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의 탐욕, 내 10대 앗아갔다” 게임스탑 뛰어든 美개미 울분…거대 금융 자본에 맞서는 개미의 전쟁

“월가의 탐욕, 내 10대 앗아갔다” 게임스탑 뛰어든 美개미 울분

“너희가 주가를 떨어뜨려도 나는 끝까지 싸울 것이다”

28일(현지시간) 새벽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의 투자자 커뮤니티 ‘월스트릿벳츠'(WSB)에 올라온 글이다. 월가의 헤지펀드사 ‘멜빈캐피털’을 향해 ‘결사 항전’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서한 형태로 띄운 것이다.

WSB는 이른바 ‘공매도 대첩’을 통해 멜빈캐피털 등 헤지펀드를 궁지로 몰아넣어 화제가 된 개인 투자자들의 거점이다. 이들은 게임스탑 이란 종목의 하락에 베팅하며 공매도에 나선 헤지펀드에 맞서 주식을 집중 매수, 주가를 급등시켰다. ‘개미’가 거대 헤지펀드를 굴복시킨 월가 초유의 사건이다.

이들은 왜 이처럼 무모해 보였던 ‘전투’에 뛰어들었을까. 이날 공개서한을 보낸 투자자는 ‘2008년 금융위기의 경험’을 그 이유로 들었다. 당시 “월가의 무책임한 행동이 나와 주위 사람들의 삶에 미친 엄청난 영향을 생생히 기억한다”면서다.

그는 10대 시절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후유증과 함께 보냈다고 했다. 다행히 집을 잃진 않았지만 부모님의 수입이 확 줄어들면서 1년간 음식 저장고에 쌓여 있던 팬케이크, 분유를 먹으며 버텼다고 한다. 집을 잃은 주위 사람들은 더 힘든 상황을 겪었다. 자신의 이모가 얹혀살며 고통스럽게 일자리를 찾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봤고, 친구들은 케첩으로 만든 토마토 수프 맛에 익숙해졌다고 했다.

.이 투자자는 “멜빈캐피털은 그 기간 자신이 혐오했던 모든 것을 상징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월가의 금융기업이 돈을 벌기 위해 시장을 조작하고, 회사를 (공매도로) 착취하며, 법을 어기는 행동들을 했음에도 처벌받지 않을뿐더러 구제금융까지 받은 덕에 오늘날의 멜빈캐피털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월세 자금까지 쏟아부어 게임스탑 주식을 샀다”면서 “10년 전 수백만 명을 고통에 빠뜨린 사람들을 단죄할 수 있는 일생에 한 번 뿐인 기회가 왔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의 글에 레딧 유저들도 댓글 7700여개를 달며 공감을 표시했다. 2008년 경제적 어려움에 몰려 선로에 뛰어든 이를 목격한 일화, 일자리 잃은 어머니가 어떤 도움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이야기 등 저마다의 개인사를 곁들였다. 개별 사연의 진실성 여부를 떠나 게임스탑의 ‘공매도 대첩’에 수많은 개인 투자자를 결집한 주요 동력 중 하나가 2008년 금융위기 때부터 쌓인 대중의 월가에 대한 분노였음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블룸버그 “게임스탑의 거품에는 ‘분노’가 있다”

.블룸버그도 “보통 주가를 밀어 올리는 건 ‘탐욕’이지만 게임스탑의 거품에는 ‘분노’가 있다”는 논평을 내놨다. 어린 시절 금융위기를 겪었던 미국 중산층 자녀들의 좌절과 분노가 집단행동의 배경이 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처럼 ‘화난 거품’을 본 적이 없어 현상에 대한 분석도 쉽지 않다”고 했다.

CNN도 유사한 분석을 내놨다. 레딧의 유저들은 밀레니얼과 Z세대인데 이들이 2011년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시위를 이끈 세대라는 것이다. 실제 레딧 유저들은 게임스탑 외에도 헤지펀드사들이 공매도 포지션을 취한 종목(AMC, 블랙베리 등)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매수해 가격을 끌어올렸다.

공개서한이 올라온 시점은 헤지펀드사 멜빈캐피털과 시트론이 손실을 떠안고 백기 투항한 27일 밤 자정을 넘긴 시점이다. 개인 투자자들의 공세에 게임스탑 주가가 134%가량 오른 347달러를 기록한 뒤 시간 외 거래에서 하락하던 때이기도 하다.

