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의약품청 관계자 “아스트라제네카와 혈전, 인과 관계 있다”…백신 접종 중단되나?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반장, “유럽약품청 결과 검토해 우리 입장 발표하겠다”
‘우한 코로나’ 백신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혈전증 발생 문제 계속해 논란돼…英선 벌써 7명 사망
의학계, “‘우한 코로나’ 치명률 낮은 젊은 층에는 백신 접종 선택권 확대해야” 목소리도
유럽의약품청(EMA) 백신 전략 책임자가 중국발(發) ‘우한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백신 ‘아스트라제네카’(AZ) 접종이 혈전증 발생과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는 견해를 내놨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의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이 공동 개발한 백신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과 혈전증 사이에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접종이 중단될 수도 있다 지적이 나온다.
에 따르면 마르코 카발레리 EMA 백신 전략 책임자는 6일(현지시간) 이탈리아의 일간지 ‘일 메사제로’와의 인터뷰에서 “개인적 의견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혈소판 감소증, 희귀혈전증 등 부작용 간의 인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명백해 보인다”며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향후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이같은 인터뷰 내용이 알려지자 큰 논란이 일었다. 이에 EMA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희귀혈전증 간의 관계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며 “관련 검토가 진행 중인데, 마무리되는대로 기자회견을 통해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EMA는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희귀혈전증 간의 인과 관계에 관한 평가를 진행 중이며 오는 9일까지 이어질 전체회의 기간 동안 ‘아스트라제네카’와 관련해새로운 접종 권고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결과에 따라서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자체가 전면 중단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12월 영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이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부작용에 대한 문제 제기가 꾸준히 있어 왔다.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혈전(血栓) 생성과 관련한 것이었다. 혈전증이란 혈관 속 피가 응고해 뭉치는 현상을 말하는데, 유럽 각지는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이후 혈전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잇따랐다. 영국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접종한 이들 가운데 30여명에게서 혈전증이 발견됐고, 그중 7명이 사망했다. 혈전 발생 환자 가운데 22명이 뇌정맥동 혈전증이어서 문제는 심각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문제가 계속해 제기되자 독일과 네덜란드는 60세 미만, 캐나다와 프랑스는 55세 미만의 인구에 대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보건당국은 30세 미만의 인구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상태.
문제는 한국의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아스트라제네카’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2분기까지 65세에서 74세 사이 노인과 경찰·해경·소방·군인 등 사회 필수인력 등 770만여명에게 ‘아스트라제네카’를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후관리반장은 6일 “오는 9일까지 열리는 유럽의약품청 총회에서 AZ 백신과 혈전 발생에 대한 발표가 이뤄지면, 그 결과에 근거해 전문 자문단 등과 논의해 (우리)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학계에서는 청년층의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치명률이 극히 낮은 만큼, ‘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 부작용 간의 인과 관계가 명확해질 때까지는 접종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를 공동 개발한 영국 옥스퍼드대학은 EMA의 조사 결과가 확정·발표될 때까지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소아(小兒) 임상시험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박순종 기자 francis@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2646
유럽의약품청 “AZ백신-혈전 부작용 분명히 상관관계 있다”
유럽의약품청(EMA)의 한 고위 관계자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혈전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언급했다고 AFP통신이 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EMA의 백신 개발 책임자인 마르코 케발레리는 이탈리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혈액 응고 현상이 백신과 관련이 있는 게 분명하다는 것”이라 말했다. 그러나 백신의 어떤 성분이 이같은 반응을 일으키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조만간 백신과 혈전 부작용 사이의 연결고리가 EMA에 의해 명확히 밝혀질 것”이라며 “우리는 이 일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이해해야만 한다”고 했다.
영국이나 독일 등 유럽 각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 받은 후 혈전 부작용으로 사망한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일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은 지난달 24일까지 백신을 접종 받은 1800만 명 가운데 30명에게서 혈전이 보고됐으며 이중 7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김승현 기자 mykim010@chosun.com]
한국도 AZ백신 수출제한 가능성…당국 “모든 대안 검토”
안동 위탁생산 물량 수출금지 가능성에 “모두 검토”
인도 수출제한 조치에 코백스 저소득국가 공급 차질
“국내생산 증량도 검토…얀센 백신 도입은 협의 중”
원본보기
정유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백신도입팀장은 6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국내 생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수출 금지 가능성에 대해 “조기에 백신을 적절하게 도입하기 위해 가능한 대안을 모두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브리핑 이후 추진단은 “어느 한 수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한 모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제적 수급 상황, 해외 동향 등을 고려해 다양한 대안들을 검토하게 된 것”이라고 수출 제한 가능성 언급 배경을 설명했다.
확정된 건 없다지만 ‘검토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던 일주일 전과는 차이가 있다.
지난달 30일 정유진 팀장은 “수출 제한 조치는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받을 수 있는 영향이나 수출 제한 이후 다른 백신의 우리나라 공급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면서 “현재로서는 수출 제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사와 영국 옥스퍼드대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경북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 위탁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안동 공장에서 생산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국제 백신 공급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개발도상국 등 전 세계 코백스 참여 국가들에도 공급된다.
정부의 수출 제한 언급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전 세계에 공급하기에 앞서 한국 정부가 구매 계약을 체결한 물량부터 우선 공급하는 방안까지도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인도 정부가 인도 세럼연구소에서 생산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해 수출을 제한하면서 애초 이 물량을 공급받기로 했던 저소득 국가들의 백신 공급 일정이 차질을 빚은 바 있다. 모든 참여국에 상반기 백신을 공급하기 위한 코백스 방침에 따라 그 영향으로 코백스를 통한 국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공급 일정에도 차질이 생긴 바 있다.
이외에도 국내 공장 증설을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위탁 생산 물량을 늘리는 방안 등 다양한 백신 확보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정유진 팀장은 “코백스를 통한 백신 도입이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 일정은 코백스나 아스트라제네카 제약사 측의 배분 일정에 대한 것으로 증산이 될 경우 즉각적으로 국내 도입이 될 것이냐 하는 부분은 추가 협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생각된다”며 “이런 부분들을 포함해 여러 가지 대안을 포함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과 유럽을 포함해 세계보건기구(WHO)까지 긴급 사용을 승인했으며 국내에서도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전문가 자문 최종 단계인 최종점검위원회 심의를 앞둔 얀센 백신 도입 일정은 제약사 측과 협의가 아직 진행 중이다. 해당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조기 도입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유진 팀장은 “초반에 (도입 논의가) 진행됐던 아스트라제네카나 화이자에 비해 얀센 백신은 해외에서 이미 허가를 받고 사용되고 있는 이력도 있는 차이가 있다”며 “얀센 백신 수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협의를 진행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imj@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