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July 26, 2021

CNN 톱뉴스까지 올랐다…MBC 올림픽 중계, 세계 주요 언론들에 뭇매…’올림픽 개회식 중계 물의’·’루마니아 자책골 조롱’ 점입가경 MBC

CNN 톱뉴스까지 올랐다…MBC 올림픽 중계, 세계 주요 언론들에 뭇매

MBC의 도쿄 올림픽 개막 방송이 전 세계 주요 언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방송 직후엔 일부 매체에서 단순 ‘해외토픽’ 수준으로 다뤄졌지만, 주말을 넘기면서 주요국 권위지와 방송사가 비판에 동참, 국제 망신으로 비화하는 양상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6일 오전 10시 현재 도쿄 올림픽 코너 세컨드 기사로 <한국 방송사가 올림픽 퍼레이드에서 ‘부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한 데 사과했다>를 걸어놨다. 신문은 기사에서 “올림픽 개막식 국가 퍼레이드는 각국 시청자들에게 외교 및 글로벌 인식을 키워주며, 미디어는 퍼레이드를 보여줄 때 퀴즈, 운동 선수 프로필 및 지정학적 의미 등으로 방송 시간을 채운다”며 “그러나 MBC는 (해당 국가들에) 공격적이거나, 부정적 편견을 강화하는 내용의 이미지를 사용해 시청자들 비판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mbc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에도 참가국을 폄하하는 자막을 내보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았다”며 “당시 (아프리카) 수단을 내전이 긴 불안정한 국가로, 짐바브웨는 인플레이션이 살인적인 국가로 묘사했다”고 덧붙였다.

MBC 중계 논란은 CNN 인터넷판에서는 톱 기사로 걸렸다. 제목은 <이탈리아엔 피자, 루마니아엔 드라큘라… 방송사 논란 불붙다>. CNN은 “(MBC가) 공격적인 고정 관념을 바탕으로 여러 국가를 묘사하는 데 크게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가디언은 현지시각 24일 <우크라이나 소개엔 체르노빌, 이탈리아 소개엔 피자: 한국 TV가 올림픽 이미지 문제에 사과>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밖에 미국 ABC뉴스, 폭스뉴스, 허핑턴포스트 스포츠채널 ESPN에도 관련 소식이 실렸다. 호주의 해럴드선, 캐나다 토론토선 등에도 보도됐다. 뉴질랜드헤럴드는 온라인 기사에서 “한국의 한 방송국이 올림픽 개회식 중계에 사용한 부적절한 국가 소개가 역겹다”고 보도했다. 일본 네티즌은 “우크라이나는 체르노빌이었지만 일본은 무난한 초밥이었다. 해일이나 후쿠시마가 아니라 다행”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외에도 해외 네티즌들은 “이미 MBC가 사진 문제에 대해 사과한 것은 알지만 방송인의 지식이 얼마나 낮은지 알 수 있었다” “방송사에서 올림픽과 전혀 관련이 없는 분쟁, 기근, 인구 과잉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봤다” “MBC는 1인당 GDP와 코로나19 예방접종률로 말레이시아를 소개했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반발했다.

‘올림픽 개회식 중계 물의’·’루마니아 자책골 조롱’ 점입가경 MBC…박성제 사장, 결국 대국민 사과

MBC, 올림픽 4일 동안 ‘사고·사과·사고·사과’…朴사장 “올림픽 정신 훼손 방송 사죄”

자책골 기록 상대 팀 마리우스 마린 선수 겨냥해 “고마워요 마린” 자막 삽입

루마니아 축구협회 “한국 공영방송 MBC가 우리 선수 조롱”

23일에는 개회식 중계 물의…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진, 아이티 폭동 사진 사용

24일 사과 입장 발표에 이어 26일 MBC 박성제 사장 대국민 사과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을 중계하면서 부적절한 사진과 자막을 사용해 물의를 빚은 MBC가 이번에는 자책골을 기록한 상태 팀 선수를 조롱하는 자막을 삽입해 도마 위에 올랐다.

MBC는 25일 남자 축구 조별리그 B조 2차전 루마니아와의 경기 중계에서 자책골을 기록한 상대 팀의 마리우스 마린 선수를 겨냥해 “고마워요 마린”이라는 자막을 광고 중 화면 우측 상단부에 삽입했다.

