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꾼 수산업자, 박영수 특검에 포르쉐 제공 정황.. 경찰 수사 확대
전·현직 특검팀에 독도새우·대게 보내
‘금품수수’ 부장검사도 박 특검이 소개
박 특검 측 “렌터카 비용 현금으로 전달”
박영수 특검이 2017년 8월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결심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법원청사에 들어서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00억 원대 사기 혐의로 구속기소된 ‘가짜 수산업자’ 김모(43)씨가 국정 농단 의혹 사건 수사를 이끌던 박영수 특별검사 측에 포르쉐 차량을 제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차량 제공 정황이 담긴 디지털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김씨가 전·현직 특검팀 소속 법조인들에게도 무더기로 선물을 제공한 정황도 포착했다. 앞서 특검팀 일원이기도 했던 A 부장검사는 김씨로부터 고가 시계와 현금 등을 제공받은 혐의로 입건됐다. 경찰은 박 특검에 대해서도 김영란법(부정청탁및금품수수 금지법) 적용이 가능한지 법리 검토에 착수했다.
4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씨는 지난해 12월 직원 명의로 ‘포르쉐 파나메라4’ 차량을 열흘간 빌린 뒤 박 특검 측에 제공했다. 박 특검 부인이 타고 다니던 차량을 포르쉐로 바꾸고 싶어 한다는 얘기를 듣고 김씨가 차량을 제공한 것이다. 김씨는 회사 직원을 시켜 차량을 박 특검 아파트 주차장으로 직접 가져가 박 특검 차량의 운전기사에게 키를 넘기도록 했다. 렌터카 비용은 250만 원으로 알려졌으며, 김씨 측은 차량 계약부터 전달까지의 과정을 촬영해 보관해둔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 측 관계자는 “차량은 직원 명의로 계약했고 비용까지 지불했으며, 박 특검 부인이 운전한다고 해서 보험 처리는 누구나 몰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수억 원을 호가하는 ‘슈퍼카’를 다수 보유한 렌터카업체를 운영했던 터라, 친분 있는 인사들에게 슈퍼카를 적극 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영란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엄성섭 TV조선 앵커도 차량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은 김씨가 박 특검과 엄 앵커 외에도 또 다른 일간지 기자에게도 차량을 제공한 정황을 포착하고 대가성 여부를 따져보고 있다.
현직 부장검사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는 수산업자 A(43)씨가 수산업체 주소지로 등록한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 구룡포리 건물 외관. A씨가 어릴 적 살던 집으로, 수산업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정혜 기자
현직 부장검사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는 수산업자 A(43)씨가 수산업체 주소지로 등록한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 구룡포리 건물 외관. A씨가 어릴 적 살던 집으로, 수산업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정혜 기자
박 특검은 언론인 출신 정치권 인사 B(59)씨와 함께한 식사자리에서 김씨를 처음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특검은 2016년 치러진 20대 총선에 출마하려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된 B씨를 변호한 인연이 있다. 2017년 사기 혐의로 수감됐던 김씨는 같은 해 법정구속돼 수감된 B씨와 교도소에서 만나 가까워졌고, 특별사면으로 풀려난 뒤 B씨를 통해 박 특검과 인연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특검 측은 김씨 측으로부터 차량을 빌린 것은 맞지만 비용은 지불했다는 입장이다. 박 특검 측 관계자는 “박 특검이 차가 필요하다고 해서 내가 김씨에게 차량을 요청했다”며 “김씨가 렌터카 업체를 운영한다고 해서 부탁했는데, 박 특검이 ‘렌트비는 줘야지’라며 250만 원을 봉투에 담아줘 김씨에게 전달했다”고 해명했다.
경찰은 박 특검의 포르쉐 렌터카 의혹과 관련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따져보고 있으며, 김영란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특검법 의제규정에 따르면 특검 관계자의 경우 ‘형법 등에 따른 벌칙을 적용할 때는 공무원으로 본다’고 규정돼 있다. 김영란법에도 배우자까지 경제공동체로 간주해 배우자의 금품 수수로도 처벌할 수 있도록 했다. 박 특검 측은 그러나 “특검법에 청탁금지법에서 규정하는 공무원의 요건이 다 포함돼있지 않기 때문에 공직자가 아닌 공무수행 사인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효숙 기자 shs@hankookilbo.com
포항= 김정혜 기자 kjh@hankookilbo.com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오지혜 기자 5g@hankookilbo.com
수산업자에게 포르쉐 빌려 탄 박영수, 돈 받은 검사도 이어줬다
‘수산업자 스캔들’ 일파만파
朴특검 “아내 차 마련해 줄 것” 말하자
렌터카 운영 수산업자, 4~10일 빌려줘
朴 “비용 줬다”…경찰, 위법 여부 검토
금품수수 검사는 국정농단 특검팀 동료
포항 발령 때 지역 인사로 소개해준 듯
현직 검사, 총경급 경찰, 언론인 등에게 금품을 제공했다고 진술한 자칭 수산업자 김모(43·구속기소)씨가 국정농단 의혹 수사를 지휘한 박영수 특별검사에게 포르쉐 차량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씨로부터 고가의 시계와 현금 등 수천만원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이모 부장검사 역시 박 특검이 김씨에게 소개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씨는 박 특검이 아내에게 포르쉐 차량을 마련해 주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 박 특검에게 4~10일 동안 포르쉐 차량을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차량 렌트 비용은 250만원으로 알려졌다. 렌터카 업체를 운영했던 김씨가 유력 인사들에게 고급 외제차를 적극 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 측은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차량을 빌려 탔지만, 250만원의 비용을 지불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추가적인 보험비용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처리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경찰은 박 특검에 대해 청탁금지법 적용이 가능할지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탁금지법은 청탁 금지 대상자가 1회 100만원, 연간 300만원을 초과한 금품을 받을 경우 처벌받는다. 다만 박 특검은 아직 경찰에 정식으로 입건되지 않았다.
