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이 마지막 희망이었는데”… 흔들리는 가상화폐, 불안한 2030세대

“코인이 마지막 희망이었는데”… 흔들리는 가상화폐, 불안한 2030세대

날개 달던 가상화폐… 중국 규제로 시세 급락

‘코인으로 내집 마련’ 꿈꾼 청년들 ‘아비규환’

대폭락 이후 다시 상승할 줄 알고 롱 포지션을 잡았다가 전재산을 청산당했다. 25년 인생을 살면서 오늘이 제일 막막하다.

월급 저축만으로는 노후 대비는커녕 집도, 차도 살 수 없을 것 같아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는 A(25)씨는 지난 20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고 이같이 푸념했다. A씨는 지난해 말, 저축해둔 돈으로 미국 주식을 하다 수익을 냈고 종잣돈을 불려야겠다는 생각에 은행으로부터 2500만원을 대출받았다. 그러나 투자 실패로 투자금은 3분의 1 토막이 났다.

A씨는 ‘코인 붐’을 기회 삼으려 했지만 결국 대출금을 탕진했다. 그는 “빚을 갚겠다는 생각으로 남은 돈을 전부 가상화폐에 전부 투자했고 선물거래에까지 손을 대다 전부 잃었다”며 “대출 만기까지 7개월이 남았다. 오늘부터 배달 일을 시작하려 한다”고 했다.

2030 청년층 사이에서 가상화폐 투자 광풍이 불고 있다. 취업난과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끊긴 청년들에게 가상화폐는 단숨에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유일한 희망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이 빗썸·업비트·코빗·코인원 등 주요 4대 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투자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신규 가입자(249만5289명) 가운데 3분의 2가량이 2030세대였다. 20대가 32.7%(81만603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30.8%(76만8775명)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고공 행진을 거듭하던 가상화폐 시장은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발언과 중국의 가상화폐 규제 등 악재가 맞물리면서 곤두박질치고 있다. 지난달 8000만원을 돌파한 비트코인 가격은 5000만원선을 오르내리고 있고, 이더리움과 도지코인 등도 이달초에 비해 30~40% 급락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가상화폐 시세는 대부분 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이 4915만원이고, 이더리움 338만3000원, 에이다 2120원, 리플 1380원, 도지코인 480원 등이다.

좀 더 풍족한 삶을 살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이라 여기고 가상화폐에 적극적으로 투자했던 청년들은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최근 사고를 당해 하던 일을 그만뒀다는 B(33)씨 가상화폐 선물거래에 나섰다가 2000만원을 손해봤다고 했다. B씨는 “거의 전재산에 가까운 돈이었다”며 “돈은 벌지 못한 채 생활비만 빠져나가는 게 아까워 가상화폐에 투자했는데 있던 돈마저 날려버렸다”고 말했다.

대출금 2억원에 결혼자금까지 끌어모아 가상화폐 이오스를 샀다던 C씨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2주 만에 1억원이 날아갔다”며 “불면증에 우울증까지 겹쳤다”고 했다.

급기야 가상화폐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엔 ‘급전’이 필요하다며 읍소하는 글이 매일같이 올라오고 있다 . 디시인사이드 비트코인 갤러리 등에는 “전재산을 날려 휴대전화 요금도 못 내게 생겼다. 1만원만 보내달라” “마진거래로 대출금과 전재산이었던 5000만원을 탕진했다. 도와달라” “이거면 흙수저 벗어날 수 있다고 해서 투자했더니 죽겠다. 살려달라”는 등의 글이 계좌번호와 함께 올라오고 있다.

실제 투자 중독 증상이나 우울증을 호소며 상담·의료기관을 찾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에 따르면 지난 1~3월 비트코인과 주식투자 중독 관련 상담은 136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두배가 넘었다.

류허 “비트코인 단속할 것” 한마디에 암호화폐 일제 폭락

중국발 악재가 또 전세계 암호화폐(가상화폐) 시장을 덮쳤다.

중국 경제를 책임지는 류허 부총리가 비트코인의 채굴과 거래행위가 금융시스템 전반을 위협한다며 강력하게 단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21일 류 부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는 회의를 마치고 성명을 통해 비트코인과 관련한 자본시장의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주식, 채권,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비트코인 15% 폭락 : 이같은 소식이 전해진 진후부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추락하기 시작했다.