금융 분석업체 등에 따르면 멜빈캐피털은 전체 자산의 30%가량에 해당하는 손실을 보았을 것으로 추산된다. 멜빈케피털은 이달 초까지 125억 달러(약 13조9000억원)를 운용하며 월가에서 최고 실적을 자랑했던 투자사다.

판 커지는 논란, 美 정치권·검찰도 가세

.두 헤지펀드사가 무릎을 꿇으면서 ‘개인 투자자가 승리했다’는 보도가 쏟아졌지만 이게 끝은 아니었다. 28일 게임스탑의 주가는 -44%(193달러)까지 빠졌다. 장중 저가는 -67%(112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로빈후드’ 등 일부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들이 주가 변동이 심하다며 거래를 제한한 영향이 컸다. 게임스탑의 ‘매수’ 버튼은 작동하지 않고 ‘매도’ 버튼만 작동하게 한 것이다. 반면 헤지펀드의 공매도 거래는 가능했다.

그러자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당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의원은 2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용납할 수 없다. 헤지펀드들은 자유롭게 원하는 대로 거래를 하는 동안 로빈후드는 개인투자자들의 거래를 막았다. 하원 금융위원회 소속 의원으로서 필요시 청문회를 지원할 것”이라고 적었다. 공화당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도 오카시오 의원의 트위터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공매도 세력에 대한 반감을 표시해 온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도 오카시오 의원의 트윗에 “물론”이라는 댓글을 달았다.

결국 미국 의회는 게임스탑 사태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고, 뉴욕 검찰은 로빈후드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레딧 월스트릿벳츠 개설자에 따르면 2018년 수천 명에 불과했던 개인 투자자 그룹은 2020년 3월 100만명을 돌파했고, 최근 게임스탑 사태에 들어서면서는 200만명을 넘어섰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월가의 탐욕, 내 10대 앗아갔다” 게임스탑 뛰어든 美개미 울분

게임스탑 주가 급등락 사태의 배경에 자리한 것, 분노하는 사람들의 로빈후드식 반격!

갈수록 부실이 커지고 있는 게임스탑의 주가를 두고 벌어진 일련이 사태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사태의 주인공들은 주택담보부증권(주택담보모기지론의 파생상품들)의 부실에서 촉발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피해자들과 그들의 자식세대인 MZ세대입니다. 이들이 목표하는 것은 수많은 금융위기를 통해 상위 1%의 배만 불려준 지금까지 반민주적이고 비합리적인 금융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50년을 바로잡겠다는 것입니다.

‘월가를 점령하라’라 디지털 게임으로 대표되는 이들은 작게는 백악관으로 대표되는 연방정부를 장악한, 최대한 넓혀도 의회와 월스트리트, 허리우드, 군산복합체 등을 장악한 아이비리그 출신의 자본주의 귀족가문들이 규제받지 않는 시장경제를 이용해 상위 1%(최근에는 상위 0.01%)에게 하위 99%의 재산을 이전시킨 신자유주의의 메커니즘을 종식시키려고 합니다. 상위 1%의, 상위 1%에 의한, 상위 1%를 위한 그들만의 사회주의를 끝장내겠다는 것이지요.

수없이 많은 금융위기와 경제위기를 일으킨 대형 금융업체와 헤지펀드, 자산가, 금융브로커들이 지배해온 주식시장의 를, 즉 게임의 법칙을 이번 기회에 바로잡겠다는 분노하는 사람들의 연대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바이든 행정부와 동시에 상하원을 장악한 민주당이 이번 사태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미국의 붕괴와 세계경제의 몰락은 피할 수 없습니다.

‘월가를 점령하라’의 주역들과 그의 자식들, 디지털세계를 주도하는 MZ세대의 거대한 분노가 대마불사의 월스트리와 상위 1%를 위한 그들만의 사회주의인 딥 스테이트를 뿌리 채 흔들 수 있을까요? 이들의 방식은 지금까지 상위 1%가 베만 불려온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복사판이라 찻잔 속의 태풍으로 그칠지 거대한 태풍으로 자라나 미국 이외의 나라들을 박살내버릴지 두렵고 걱정이 앞섭니다.