이에 루마니아 축구협회는 26일 공식 SNS에 MBC의 자막 사진과 함께 “한국 공영방송 MBC가 ‘고마워요 마린, 자책골’이라는 메시지로 마린의 부끄러운 순간을 조롱(mocked)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논란은 MBC가 올림픽 개회식 중계 물의로 공식 사과한 지 하루 만에 발생했다.

앞서 MBC는 지난 23일 도쿄올림픽 개회식을 중계하면서 각국 소개에 부적절한 사진과 자막을 사용해 논란이 불거졌다.

우크라니아 대표팀을 소개하며 체르노빌 원전 사진을 사용했으며, 아이티 선수들의 입장 때는 폭동 사진과 함께 ‘대통령 암살로 정국은 안갯속’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또 아프가니스탄 선수단 입장에는 마약 재료인 양귀비 운반 사진을, 엘살바도르엔 비트코인을, 루마니아 선수단 입장 땐 영화 ‘드라큘라’ 사진을 삽입했으며, 노르웨이, 이탈리아, 일본 소개 땐 각각 초밥, 피자, 연어 등 음식 사진을 썼다.

이에 MBC는 다음날인 24일 “문제의 영상과 자막은 개회식에 국가별로 입장하는 선수단을 짧은 시간에 쉽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준비했지만 당사국에 대한 배려와 고민이 크게 부족했고 검수 과정도 부실했다”며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다.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죄송하다”고 사과문을 냈다.

그러나 사과 하루 만에 다시 ‘상태 팀 선수를 조롱’하는 논란이 불거졌고, 이에 MBC 박성제 사장이 26일 오후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박 사장은 “저희 MBC는 전세계적인 코로나 재난 상황에서 지구인의 우정과 연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훼손하는 방송을 했다”며 “신중하지 못한 방송, 참가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방송에 대해 마음에 상처를 입은 해당 국가 국민들과 실망하신 시청자 여러분께 MBC 콘텐츠의 최고 책임자로서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했다

이어 “급하게 1차 경위를 파악해보니 특정 몇몇 제작진을 징계하는 것에서 그칠 수 없는, 기본적인 규범 인식과 콘텐츠 검수 시스템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철저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도 반드시 묻겠다”고 말했다.

한편 외신들도 MBC의 올림픽 중계 논란을 상세히 보도했다.

영국 로이터통신은 MBC 중계 논란에 대해 “한국 TV가 각국 소개에 부적절한(inappropriate) 이미지와 자막을 사용한 뒤 사과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미국 CNN은 MBC에 대한 SNS에서의 반응을 전하며 “한국을 삼풍백화점, 성수대교, 세월호 참사의 나라로 소개하면 좋겠나?”라는 국내 트위터 사용자의 글을 뉴스 화면에 띄웠다.

이 외 AFP통신, 영국 인디펜던트, 미국 폭스뉴스, 호주 뉴스채널 7뉴스 등도 MBC 중계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6163

또 사고 친 MBC에 “대체 왜 이러나” “품격은 어디에” 비판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 생중계에서 부적절한 자료를 사용해 물의를 빚은 MBC가 이번에는 자책골을 넣은 상대 팀 선수를 조롱하는 듯한 자막을 내보내 또다시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 네티즌들은 “이번에도 MBC냐”, “방송국의 품격은 대체 어디 간 거냐”고 비판했다.

25일 도쿄올림픽 남자 축구 B조 예선 대한민국 대 루마니아 경기를 생중계한 MBC는 전반전이 끝난 뒤 후반 경기가 시작하기 전 중간 광고를 내보내며 오른쪽 상단에 ‘고마워요 마린’이라는 문구를 띄웠다.

전반 27분 루마니아의 마린 선수가 자신의 진영에서 수비하던 중 우리나라 이동경 선수가 골문 앞쪽으로 찬 공을 걷어내려다 발끝에 공이 맞고 자책골을 기록한 상황에 이 같은 표현을 쓴 것이다.

