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도 北에 해킹 당했다… “최신 전투기 기술 탈취 가능성”
하태경 “국정원이 해킹 사실 은폐, 국정원장 사퇴해야”
방산업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해킹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배후로 북한 해킹 단체가 유력하다.
30일 KAI는 입장자료를 통해 “KAI는 해킹이 의심되는 사항에 대해 28일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며 “수사기관에 적극 협조 사실관계를 철저히 밝히는 데 최선을 다할 것”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일로 말미암아 국민들께 우려를 안겨드린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향후 보안 강화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국정원은 최근 북한 해킹 사건의 전모와 피해 내용을 하나도 빠짐없이 국민 앞에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북한 해킹 피해에 국정원장이 총체적 책임을 지고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해킹 배후 단체로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조직 ‘킴수키’(kimsuky)가 거론된다.
하태경 의원실 측은 이날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해킹했던 단체와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소를 공격한 IP주소가 동일하다”며 “조사를 통해 (해당 IP주소는) 킴수키가 사용했던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하 의원은 “KAI 해킹이 사실이라면 최신 국산 전투기인 KF-21의 설계도면이 탈취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KAI 해킹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비슷한 시기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동일범인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조직 킴수키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라고 이달 초 발표한 바 있다.
하 의원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은 지난달 KAI 내부시스템이 해킹당한 사실을 파악하고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과 피해 규모 및 해킹 배후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KF-21은 ‘한국형전투기 보라매’로 별도 출고식을 통해 4월 공개된 차세대 전투기다.
KF-21 설계도 유출됐나… KAI, 북 추정 세력 해킹에 수사 의뢰
방산업체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북한으로 추정되는 세력에 의해 해킹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방산 업체 및 관련 분야 연구기관들에 대한 해킹 사례가 확인된 건 지난달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대우조선해양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KAI는 30일 “해킹이 의심되는 사항에 대해 지난 28일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며 “이번 일로 말미암아 국민들께 우려를 안겨드린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향후 보안 강화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피해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방위사업청도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의 답변 요구에 해킹 피해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하 의원은 “KAI 해킹이 사실이라면 최신 국산 전투기인 KF-21의 설계도면이 탈취됐을 수 있다”며 “KAI 해킹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비슷한 시기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동일범인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조직인 ‘킴수키’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KAI가 제작하고 있는 KF-21은 노후 전투기인 F-4와 F-5를 대체하는 전투기로 지난 4월 시제 1호기가 출고됐다. 군은 오는 2032년까지 KF-21 120대를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