김씨가 이 부장검사와 연을 맺게 된 과정에서도 박 특검이 ‘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장검사가 2019년 8월 서울남부지검에서 대구지검 포항지청 형사1부장으로 발령 날 당시 박 특검이 지역 인사로 김씨를 소개해 줬다는 의혹이다. 이 부장검사는 국정농단 의혹 수사 당시 박영수 특검팀에 합류했다.
김씨는 교도소 수감 시절 언론인 출신 A(59)씨와 인연을 맺으면서 유력 정치인 가족까지 속여 수십억원을 빼앗는 사기범으로 진화했다. 국회의원선거 예비후보로 출마한 경험이 있는 A씨는 오랜 세월 기자로 활동하면서 친분을 쌓은 정치인들을 김씨에게 소개해 줬다. 김씨는 정치인들에게 자신을 수산업자라고 소개하며 대게, 전복 등 고가의 수산물을 선물로 보내 친분을 이어 갔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을 식사 자리에서 만난 적이 있으며, 박 원장 자택에 수산물을 선물로 보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28일 사기 등 혐의로 구속된 김씨는 검찰에 송치되기 전날 경찰에 자신이 검사와 총경급 경찰 간부, 언론인 등에게 금품을 제공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이를 토대로 이 부장검사와 배모 총경, 이동훈 전 조선일보 논설위원과 엄성섭 TV조선 앵커를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박영수 특검 포르쉐 뇌물 의혹..국정농단 칼 휘두르던 그 검사네?
[파이낸셜뉴스] 박근혜·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국정농단 수사를 이끌었던 박영수 특별검사가 문어발식 로비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수산업자 김모씨(43·수감 중)로부터 포르쉐 차량을 제공받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에 더해 박 특검이 수천만원대 금품을 제공받은 이모 부장검사(48·33기)에게 김씨를 소개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이 부장검사는 박영수 특검팀에 2차례 파견근무를 했던 인물이다. 현재 그는 금품수수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5일 복수 매체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해 12월 직원 명의로 ‘포르쉐 파나메라4’를 10일간 빌린 뒤 박 특검 측에 제공했다. 박 특검 아내가 기존 포르쉐 차량을 바꾸고 싶어 한다는 얘기를 듣고 김씨가 벌인 일이다. 김씨는 회사 직원을 시켜 해당 차량을 박 특검 아파트 주차장으로 몰고 가 박 특검 운전기사에게 키를 건넸다. 렌터카 비용은 250만원으로 전해졌다. 김씨 측은 차량 계약부터 전달까지 과정을 촬영해 가지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씨는 억 단위 ‘슈퍼카’를 다수 보유한 렌터카 업체를 운영했기 때문에 주변 인사들에게 차량을 제공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김씨 측 관계자는 “차량은 직원 명의로 계약했고 비용까지 지급했으며 박 특검 부인이 운전한다고 해서 누구나 몰 수 있도록 보험 처리했다”고 한국일보에 설명했다. 앞서 엄성섭 TV조선 앵커도 김씨에게 차량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경찰은 김씨가 박 특검과 엄 앵커 외 또 다른 일간지 기자에게도 차량을 제공한 정황을 포착하고 대가성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박 특검은 이와 관련 200만원대의 렌트 비용을 지불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수사 중인 사안과 관련해서는 확인해 줄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또 박 특검은 이 부장검사를 김씨에게 연결해주기도 했다. 이 부장검사는 2016~2017년 박영수 특검팀에 파견돼 최서원(구속) 딸인 정유라씨의 이화여대 입시 비리 의혹 수사를 맡았다. 이후 특검 수사가 마무리 되는 단계에서 이 부장검사는 검찰 복귀를 앞두고 있었다. 이때 박 특검을 찾아갔고, 박 특검은 “내가 아는 지역 사람이 있다”며 전화로 김씨를 이 부장검사에게 소개시켜줬다고 한다.
앞서 박 특검은 김씨와 수감 중 알게 된 언론인 출신 A씨(60)를 통해 김씨를 소개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씨는 2018년 6월부터 지난 1월까지 “오징어를 선상에서 급랭시킨 ‘선동 오징어’ 매매사업에 투자하면 돈을 불려주겠다”며 김무성 전 의원의 형 등 7명을 속여 116억여원을 가로챈 혐의로 지난 4월 구속기소 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경찰은 김씨 진술을 토대로 이 부장검사를 비롯해 이동훈 전 조선일보 논설위원, 엄 앵커, 포항 남부경찰서장(총경)도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