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체부, 파오차이 논란 끝낸다…”김치 중국어 번역은 ‘신치'”
앞으로 ‘김치’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는 ‘파오차이'(泡菜)가 아닌 ‘신기'(辛奇, 중국어 발음 ‘신치’)로 써야 한다. 김치가 중국식 절임음식인 파오차이와 다르다는 의미다. 김치와 비슷한 발음을 내는 글자를 찾다가 ‘신치’로 정했다. 김치가 중국음식이라는 말도 안되는 중국측 주장에 정부가 나선 것.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개정안이 22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 훈령에서는 기존 훈령에서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 용례로 제시했던 ‘파오차이(泡菜)’를 삭제하고, ‘신치’로 명시했다.
한국어와 달리 중국어에는 ‘기’, ‘김’ 소리를 내는 글자가 없어 김치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지 못한다.
이에 2013년 농식품부에서는 중국어 발음 분석, 중국 8대 방언 검토, 주중 대사관과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신치(辛奇)’를 마련한 바 있다.
문체부는 “중국어 번역 후보 용어에 16개 단어가 올라와 추가 검토를 거쳤다”며 “‘신치(辛奇)’는 김치와 발음이 유사하며, ‘맵고 신기하다’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김치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용어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개정된 훈령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하는 누리집, 홍보 자료 등에 적용된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훈령에 제시된 원칙대로 해외 홍보 자료 등을 제작한다.
이에 따라 관계 기관은 김치 관련 중국어 홍보 콘텐츠 등을 제작할 때 김치를 신치(辛奇)로 표기하게 된다. 한편 민간 부문에서는 해당 훈령 적용을 강제하지 않기 때문에 김치업계 및 관련 외식업계 등에서는 사업 환경에 따라 훈령을 참고해 번역·표기할 수 있다.
한편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김치를 판매하는 경우에 김치를 ‘신치(辛奇)’로 단독 표기할 수는 없다. 중국 식품안전국가표준(GB) 등 현지 법령상 중국 내에서 유통·판매되는 식품에는 제품의 ‘진실 속성(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명칭)’을 반영하는 표기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김치수출협의회 등 유관 단체를 통해 우리 수출기업들을 대상으로 신치(辛奇) 용어의 사용 가능 범위에 대해 자세히 안내할 계획이다.
김치 중국어 표기 신치 놓고… 中네티즌 “한국 지역의 김치일 뿐”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김치의 중국어 표기 ‘신치'(辛奇)에 대해 “한국 지역의 김치일 뿐”이라며 김치의 정통성은 중국에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온라인매체 시나닷컴은 지난 23일 “한국 정부가 한국식 김치(韓國泡菜·한국 파오차이)의 중국어 표기를 신치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우리 문화체육관광부는 22일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개정안’을 통해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신치’로 명시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대수롭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치의 정통성은 중국에 있고, ‘한국 김치’는 한국 지방에서 자주 먹는 김치일 뿐이라는 것이다.
한 네티즌은 “나는 신치 대신 ‘한국식 김치’라고 부르겠다”며 “김치는 우리의 것이니 (다른 지역의 김치에는) 해당 지역 명칭을 접두사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다른 네티즌들도 “한국산 김치라는 표현을 써라”, “공식 언어 명명권은 우리에게 있는데 한국이 뭐라고 하든지 상관없다”, “한국 김치와 중국 김치는 다르다” 등의 반응을 남겼다.
다른 네티즌은 “한청(汉城·서울의 옛 중문 명칭)이 서울(首尔·서우얼)로 바뀐 것과 같다”며 “의미 없는 행동”이라고 했다. 앞서 2005년 서울시는 ‘한청’ 대신 실제 서울과 발음이 비슷한 ‘서우얼’로 중국어 표기를 바꿨다. 명칭을 바꾼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다수 중국인이 서울을 옛 명칭으로 부르는 것처럼 ‘신치’ 역시 의미없는 대응이라고 비꼰 것이다.
