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로구, 유튜브에 백두산은 “장백산” 김치는 “옌볜 음식”
서울 구로구가 백두산을 중국식 명칭인 ‘장백산’으로 지칭하거나, 발해를 중국 옌볜의 역사라고 소개하는 영상을 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렸다. 중국이 고구려와 발해 등 한국 고대사를 자국 역사의 일부라고 왜곡하는 동북공정을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지자체가 이런 내용을 제대로 거르지 않고 콘텐츠를 게시한 것이다.
31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유튜브 채널인 ‘구로구청 방송센터’는 지난 20일 ‘구로구 우호도시 중국 옌볜조선족자치주 편’이라는 제목의 관련 동영상 3편을 올렸다. 영상은 백두산의 모습을 보여주며 “중국 동북의 제1 고봉 장백산” “장백산의 품속에 옌볜이 있다”고 했다. 주요 관광지로 ‘장백산 천지’ ‘장백산 폭포’ 등을 소개했다. 장백산은 백두산을 두고 중국이 역사적으로 중국 역대 왕조 영토였으며, 중화 문화권에 속하는 산이라는 주장을 펼 때 쓰는 용어다. 중국은 백두산 제례 유적지 등을 자국 관광지로 개발하고 장백산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단독 등재를 추진 중이다.
동영상은 또 “옌볜의 역사적 맥락을 따라 1000여년 전 백산송수 사이에 해동성국의 풍채를 감상할 수 있다”고 했다. 해동성국은 고구려인 대조영이 698년 건국한 발해가 전성기를 맞이한 9세기에 붙여진 명칭이다. 옌볜 전통 음식으로 김치와 비빔밥, 잡채를 소개하는 영상도 있었다. 중국은 최근 김치와 한복 등을 자국 문화유산이라 주장했다.
구로구는 “옌볜에서 제작한 홍보 영상을 전달받아 올린 것”이라며 “이 정도는 괜찮겠다 싶어 게시했다”고 했다. 구로구에 사는 중국인은 지난 3월 기준 2만3684명으로, 서울에서 가장 많다. 구로구는 옌볜 등 중국 5개 도시와 우호 교류를 맺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역사에 대한 팩트 체크 없이 영상을 그대로 올린 것 자체가 문제”라면서 “지금처럼 한·중 간 역사 문제가 민감한 상황에서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각 지자체의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지 취재가 시작되자 구로구는 31일 해당 영상을 내렸다.
백두산·김치에 ‘장백산’ ‘옌볜 음식’…구로구 영상 논란
서울 구로구가 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백두산을 중국식 명칭인 ‘장백산’으로 지칭하거나 김치를 옌볜의 전통음식으로 소개하는 영상을 올려 논란이 되고 있다. 구로구 측은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해당 영상을 채널에서 삭제했다.
조선일보는 1일 유튜브 채널 ‘구로구청 방송센터’가 지난달 31일 ‘구로구 우호도시 중국 옌볜조선족자치주 편’이라는 제목의 관련 동영상 3편을 올렸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상에는 백두산을 가리켜 ‘중국 동북의 제1 고봉 장백산’ 또는 ‘장백산의 품속에 옌볜이 있다’고 설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주요 관광지로 ‘장백산 천지’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장백산은 중국에서 백두산이 중화 문화권에 속하는 산이라고 주장하며 사용하는 용어다.
동영상 가운데 김치, 비빔밥, 잡채를 옌볜의 전통음식으로 소개하는 영상도 있었다. 발해를 뜻하는 ‘해동성국’을 언급하며 “옌볜의 역사적 맥락을 따라”라는 문구가 등장하기도 했다.
구로구는 “옌볜에서 제작한 홍보 영상을 전달받아 올린 것”이라고 해명한 뒤 영상을 삭제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금처럼 한·중 간 역사문제가 민감한 상황에서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각 지자체의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선일보에 말했다.
앞서 1월 온라인을 중심으로 중국의 ‘김치 공정’이 크게 논란이 된 바 있다. 발단은 장쥔 유엔 주재 중국대사의 트위터 게시물이었다. 그는 앞치마를 두르고 위생장갑을 낀 채 갓 담근 김치를 들어 올린 사진을 올렸다.
며칠 뒤 중국의 유명 블로거가 김장하는 영상에 ‘중국 음식’이라는 해시태그를 달면서 한·중 간 김치 기원 논쟁이 본격화했다. “김치는 한국 음식”이라고 발언한 한국 유명 ‘먹방’ 유튜버 ‘햄지’의 영상이 중국에서 돌연 삭제되는 일도 발생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sid1=all&arcid=0015901974&code=61121111
“김치, 옌볜 전통음식” 구로구청 홍보 영상 논란→급히 삭제
서울 구로구가 백두산을 중국식 명칭인 장백산(長白山)으로 지칭하고, 김치를 옌볜 전통음식이라고 소개하는 영상을 올렸다가 논란이 일자 급히 삭제했다.
유튜브 채널 구로구청 방송센터는 지난달 20일 ‘구로구 우호 도시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편’이라는 제목으로 3편의 영상을 게재했다.
게시물에는 ‘장백산 천지’ ‘장백산 폭포’ 등의 문구와 함께 “장백산의 품 속에 연변이 있다”는 표현으로 주요 관광지를 소개했다. 이외에도 옌볜 전통음식으로 김치와 비빔밥, 잡채를 소개하기도 했다. 최근 중국은 김치를 자국의 문화유산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중국 정부는 1998년부터 출판된 지도에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수정하게끔 지시했다. 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및 세계지질공원으로 단독 등재를 추진하는 등 백두산을 중국 문화권의 산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논란이 거세지자 구로구 측은 해당 영상을 지난달 31일 비공개 처리한 뒤 “옌볜에서 제작한 홍보 영상을 전달받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영상을 심도있게 점검하지 못한 부분은 불찰이자 잘못”이라고 인정했다.
서경덕 “동북공정 빌미 제공…지자체, 신중 검토必”
서경덕 교수는 이날 오후 인스타그램에 ‘구로구 홍보영상’ 논란과 관련해 “영상에 관한 팩트 체크도 없이 그대로 올린 것 자체가 큰 문제”라면서 “전통 음식으로 김치 등을 소개한 것은 중국에 동북공정의 빌미를 제공한 꼴”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중간 동북공정 문제가 민감한 상황에 다시는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각 지자체의 신중한 검토가 더욱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한편 구로구는 2014년부터 연변 주와 우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다양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