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文 앞에서 중공군 막은 6.25 영웅에 훈장 수여…文대통령·바이든, 무릎 꿇고 사진 찍었다

바이든, ‘친중공파’ 리영희 존경한다는 文 앞에서 중공군 막은 6.25 영웅에 훈장 준다

文, 평소 존경하는 언론인으로 리영희 꼽아…한 네티즌 “文의 똥 씹은 표정이 기대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는 21일(현지 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백악관에서 중공군을 물리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94세의 6.25 전쟁 영웅에게 미군 최고 등급 훈장인 명예 훈장(medal of honor)을 수여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19일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6·25전쟁에서 눈에 띄는 용맹함을 보인 랠프 퍼킷 주니어 예비역 미 육군 대령에게 양국 정상이 함께 명예 훈장을 수여할 것”이라며 “해외 정상이 명예 훈장 수여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만큼 우리(정부)도 매우 기대가 크다.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한)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날 A4 용지 3장 분량의 보도 자료를 통해 퍼킷 대령의 이력에 대해 설명했다. 백악관은 “퍼킷 대령(당시 중위)은 1950년 미 육군 소규모 특수부대인 제8레인저중대를 이끌면서 용맹함과 대담함으로 명성을 떨쳤다”고 했다.

1950년 11월 25일 낮 퍼킷 중위는 청천강 일대 205고지에서 전진하다 중공군의 박격포 및 기관총 기습을 받았다. 당시 23세였던 그는 적의 공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근처 탱크에 올라갔다. 51명의 부대원들이 적의 위치를 파악해 반격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서였다. 백악관은 “그는 부대원들이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세 번이나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켰다”고 했다. 퍼킷 중위의 헌신으로 결국 수백명의 중공군 공격을 물리칠 수 있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평소 공공연하게 존경하는 언론인으로 1970년대 원조 친중공파(親中共派) 리영희를 꼽아왔다. 리영희는 모택동의 문화대혁명을 극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 우호적인 문 대통령 앞에서 중국을 물리친 전쟁 영웅에게 훈장을 수여하는 것이다. 한 네티즌은 “탁현민을 압도하는 백악관의 연출력”이라며 “문재인의 똥 씹은 표정이 기대된다”고 했다.

심민현 기자 smh418@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92

중공군에 맞서 싸운 美 노병…文대통령·바이든, 무릎 꿇고 사진 찍었다

바이든 “한미 양국 군은 3배나 많은 중공군에 맞섰다”

文대통령 “한국, 미국 참전 용사의 힘으로 폐허에서 일어났다”

美 대통령 명예훈장 수여식에 외국 정상 참석, 처음

미국을 방문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국전 참전용사 명예훈장(Medal of Honor) 수여식에 조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참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올해 94세인 한국전쟁 영웅 랠프 퍼켓 주니어 퇴역 대령에게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훈장을 수여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수여한 첫 명예 훈장이다.

퍼켓 대령은 중위로 한국전쟁에 참전해 1950년 11월 25~26일 청천강 북쪽의 전략적 요충지인 205고지 점령 과정에서 중공군에 맞서 활약했다. 당시 퍼켓 중위는 미 육군 특수부대인 제8 레인저 중대를 이끌다가 공격을 받자 가까운 탱크에 올라 최전선으로 이동했고, 부하들을 독려하며 205고지 점령을 이끌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퍼켓 대령의 전과를 자세히 설명하며 “한미 양국 군은 3배나 많은 중공군에 맞섰다”고 강조했다. 미중관계가 격화되고 미국이 동맹을 강조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훈장 수여 후 이어진 기념촬영 때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도 올라와 같이 사진을 찍자는 제스처를 보냈다. 문 대통령은 단상으로 올라갔고, 한미 정상은 휠체어에 앉은 퍼켓 대령의 양 옆에 무릎을 꿇고 사진을 촬영했다.

이 자리에서 한미 정상은 한목소리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강력한 한미 동맹은 미군과 한국군의 희생과 용기로 만들어졌다”며 “문 대통령을 모신 것은 양국이 함께 이룬 성과를 보여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의 평화와 자유를 함께 지켜준 미국 참전 용사의 힘으로 한국은 폐허에서 다시 일어나 번영을 이뤘다”면서 “영웅들의 피로 맺어진 한미 동맹은 한반도를 넘어 평화와 번영의 핵심축이 됐다”고 말했다.

미국 대통령이 명예훈장을 수여하는 행사에 외국 정상이 참석한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해주셔서 영광”이라면서 “양국 간의 동맹관계는 이러한 용기와 단결, 헌신을 한국군과 미군이 함께 보이며 시작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