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어린이가 나라의 왕?… 탈북민, “발육부진 강제 노동 실상” 고발
북한이 6월 1일 ‘국제아동절’을 맞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자국 어린이들이 ‘나라의 왕으로 떠받들리운다.’며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국제사회와 탈북민들은 북한 어린이들이 발육부진 및 강제 노동에 동원되는 등 전혀 다른 상황이라고 전했다고 2일 미국의소리(VOA)가 보도했다.
국제사회는 북한 어린이들의 인권 상황과 관련해 다양한 우려들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지난달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은행은 공동 발표한 ‘2021 아동 영양실조 추정치 보고서’에서 북한 어린이 5명 가운데 1명이 발육부진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기준, 북한의 5세 미만 어린이 31만 7800명이 발육부진을 겪고 있으며, 이는 전체 5세 미만 어린이의 18.2%에 해당되는 수치다. 북한 어린이들의 발육부진 비율은 3.2%인 미국보다 6배, 또 2.2%인 한국보다는 7배 넘게 높다.
또 미 국무부가 지난 3월 발표한 연례 인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어린이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정권은 부모와 탈북했다가 붙잡힌 어린이들을 노동수용소에 감금해 최소한 5년간 강제 노동을 시키는데, 특히 어린이들은 북한 당국의 가혹행위와 처벌 때문에 심각한 영양실조에 처하게 된다. 또 북한은 12년간의 무상 교육을 법적으로 보장하도록 되어 있지만, ‘성분’ 제도에 따라 일부 어린이들은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처벌을 당하기도 한다. 또한 국제사회는 어린이 수천 명이 동원되는 집단체조에서도 강제 동원과 가혹한 훈련은 물론 체벌까지 가해진다며, 이를 심각한 어린이 인권 유린으로 보고 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는 2014년 최종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대집단 체조가 어린이들의 건강과 행복에 위험한 일이라며, 이는 명백한 유엔 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밝혔다. [복음기도신문]
http://gnpnews.org/archives/83246
北 교화소, 영양실조로 사망자 속출… 화장 이후 재는 인근 밭에 뿌려져
북한의 평안남도 개천교화소에서 영양실조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데일리NK가 최근 보도했다. 이는 교화소 내 치료 여건 악화와 영양 보충에 도움을 줬던 면회가 대폭 줄어든 탓으로 전해진다.
올봄 개천교화소 남·여자 관리과에서 각각 134명, 121명의 사망자가 나왔으며 사망한 교화생은 모두 시체처리반 로(盧)에서 태웠고 잿가루는 교화소 인근 밭에 뿌려진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에서 노동단련형을 받은 사람은 공민의 권리가 유지되고 노동교화형을 받은 사람은 박탈된다. 공민권이 없는 상태에서 교화소에서 사망하면 ‘죄를 다 씻지 못한 죄인은 죽어서도 나라의 푸른 하늘을 볼 자격을 상실해 가족들 품으로 돌려보낼 수 없다.’는 명목으로 화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공민권이 유지되는 노동단련형을 받은 사람이 교화소에서 사망할 경우 시신을 가족에게 인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화소 내 영양실조가 만연하지만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영양실조에 걸린 사람을 위한 별도의 치료는 없고 약간의 운동이나 햇볕 쐬기가 전부다. 또한, 교화소 내 영양부족분을 채워주는 데 톡톡한 역할을 했던 면회마저 크게 줄어들어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교화소 규정상 면회는 3개월에 한 번 가능하며, 이때 면회객들이 가져온 진음식(밥, 국, 떡, 반찬 등)을 먹는 일은 영양 회복에 확실히 도움이 된다. 그러나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작년 8월 이후 전 교화소적으로 약 70% 이상의 수감자가 면회를 받지 못했다. [복음기도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