이를 본 시청자들은 “우리나라 선수들이 자책골 넣었을 때, 다른 나라에서 저렇게 자막 달면 좋겠나”, “부끄럽기 짝이 없다”, “자책골로 본인도 스트레스 받을 텐데 타국 방송에서 조롱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등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개막식 방송 중 부적절한 자막과 자료를 사용해 논란을 일으킨 지 이틀 만에 또다시 물의를 일으킨 MBC를 향해 네티즌들은 “이번에도 MBC냐”, “MBC 진짜 나라 망신이다”, “방송국의 품격은 대체 어디 간 거냐” 등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MBC는 23일 개막식을 중계하며 우크라이나 선수단 입장 시 체르노빌 원전 사진을 띄우고, 엘살바도르 선수단이 입장할 때 비트코인 사진을 내보내는 등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외신도 “MBC가 올림픽 개막식에서 여러 국가를 묘사하며 공격적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대부분 엉뚱하고 이상한 것까지 다양했다”(영국 가디언), “한국 TV가 부적절한 개막식 이미지에 대해 사과했다”(로이터 통신)고 보도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MBC는 국문과 영문으로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해당 국가와 시청자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는 내용이 담긴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질병청, 코로나 통계조작 의혹 불거져 “주말과 평일 확진율이 2배 차이?”…코로나검사(PCR) 치명적 오류 “가짜양성 속출”

질병청, 코로나 통계조작 의혹 불거져 “주말과 평일 확진율이 2배 차이?”

코로나 확진 검사에서, 검사자 숫자 대비 확진자 숫자의 비율 (확진율)이 매주 평일(주중)보다 주말에 2배 이상 높은 현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었다면 그 통계 자료를 신뢰할 수 있을까?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하는 코로나 확진자 숫자에 조작의 의혹이 불거져 크게 논란이 될 전망이다.

의료계 전문가들과 면역학자들을 중심으로 질병관리청의 코로나 확진자 숫자 추이에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매주 마다 평일과 주말의 코로나19 검사 양성판정률이 2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것을 수상히 여기고 있다.

즉 질병청은, 코로나 확진자 발표에 있어서, 주중에 검사해서 확진받을 비율보다 주말에 검사해서 확진받는 비율이 2배씩이나 높았다는 결과치를 1년 가까이 발표해 온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바이러스를 놓고 볼 떄, 검사자 숫자 증감에 따라 확진자 숫자가 증감할 수는 있어도, 확진율은 거의 일정한 추이를 보여야 정상이다.

확진율이란 검사자 대비 확진자의 비율은 뜻하므로, 주중과 주말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면서 올라갔다 내려왔다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확진자 검사를 주중에 했느냐 주말에 했느냐에 따라서 코로나 확진율이 변할 만한 아무런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이 매일 공개하고 있는 코로나19 확진 통계자료를 면밀히 분석해 보면, 평일(월~금) 검사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확진율이 매주 주말(토,일)만 되면 갑자기 평일 확진율의 2배 이상으로 높아지는 현상이 수 개월째 반복되고 있다.

한 두번 그런것이 아니라 수 개월재 매주 평일과 주말의 확진율이 패턴을 갖고 2배 가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 충격적이다.

전문가들은 확진률이 이렇게 주중과 주말로 나뉘어 차이가 나는 것은 자연계의 현상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이는 결국 질병청의 명백한 통계 오류 또는 의도적으로 확진자 숫자를 조작하려다 들킨 ‘조작 실수’라고 주장한다.

질병청에서 집계하는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마스크쓰기, 백신 접종 등 전국민을 대상하는 방역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기 때문에, 만약 이 확진율 (또는 확진자 숫자)을 조작했다는 게 사실로 드러날 경우 그 파장은 어마어마 할 것으로 보인다.

확진율은 주중과 주말 차이가 없어야 정상

배용석 면역 전문가(면역학자)를 비롯해서 의학 전공자들은 바이러스의 확진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

“바이러스 확진율은 특정 기간동안 검사자 숫자 대비 양성 판정된 사람의 숫자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바이러스 감염 확율이 주말과 평일을 구분하여 패턴을 갖고 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의학적으로도 불가능하고 상식적으로도 불가능하다.” 라고 확언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살펴보면 평일(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검사자 숫자는 주말(토요일 일요일)의 검사자 숫자보다 2-3배가 많았다. 즉 평일에 7-8만명을 검사했다면, 주말에는 3-4만을 검사했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확진율은 검사자 숫자의 증감에 따라서 바뀌는 결과가 아니다.