출처: https://doitnow61.tistory.com/2713 [늙은도령의 세상보기]

‘게임스톱 전쟁 안끝났다’…공매도세력, 22조원 손실에도 버티기

게임스톱 공매도 총액 12조원으로 전체 3위…최근 7일간 불과 8% 감소

‘개미(개인 투자자)들의 반란’으로 화제를 모은 게임스톱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게임스톱 주식을 대량 공매도한 일부 헤지펀드가 손을 털고 나오면서 항복을 선언했으나, 대부분의 공매도 세력은 천문학적인 손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버티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 분석업체 S3 파트너스는 29일(현지시간) 게임스톱 공매도 주식 총액이 112억달러(약 12조5천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총액 기준으로 게임스톱은 미국에서 투자자들이 테슬라, 애플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공매도한 주식이다.

지난 7일간 게임스톱 주식에 대한 공매도는 불과 8%(500만달러)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게임스톱 사태에서 개미들이 이미 완승을 거뒀다는 세간의 인식과는 다소 온도차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로 결집한 개인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에 멜빈 캐피털과 시트론 리서치 등 몇몇 헤지펀드가 백기투항을 선언했으나, 공매도 세력 대부분은 굳건히 버티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호 두사니스키 S3 이사는 “대부분의 게임스톱 공매도가 청산됐다는 말이 들리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공매도 주식은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매도란 게임스톱의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판 뒤 나중에 가격이 떨어진 뒤 매수해서 갚는 방식의 투자 기법이다.

그러나 헤지펀드의 공공연한 공매도에 반발한 개인 투자자들이 뭉쳐 한 달간 주가를 1,700% 가까이 띄우는 바람에 게임스톱 공매도에 투자한 세력은 올해 들어서만 총 197억5천만달러(약 22조원)의 천문학적 손실을 냈다.

게임스톱 주가가 폭등하면서 공매도 주식에 대한 대여 수수료도 29.32%까지 올랐다고 CNBC방송이 전했다. 이는 기존 공매도 주식에 대한 수수료로 새로 공매도하는 주식 대여 수수료는 50%에 이른다.

<연합뉴스>

22조짜리 레딧발 ‘공매도 전쟁’…게임스톱 대체 뭐길래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미국 서브컬쳐의 성지와도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이 월가와 한판 붙었습니다. 전 세계가 ‘게임스톱(GameStop)’을 둘러싼 공매도 전쟁의 추이를 긴장 속에 지켜보고 있습니다. 의회의 청문회 소집에 이어 검찰 수사까지 시작되며 사태는 정치권의 ‘월가 손보기’로까지 번지는 모양샙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코스피(KOSPI) 역시 17거래일만 3,000선을 무너뜨리며 타격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대체 이게 무슨 난리인지, 게임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사태의 원인과 결말을 짚어보겠습니다.

①게임 팩 팔던 그 회사 게임스톱

우선 게임스톱이 대체 뭐하는 회사인지, 어쩌다 헤지펀드의 타깃이 된 건지부터 알아봅시다. 게임스톱은 전 세계에 6,700여 개의 매장을 두고 비디오게임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게임 소매 체인입니다. 여기까지만 봐도 업황이 어떨지 대략 감이 오시죠. 온라인 게임 유통채널에 밀려 힘을 못 쓰면서 오는 3월까지 1,000개 매장을 정리한다고 밝힐 정도로 사세가 기울었습니다. 이에 멜빈캐피털을 포함한 일부 헤지펀드는 지난해 말부터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에 나섰습니다. 공매도란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뜻입니다.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고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이를 사들인 뒤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기법입니다. 당연히 주가가 하락할 종목이 공매도의 대상이 됩니다.

여기서 레딧이 나타납니다. 글타래가 이어지면서 토론을 하고 각종 인터넷 ‘밈(meme·유행하는 이미지)’을 나누는 공간인 커뮤니티죠. 주제별 토론방에서 의견 교환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디씨인사이드와 유사합니다. 여기에는 ‘월스트리트베츠’라는 주식 종목토론방이 있는데요, 이 방 구독자만 400만명 규모입니다. 헤지펀드들이 밀레니얼 세대 추억의 어린 게임스톱 공매도에 나섰다는 소식에 레딧의 ‘불개미(개인 투자자)’들이 달려들었습니다.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한 거죠. 테슬라 최고경영책임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에 게임스톱 좌표를 찍자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50% 넘게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게임스톱 주식은 무려 1,700% 폭등했습니다.