비트코인은 22일 오전 6시30분 현재(한국시간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가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보다 15.68% 폭락한 3만411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약 한 시간 전 비트코인은 3만3000달러대까지 떨어졌었다.

◇ 미국발 악재도 한몫 : 중국 이외에 미국발 악재도 있었다. 미국 규제 당국도 잇달아 규제조치를 내놓은 것.

앞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암호화폐가 금융 안정성을 위협한다며 규제 강화를 시사하는 한편 시장의 관심을 정부가 인정(CBDC)하는 ‘디지털 달러’로 돌리기 위해 올여름부터 디지털 달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암호화폐가 조세회피 같은 불법 행위에 쓰인다며 과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재무부는 1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거래는 신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발, 미국발 겹악재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폭락세를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각 한국의 거래사이트인 업비트에서도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7.45% 급락한 4749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 도지코인도 21% 폭락 : 도지코인도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에서 24시간 전보다 21% 폭락한 32.08센트를 기록하고 있다. 도지코인은 약 1시간 전 31센트까지 내려갔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또 다시 도지코인을 응원했으나 무용지물이었다.

머스크는 전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1달러 지폐에 1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이 아니라 도지코인의 상징인 시바견을 삽입한 시각물을 돌리며 도지코인을 다시 한 번 응원했다.

그럼에도 류허 중국 부총리의 한마디에 도지코인은 추풍낙엽 신세를 면치 못했다.

같은 시각 한국의 거래사이트인 업비트에서도 도지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1.33% 급락한 446원에 거래되고 있다.

◇ 시총 2위 이더리움도 22.75% 폭락 : 시총 2위인 이더리움도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에서 22.75% 폭락한 2156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시총 5위 카르다노(에이다)도 24.83% 폭락한 1.38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뉴스1)

크루그먼 “가상화폐는 다단계 사기…비트코인 출시 12년 지났지만 화폐 역할 못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냈다.

크루그먼 교수는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칼럼에서 가상화폐의 경제적인 효용을 분석했다.

우선 크루그먼 교수는 2009년에 탄생한 첫 번째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기술적 개념을 살펴봤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소유권이 증명되고, 물건을 살 수 있는 화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비트코인이 출시된 지 12년이 지났지만 비트코인은 아직도 정상적인 화폐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투기의 수단 외에 가상화폐가 사용된다고 하는 곳은 돈세탁이나 해커의 금품 요구와 같은 불법적인 분야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결제 앱 ‘벤모'(venmo)도 2009년에 출시했다고 언급했다.

눈 깜짝할 사이에 시장 환경이 바뀌는 정보통신(IT) 분야에서 탄생한 지 12년이 지난 가상화폐가 아직도 불법적인 분야 외에 효용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은 존재 의미 자체에 의문을 들게 하는 대목이라는 것이다.

크루그먼 교수는 의미 있는 효용을 찾을 수 없는 가상화폐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자산 가격이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이는 다단계 사기와 사실상 같은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먼저 투자한 사람은 엄청난 이익을 얻지만, 이는 나중에 몰려든 투자자들의 돈이라는 것이다.

그는 “다단계 사기가 이렇게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나”라고 자문한 뒤 역대 최고규모의 다단계 금융사기범으로 꼽히는 버나드 메이도프를 예로 들면서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메이도프는 1970년대 초부터 2008년까지 20년 넘게 신규 투자금을 유치해 그 돈으로 기존 투자자의 수익금을 지급하는 금융사기를 저질렀다. 피해액은 650억 달러(약 72조5천억 원)로 역사상 가장 큰 규모다.

다만 크루그먼 교수는 가상화폐의 거품이 조만간 터질 것이라고 확신할 필요도 없다고 지적했다.

금도 실제 생활에서 교환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가치를 인정받는 것처럼 가상화폐 중에서도 1~2개는 생명력을 어느 정도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다.

이어 그는 가상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반복하면서 칼럼을 맺었다.

크루그먼 교수는 “가상화폐가 생명력을 유지하든 말든 별로 큰 상관이 없다는 것이야말로 좋은 소식”이라면서 “가상화폐가 의미 있는 효용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나중에 무슨 일이 생겨도 투기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의 삶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4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