특정 바이러스에 대해 검사자 숫자가 늘면, 확진자 숫자도 같은 비율로 늘어나고, 검사자 숫자가 줄어들면, 마찬가지로 확진자 숫자도 같은 비율로 줄어들기 때문에 확진율은 어느정도 일정하게 나와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코로나19의 확진율 추이를 보면, 주중(월~금)의 확진율보다 주말(토~일)의 확진율이 2배에서 3배 가량 높았다.

질병관리청이 확진율 추이가 주중과 주말이 현저히 다르다는 것을 신경쓰지 못한 채, 확진자 숫자를 일정하게 유지 또는 변화시켜 왔다는 의혹이 나오는 대목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질병관리청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통계)

아래는 질병관리청에서 내놓은 검사자 숫자와 확진자 숫자 추이를 최근 2개월치만 정리해 본 것이다.

평일과 주말을 나눠서 확진율을 비교해 보면 충격적인 사실이 발견된다. 평일에 비해, 주말의 코로나 양성 확진율이 항상 2배 이상 높다.

전문가들은 이런 결과는 자연현상에서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결과라고 일축한다.

6월 첫째주

평일 : ​1일 1.88%(3만5천948명 중 677명) 2일 1.79%(3만7천974명 중 681명) 3일 1.78%(3만9천명 중 695명) 4일 2.15%(3만4천630명 중 744명)

주말 : 5일 4.05%(1만3천743명 중 556명) 6일 3.85%(1만2천600명 중 485명)

평일 평균 1.9% vs 주말 평균 3.9%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이상 높음

​6월 둘째주

평일 7일 1.25%(3만6천287명 중 454명) 8일 1.66%(3만6천200명 중 602명) 9일 1.90%(3만2천79명 중 611명) 10일 1.63%(3만4천202명 중 556명) 11일 1.92%(2만9천471명 중 565명)

​주말 12일 3.65%(1만2천372명 중 452명) 13일 3.17%(1만2천590명 중 399명)

평일 평균 1.67% vs 주말 평균 3.41%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이상 높음

​6월 세째주

평일 14일 1.21%(3만973명 중 374명) 15일 1.66%(3만2천915명 중 545명) 16일 1.90%(2만8천452명 중 540명) 17일 1.40%(3만6천212명 중 507명) 18일 1.66%(2만9천106명 중 482명)

​주말 19일 3.44%(1만2천480명 중 429명) 20일 3.43%(1만 413명 중 357명)

평일 평균 1.56% vs 주말 평균 3.43%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이상 높음

​6월 네째주

평일 21일 1.16%(3만3천996명 중 395명) 22일 2.16%(2만9천906명 중 645명) 23일 2.12%(2만8천833명 중 610명) 24일 2.28%(2만7천763명 중 602명) 25일 2.31%(2만8천971명 중 668명)

​ 주말 26일 4.66%(1만3천162명 중 614명) 27일 4.09%(1만2천251명 중 501명)

평일 평균 2% vs 주말 평균 4.37%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이상 높음

7월 첫째주 ​

평일 28일 1.71%(3만4천812명 중 595명) 29일 3.40%(2만3천331명 중 794명) 30일 2.16%(3만5천245명 중 762명) 1일 3.03%(2만7천286명 중 826명) 2일 2.74%(2만9천15명 중 794명)

주말 3일 5.12%(1만4천508명 중 743명) 4일 4.74%(1만5천9명 중 711명)

평일 평균 2.6% vs 주말 평균 4.93%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가량 높음

7월 둘째주

평일 5일 2.10%(3만5천582명 중 746명) 6일 3.94%(3만786명 중 1천212명) 7일 3.51%(3만6천280명 중 1천275명) 8일 3.18%(4만1천435명 중 1천316명) 9일 3.68%(3만7천423명 중 1천378명)

​주말 10일 6.42%(2만638명 중 1천324명) 11일 6.24%(1만7천620명 중 1천100명)

평일 평균 3.28% vs 주말 평균 6.33%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의 2배 가량 높음

