러 교수가 서문을 적은 그림책 ‘보여줘’의 표지

독일 성인지 성교육의 아버지이자 독일 68 ‘소아성애적 안티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헬무트 켄틀러 교수가 서문을 적은 그림책 “보여 줘”입니다. 이 책의 표지사진은 독일 68 ‘소아성애적 안티파’와 그 대표적 성혁명적 성교육 학자 헬무트 켄틀러 교수의 소아성애적인 조기성애화 전략을 잘 보여줍니다.

이 독일 그림책은 최근 문제가 된 서울시 교육청의 ‘나다움 어린이책’에 반영된 조기성애화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복음기도신문]

http://gnpnews.org/archives/88357

중·고 교과서, 학생들에게 자위와 성관계를 사실상 권장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가 성인지 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나다움 어린이책’ 3200권을 한부모 가족 800가구에게 지난달 23일 전달했다. 하지만 이 책들은 영유아기부터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양성평등’이 아니라 ‘성평등’ 의식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나다움 어린이책’ 선정 도서에는 “난 콘돔 끼면 잘 못 느끼겠어 별로야”, “자위는(중략) 절대 끊을 수 없었어” 등의 내용이 담긴 책, 심지어 콘돔, 피임약, 자궁 내 장치, 난관붙임술, 정관붙임술 등의 피임 방법을 소개하는 책도 포함됐다. 어린이가 보는 책에서부터 벌써 피임과 자위에 대한 내용이 등장한다면 그 이상 나이대의 다음세대가 보는 성교육 내용은 어떠할까.

놀랍게도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학생들에게 자위행위와 성관계를 권장하는 내용이 노골적으로 담겨 있다.

지구문화출판사의 중학교 보건교과서(2015) 76쪽에는 학생의 성관계를 위한 피임 교육 내용이 담겨 있다. 만화로 그려진 학생이 질문한다. “선생님, 우리 나이에 무슨 피임을 배워요?” “그럼 피임을 하면 우리도 성관계를 해도 되겠네요?” 그에 대한 선생의 대답으로 “부모가 될 준비가 안 된 상태인 청소년들이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될까봐 예방하려고 배우는 거랍니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청소년들의 성관계를 전제한 것으로 교과서에서 오히려 중학생의 성관계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생명인권학부모연합(생인학)은 2018년 12월에 교과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고등학교 시기 즈음은 가정을 꾸린 후 출산계획 차원을 전제로 피임을 교육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중학교에서 자세한 교육은 지나치게 이르다고 밝혔다. ‘보건’이나 ‘도덕·윤리’ 시간에는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가르치면서 피임을 가르치는 것은, ‘기술・가정’ 시간의 결혼과 출산을 전제로 한 관점의 피임 교육의 프레임을 무용지물로 만든다고 주장했다. 또 학교의 성에 관한 교육내용이 학생에게 바람직한 것이 어떤 것인가를 고려하지 않고 페미니즘이 주장하는 대로 추진하다 보니 비합리적으로 우왕좌왕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고등학교 보건교과서에도 콘돔, 먹는 피임약, 정관·난관수술 등의 여러 가지 피임법을 가르치고 있다. 이에 생인학은 “피임 교육이 성인이 된 다음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정관수술, 난관수술을 받으라는 것인가?”라며 반문했다. 그러면서 “성인이 된 다음을 위한 교육이라면 그것을 명시해야 하고, 요즘같이 인터넷에 각종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시대에 성인이 되면 자기에게 맞는 피임 방법은 스스로 정보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도의 피임 방법 교육은 도가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또 “학생 때는 성관계를 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성 윤리가 결여된 상태에서 성적 자기결정권이 있다고 가르치며 피임 방법을 교육하는 것은 학생 때 성관계를 열심히 하라는 독려이자 학생에게 부담감을 주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또한 교과서에서 자위행위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자세히 설명해 놓고 있어 절제보다는 성적 자극을 부추기고 있다. YBM의 중학교 보건교과서(2009) 103쪽에는 자위행위에 대해 “과거에는 이를 문제시하였으나 현재는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인식되며 이 때문에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생인학은 “중학교 교과서에서 자위를 바람직한 것으로 교육하고 있는데, 자위행위는 음란물의 이용을 수반하게 되므로 음란물을 보지 말라는 교육과 상충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음란물을 보면 공격성이 증가한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교육 때문에 실제로 대전의 한 중학교에서 수업 중에 학생들이 집단 자위행위를 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계속> [복음기도신문]

http://gnpnews.org/archives/6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