예상과 달리 주가가 올라가면 주식을 공매도한 헤지펀드는 주식을 오히려 비싸게 사서 갚아야 하는 손해를 보게 되죠. 일명 ‘쇼트 스퀴즈’입니다. 헤지펀드 멜빈캐피털은 결국 지난 27일(현지시간) 37억달러(4조1,325억원)의 손해를 보고 공매도 계약을 종료했습니다. 올해 들어 게임스톱 공매도로 인한 손실 규모는 197억5,000만달러(약 22조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②게임처럼 쉬운 투자로 ‘빵’ 뜬 로빈후드

개미들의 승리 서사가 이어지는 듯했지만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합니다. 28일(현지시간) 거래 플랫폼인 주식 앱 ‘로빈후드(Robinhood)’가 게임스톱 거래를 아예 막아버린 겁니다. 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바로 로빈후드가 시장과 직거래하는 증권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로빈후드는 미국 MZ(밀레니얼·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은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설립된 로빈후드는 현재 미국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주식거래 플랫폼으로, 1,300만개가 넘는 주식계좌가 계설돼 있죠. 거래 수수료를 없애고 복잡한 거래 절차를 들어내면서 등장하자마자 많은 이들을 새롭게 주식 시장으로 끌어들였고, 대신 단타 매매나 옵션거래 같은 고위험성 거래의 치명성을 희석시킨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로빈후드는 매력적인 주식 거래 앱으로 보이지만, 사실 그 비즈니스 모델 역시 상당기간 동안 논란이 되어 왔습니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소셜딜레마’는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있다면, 당신이 바로 상품”이라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수익구조에 대해 경고하죠. 로빈후드 역시 마찬가집니다.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로빈후드는 고객으로부터 수수료를 받지 않는 대신 고객들의 주식거래 주문을 대형 증권거래회사들에 넘겨 주문을 처리하게 해주는 대가로 보상금을 받는 ‘투자자 주식 주문 정보 판매(PFOF)’로 대부분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로빈후드의 주문은 다른 증권사 고객보다 나쁜 가격에 처리됐고, 로빈후드는 이를 숨겨 고객을 기만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12월 6,500만달러(약 714억원)의 벌금을 냈습니다.

실제로 로빈후드가 게임스톱 매수를 차단하면서 개미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 로빈후드 측은 “회사와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했으나 뉴욕 검찰은 조사에 착수했고 행정부·규제당국의 모니터링, 의회의 청문회 소집 등이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③레딧 vs 월가…게임보다 더 게임 같은 상황

근본적으로 게임스톱 사태를 초래한 것은 미국 금융의 중심부, 월가에 대한 뿌리 깊은 증오입니다. 금융권 엘리트와 기관들이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돈놀이’를 일삼고, 이를 통해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부를 끌어모은다는 인식에서 비롯한 거죠. 레딧에서는 이번 일이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초래한 금융회사들에 대한 복수라는 분석이 공감을 받기도 했습니다.

당시 시위대는 1%의 금융 거부들이 전체 부의 50%를 차지하는 현실에 저항한다는 의미에서 “우리는 99%”라는 구호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경제난과 실업 문제가 들이닥쳤지만 금융가에서는 상품 판매에 대한 책임을 지기는커녕 성과급 잔치를 벌여 대중의 분노를 불렀죠. 금융위기에 대한 반발로 2011년 미국에서 일어났던 대규모 월가 점령 시위가 이번에는 게임스톱 주식 매수라는 행동으로 옮겨진 셈입니다.

불개미들은 게임스톱을 너머 다른 종목으로도 진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휴대폰 업체 노키아, 독일의 제약업체 에보텍, 영국의 출판업체 피어슨 등 종목의 주가가 잇따라 상승했습니다. JP모건은 공매도 비중이 큰 부동산 업체 마세리치, 외식업체 치즈케이크팩토리 등 45개 종목을 불개미들의 다음 타깃으로 꼽았습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HGGZ1O6X

드디어 시작된 ‘거대한 반격’에 바이든-시진핑 대충격 | 게임스탑

트럼프의 개미군단, 월가 딥스에 역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