7월 세째주

평일 12일 2.59%(4만4천401명 중 1150명) 13일 3.62%(4만4천560명 중 1천615명) 14일 3.10%(5만1천597명 중 1천600명) 15일 3.19%(4만8천128명 중 1천536명) 16일 3.58%(4만642명 중 1천455명)

​주말 17일 5.43%(2만6천755명 중 1천454명) 18일 4.73%(2만6천453명 중 1천252명)

평일 평균 3.21% vs 주말 평균 5.08% : 주말 확진율이 평일 확진율 보다 현저히 높음

총 7주를 분석한 결과 모든 주에서 평일보다 주말이 확진율이 2배 가량 높았다. 올해 1월 부터 5월까지를 모두 분석한 결과도 대동소이 했다.

(검사자 숫자는 질병관리청에서 내놓은 의심신고 검사자 숫자를 토대로 했으며, 임시선별검사소 검사건수는 제외했다. 임시선별검사소 검사수를 포함해도 평일과 주말의 확진율 차이는 심각하다.)

2. “단순 실수는 아니고 그렇다면 의도적? 무슨 목적으로? “

배용석 면역학자를 비롯한 전문가, 일반적인 의학을 전공한 의료계 종사자들은 위 확진율의 차이를 놓고 이는 단순 실수가 아니면 명백한 대국민 ‘사기’라고 일축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통계 숫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확진자 숫자에만 집착하다 보니, 주말에 검사자 숫자가 적어지는 것을 고려하지 못하고 확진률이 주중 주말 크게 달라지도록 노출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확진자 숫자를 정치방역에 활용하려고 임의로 조절하다 보니 주중과 주말의 확진률 차이가 비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을 간과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즉, 누군가가 주말 검사자 숫자가 주중보다 반 정도로 줄어드는 상태에서, 확진자 숫자 (또는 확진자 숫자 변화 추이)를 조작을 하다보니, 주말 확진율이 주중의 2배가 되는 비정상적인 통계적 오류가 드러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의심하기엔 이르고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에 대한 질병청의 해명이 필요한 대목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오류는 단순 실수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1년 가까운 기간동안, 코로나 확진율이 평일과 주말이 2배 가량 차이가 났다는 것은, 어떠한 설명으로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계의 오류가 결국 방역 정책의 오판으로 이어졌으며,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되었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어디부터 잘못 된 것인지 밝혀 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한 군데 실수가 나타났다는 것은 전체적인 데이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코로나 확진자 통계 과정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정부의 무리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국민적인 불만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K방역이 전부 사기였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 와중에 질병관리청이 통계 수치도 조작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그 파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본지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하여 보다 면밀한 통계 분석을 진행 중이며, 질병관리청의 의견도 곧 게재할 계획이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911

코로나검사(PCR) 치명적 오류 “가짜양성 속출”

이미 죽은 바이러스나 아무런 해가 없을 정도의 미세한 양의 세균이 증폭기에 의해 수백만배 증폭되어 가짜양성자로 판명될 수 있다면 이 검사 결과를 믿을 수 있을까?

국내에서 코로나19의 확진자를 가려준다는 PCR검사가 불완전 하며, 신뢰할 수 없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PCR검사 자체만으로는 코로나19의 양성과 음성을 판정하는데 쓰일 수 없다는 의료계의 의견과 함께 국제적으로 PCR에 적용되는 CT값이 일정값 이상이면 가짜 코로나 양성확진자가 속출되어 검사 장비로서 구실을 못한다는 것이다.

PCR검사 수행도. 몸속의 DNA를 채취하여 이를 증폭하고 그 속에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분석한다. 그러나 증폭횟수(CT)가 증가함에 따라 무증상확진자가 늘어나는 신뢰할 수 없는 방식이라는 평가다.

PCR 검사, 이래서 못 믿는다

PCR은 분자의 증폭을 통해 미세한 양의 바이러스라도 찾아내는데 이 증폭값을 CT라고 하며, 대한진단검사의학회에 따르면 이 CT값이 너무 높으면 위양성률이 높아져 정상적인 검사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미국의 FDA와 CDC등에서는 CT값을 40-45로 설정할 것을 권했으나, 이는 명백히 너무 과도한 증폭값이며, 이 때문에 가짜 양성 확진율이 높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많았다.