한국 정부의 조치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운 댓글도 적지 않았다. 한 네티즌은 “중국 문화는 모방하기에는 너무 많고, 빼앗으려면 정통성이 필요하다”며 “(김치를 신치라 하는 것은) 도둑질이나 다름없다”라고 했다.
우리 김치를 ‘신치’라 부르자는 괴이한 발상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 고유 음식인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신기(辛奇·중국어 발음은 신치·xinqi)’로 바꾼다고 지난 22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훈령을 개정했다. “후보 용어 16개를 검토한 결과, 신치(辛奇)가 김치와 발음이 유사하고 ‘맵고 신기하다’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김치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용어로 생각되어”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선정했다고 한다.
중국 정부는 중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에 중국 문자(한자) 명칭을 표기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김치를 중국 시장에 내놓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한자 명칭을 사용해야 하는 고충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중국의 이런 문화패권주의가 우려를 낳지만, 그렇다고 해서 김치를 한자로 표기하기 위해 ‘신치’를 고안해 공표한 처사는 황당하다.
한자는 결코 중국만의 문자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2000년 이상 사용해왔고 일본도 사용하는 동아시아 공동의 문자다. 따라서 한자에는 당연히 한국식 한자 발음이 있다. 김치를 ‘辛奇’로 표기하는 순간 중국 발음으로는 ‘신치’가 되지만, 한국식 한자발음으로는 ‘신기’가 된다. 자랑스러운 고유명사 ‘김치’가 ‘신기’로 둔갑하는 것이다.
지금 당장이야 김치를 신기라고 부르지 않겠지만, 세월이 흐르면 김치의 또 다른 이름이 된 신기로 인해 김치의 고유성이 퇴색하고 김치의 국적이 불분명해질 우려가 있다. 문체부의 이번 조치는 한국에서는 한자를 전혀 사용할 일이 없다는 전제 아래 오로지 중국만을 의식해 취한 졸속 조치다.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중국문자 표기를 ‘수이(首爾)’라고 만들어 ‘서울시’가 ‘수이시’로 둔갑한 전례처럼 허무맹랑한 일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최근 중국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김치를 중국의 파오차이(泡菜)와 동일시하는 관점이 조작돼 보급되면서 김치가 중국의 고유음식이라는 억지 주장이 대두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인은 중국의 파오차이와 한국의 김치가 엄연히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 줄곧 한국 김치를 ‘한궈 파오차이(韓國泡菜)’라고 불러왔다.
어느 사회, 어느 국가라도 자신들에게 없는 문화를 이해하기 쉽도록 명명하기 위해 자신의 문화와 가장 근접한 용어를 택한다. 그래서 중국인들도 한국의 김치와 가장 근접한 문화라고 여기는 그들의 ‘파오차이’를 택해 김치를 번역하고, 대신 한국의 김치가 자신들의 파오차이와 다른 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한궈(한국)’라는 접두어를 붙인 것이다. 따라서 지금으로써는 ‘한궈 파오차이(韓國泡菜)’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괄호 안에 [Kimchi]라는 영어 발음표기를 병기해주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韓國泡菜[Kimchi]’는 중국의 파오차이와 한국의 김치를 자연스럽게 차별화하는 용어다.
한국 정부가 나서서 김치를 중국의 파오차이와 구별해 알리려고 신치(辛奇)라는 기괴한 조어를 한 것은 큰 실수다. 자칫 이미 세계인이 알고 있는 자랑스러운 이름인 김치의 의미를 흐리게 할 수 있다. 이미 ‘한국 파오차이’로 중국에 널리 알려진 상황에서 자칫 김치의 종주국은 중국이고 한국은 신제품 ‘신기’를 개발한 것으로 오인할 우려마저 있다.
중국인들은 머지않아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한국에는 신치가 있잖아요? 김치, 즉 파오차이는 중국의 고유음식입니다.” 우리가 ‘재중동포’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중국이 쓰는 ‘조선족’이란 용어를 덩달아 사용함으로써 한반도 전체를 중국의 소수민족 정권으로 격하하려는 중국의 계략에 휘말리게 된 악몽을 반복해서는 결코 안 된다. 문체부는 신치(辛奇)라는 표기를 당장 철회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