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 “정부가 백신 안전성 약속” 발언 다음날 AZ접종 환자 2명 사망…믿고 맞을 수 있나?
고양시 50대, 평택시 60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이후 3일 연이어 숨져
文, 2일 국무회의에서 “어떤 백신이든 백신의 안전성을 정부가 약속하고 책임진다”
네티즌들 “문재인이 ‘1호 접종’을 거부한 이유” 등의 반응 보이며 文정부 향해 불신의 눈초리
정말 문재인 정부를 믿고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해도 되는 것일까? 3일 경기 고양시와 평택시에서 우한코로나(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연이어 사망 사례가 발생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호 접종’을 피했던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어떤 백신이든 백신의 안전성을 정부가 약속하고 책임진다. 정치권과 언론도 국민 불안을 부추기는 가짜뉴스들을 경계하면서 안정된 백신 접종을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문 대통령이 ‘안전’과 ‘약속’을 운운한지 하루 만에 사망자가 발생한 것이다. 네티즌들은 “문재인이 ‘1호 접종’을 거부한 이유” “정은경이 이래서 문재인한테 최대한 ‘늦게’ 맞으라고 한 거였구나” 등의 반응을 보이며 문 정부를 향한 불신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3일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오전 고양시 일산동구 한 요양병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50대 A씨가 당일 오후 심장 발작과 호흡곤란이 와 응급처치를 받았다. 하지만 이날 오전 다시 심장 발작이 나타났고, 응급처치를 받았지만 결국 숨졌다. A씨는 심장질환과 당뇨, 뇌졸중 등 복합 기저질환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비보는 이어졌다. 평택시 한 요양병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뒤 중증 이상 반응을 보인 60대 환자도 접종 나흘 만인 이날 오전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뇌혈관 질환으로 평택 모 요양병원에 입원한 B씨는 지난달 27일 오후 2시 30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뒤 다음날 오후 10시 30분부터 고열과 전신 통증 등의 이상 증상을 보였다. 요양병원 측은 진통제와 해열제 등을 처방해 상황을 지켜봤지만, 상태가 호전되다가 악화하는 것을 반복하자 2일 정오께 B씨를 한 상급 병원으로 이송했다. B씨는 패혈증과 폐렴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이날 오전 10시께 숨졌다.
고양시, 평택시 사망자 모두 사망과 백신 접종 사이의 연관성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국민들은 연이은 사망자 발생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비대위 회의에서 “유럽에서는 매우 기피하는 백신 종류의 아스트라제네카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접종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심민현 기자 smh418@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1510
정은경, 백신 사망자 발생에도 “접종 피하지 마시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2건이나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에 비상등이 켜졌다.
3일 질병관리청과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경기도 고양과 평택에서 각각 백신 접종후 사망 사례가 1건씩 신고되면서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긴급 브리핑을 열었다.
“현재 질병청은 해당 지자체와 함께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추가적인 의무기록조사와 시·도의 신속대응팀의 검토, 질병청의 예방접종피해조사반 검토 등을 통해 예방접종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계획”이라는 원론적인 이야기였다.
정 청장은 인과성 확인 방법에 대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2억명 이상 예방접종을 받은 상황이고, 또 각 국가에서 한 달 정도 운영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많이 내고 있다”며 “해당 결과들을 참조하고 개별적인 검토를 거쳐서 이상반응 여부와 인과성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먼저 백신 자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백신 및 제조번호로 접종을 받은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유사 증상 여부를 조사하고, 접종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의료기관 내 접종자들의 이상반응 여부도 확인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어떤 증상이나 검사 소견을 보였는지, 또 사망에 이르게 된 원인이 다른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인지 등을 임상적으로 종합적으로 조사를 하고 판단을 해 인과관계에 대해 판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 처음 도입된 백신인 만큼 접종과 사망 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 청장도 “신규 백신인 코로나19 백신에 대해서는 인과성에 대한 파악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피해조사반의 심의 결과에 대해서는 정리가 되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의 ‘사망과 백신과의 인과성에 대한 판단’ 은 지난해 독감 백신에서도 나타난 것 처럼 시민들의 의혹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사고가 난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가 국내 처음 도입된 백신인데다가, 질병관리청의 지난 행태를 볼 때, 백신과 접종자 사망과의 연관성을 밝힐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는 “사망자가 나왔는데 또 구태의연하게 직접적인 원인이 없으므로 백신을 계속 맞으라고 한다는 것은 의료인으로서 할 수 있는 정상적인 대응이 아니다.” 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질병청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화이자 및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402명의 사망 사례가 보고됐고 독일에서도 113명이 사망한 것으로 신고됐지만, 이 가운데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확인된 것은 현재까지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무조건 백신이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질병청의 주장일 뿐이라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임상 실험 기간이 충분하지 않은 백신을 도대체 무리하게 맞힐려고 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해 하는 시민들의 비난과 제보가 많다. 일부 의료계에서도 백신 접종을 무리하게 독려하는 정부의 정책에 상당히 회의적이다.
반드시 백신을 맞아야만 코로나 사태를 종식시킬 수 있는 것처럼 몰아가는 것도 그렇지만, 어찌되었건 백신을 맞고 두명의 사람이 죽었고, 각종 부작용 보고가 많이 나왔는데 당분간 백신 접종을 중단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료계의 반응도 나온다. 수십명의 현직 의사들은 코로나 백신의 의무 접종에 반대한다는 성명서도 발표할 정도로 이번 백신에 부정적이었다.
질병관리청의 임무가 국민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까지 무조건 백신을 전 국민에게 접종을 시켜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과 함께, 안전한 방법으로 효과적인 방역대책을 세워 국민의 건강을 우선시 해야 된다는 기본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한편 정은경은 “세계 각국에서도 접종 후에 기저질환자나 다른 원인으로 사망자가 다수 보고됐지만, 조사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이자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한 사망으로 확인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며 “국민들께서 과도한 불안감을 갖고 접종을 피하지 않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9419
백신접종후 2명 첫 사망신고..당국 “조사통해 인과성 확인 예정”
고양 50대, 평택 60대 요양병원 입원환자 사망..”역학조사 진행”
정은경, 백신 불안감 확산 우려에 예정에 없던 브리핑 열어 설명
“해외서 백신 관련 사망 아직 한 건도 없어..접종 피하지 마시길”
화이자 백신맞은 日여성 3일만에 뇌출혈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