미국CDC의 공식 문서에서 PCR검사의 CT값을 28이하로 지정하고 있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지난 4월 말, 백신 접종을 독려하면서, 코로나백신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에 한해서는 PCR 검사 증폭값을 28이하로 낮춰 적용하는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줬다.

이는 미국의 FDA와 CDC 등 방역당국이 코로나백신 접종자가 코로나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백신 접종자에 한해서 CT값을 낮춰 설정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 사실은 전 뉴욕타임즈의 기자 알렉스 베렌슨에 의해 폭로됐다.

대한민국 PCR의 CT값

이후 PCR의 CT값은 28이하로 맞춰지는 추세가 지속됐다. 세계적으로 확진자 숫자가 줄어든 이유도 PCR의 CT값 조정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국내는 CT값을 35이상으로 맞춰놓고 있어 가짜 양성자가 많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CT값이 33이 넘어가면, 실제 살아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양성 판정으로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PCR의 CT값에 따른 무증상감염자 속출, 검사 자체가 의미 없어

CT값을 높이면 양성이 많이 나오고, CT값을 낮추면 음성이 많이 나와서 CT값에 따라 확진자 숫자가 중구난방이라는 점은 PCR검사가 코로나 확진자 검사로서 신뢰를 얻을 수 없다는 가장 큰 이유이다.

건강한 사람도 높은 CT값을 적용하면 양성으로 판정되어 2주 격리등 규제를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PCR검사에 높은 CT값을 적용하면, 얼마든지 확진자를 늘려 정치방역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방역당국이 설정한 PCR의 설정값은 34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미 죽어있는 바이러스도 양성으로 판정되는 등 가짜양성이 터무니없이 많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재진 원장(의료인 연합회, 치과의사)의 PCR검사 등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답변서. “분자진단으로 코로나바이러스의 활동성 유무 즉, 양성, 음성여부를 구분할 수 없다”고 명시하여 답변서를 보내왔다.

PCR검사, 공식적으로 코로나 양성 여부를 구분하는 근거 못 돼

결정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보낸 PCR검사에 대한 정보공개청구 답변서에는 분자진단 (PCR)으로는코로나바이러스의 활동성 유무 즉, 양성, 음성여부를 구분할 수 없다고 명시하여 답변서를 보내왔다는 것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결국 PCR 검사로 정확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양성과 음성 여부와 더 나아가서는 이 바이러스가 활동 중인지를 밝힐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대한민국의 코로나 방역

시민들은 자신의 몸에 접종하는 백신에 대해 더 자세히 알 필요가 있다.

오늘 19일 부터 고3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10대와 20대의 코로나 확진 치사율이 0임에도 불구하고 백신을 접종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 누구도 책임지지 않겠다는 태세다.

백신 제조사는 이미 각국 정부와 계약할 때 부작용에 대한 면책을 보장받은 바 있다.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백신 접종을 권유하는 교육부 담당자들은 그 책임을 식약처에 떠넘기고 있다. 식약처가 백신이 안전하다고 했기 때문에 각급 학교에 공문을 보냈다는 식이다.

식약처와 질병관리청에서는 갖가지 공문에서 PCR검사, 백신의 예방 기전 유무 등을 애매한 문장으로 설명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양새다. 백신 접종이나 검사를 강제하지 않았고, 권고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추후 법적인 문제는 이런 말장난 식의 변명보다는 아무것도 모르는 국민에게 백신을 접종시키면서 그 위험성을 왜 고지 하지 않았느냐로 귀결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위험성을 알고서도 의도적으로 접종률을 높힐 목적으로 반강제적인 접종을 시킨 것이라면 크게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의 몸에 주입되는 약물이니 만큼, 스스로가 백신 접종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는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일각에서는 정부 당국이 백신을 거의 반 강제적으로 접종하면서도 부작용에 대한 사전 공지를 교묘하게 숨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신 접종 후 1-2주 만에 사망한 숫자가 600명을 넘기고, 중증 부작용의 경우 6000건에 육박한다. 심지어 코로나 확진으로 사망한 사람보다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더 많은 상황인데 정부가 도대체 무슨 이유로 나이 어린 10대에게 까지 백신 접종을 못해서 안달이 났는지 이해 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