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승객 빽빽, 방역수칙 잘지킨 교회 대면예배 왜 막나”…교회들 ‘소송 맞불’

“지하철 승객 빽빽, 대면예배 왜 막나”…목사들 ‘소송 맞불’

정부의 대면예배 금지 조치에 전국 곳곳의 교회가 소송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교회에 대한 차별적 방역이라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 일각에서는 대면예배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역 33개 교회가 모인 ‘예배 회복을 위한 자유시민연대’는 지난 13일 “교회에 대한 방역 조치는 타 시설에 비해 가혹하다 못해 매우 차별적”이라며 대전지법에 대면예배 금지명령 취소 청구 행정소송을 냈다.

지난 11일에는 부산 세계로교회가 폐쇄조치에 대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이 교회는 집합금지 명령을 어기며 대면예배를 강행하다 시설 폐쇄조치를 당했다.

손현보 세계로교회 목사는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하루에만 730만명이 다니는 서울 지하철은 무슨 ‘기적의 지하철’이냐”며 “거리두기 철저히 한 교회가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방역지침 준수하면 대면 예배 허가해야…교회만 차별적 방역”

기독교계에는 손 목사의 주장에 공감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서울 서초구에서 교회를 운영하는 A 목사는 “교회를 상대로 한 방역 지침에 형평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교회만 방역 지침에서 제외해달라는 뜻이 아니다. 영화관에서 좌석을 띄어 앉아 영화를 볼 수는 있는데 왜 교회는 그럴 수 없냐”며 “코로나 확산 초기부터 방역수칙을 지켜온 상황에서 1년 이상 비대면 예배를 드리라는 건 지나치다”고 토로했다.

정부가 방역지침을 만들 때 교계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서초구의 B목사는 “교회가 정부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도 “지금은 일방적으로 지침을 결정해 공문을 내려보내고 위반하면 단속하겠다는 태도로 나오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서초구의 또 다른 교회 C목사 역시 “방역수칙을 만들 때 교회의 협조를 구했다면 지금처럼 반발이 없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부산세계로 교회의 소송은 그동안 쌓인 방역에 대한 불만에 교회가 강대강으로 나서기 시작한 것”이라며 “중대형 교회가 움직이니 교계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회 관련 코로나 확진율 6.7%… 방역 잘하고 있는 증거

지난해 코로나19 감염경로에서 교회를 비롯한 종교단체 관련 확진율이 6.7%에 그쳤으며, 이에 대해 한 의료 전문가는 이는 한국교회가 방역을 잘하고 있는 증거라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기독일보가 최근 보도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가 지난해 12월 31일에 발표한 ‘2020년 코로나19 발생 현황’에 따르면, 전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6만 470명이다. 코로나19 감염경로를 보면 ‘선행 확진자 접촉’이 총 1만 5595명(26.1%)으로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지역적 산발 감염은 1만 612명(17%), 감염경로 불분명은 7932명(13%), 해외유입은 5605명(9%)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신천지 관련은 5213명(8.7%), 신천지를 제외한 모든 종교단체는 4059명(6.7%)으로 조사됐다. 교회 관련 확진자만 따지면, 앞서 모든 종교단체를 합산한 수치인 6.7%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또 의료기관·요양병원 시설은 5410명(6%), 직장 콜센터 등은 3211명(5%), 가족 지인 모임관련은 2833명(5%) 순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신천지를 제외한 종교 단체발 확진자’가 전체 감염경로 중 6.7%에 그쳤음에도 방역당국과 언론이 교회를 코로나19 감염의 진원지인 것처럼 발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감염학을 전공한 김동욱 전문의(청주항도외과 원장)는 “한국에서 전체 개신교 인구 비율이 약 15% 정도인데, 그러면 교회발 확진자는 동일하게 15% 정도가 나와야 한다. 그런데 질본 통계에서 6%대에 그쳤다는 건 교회가 그만큼 방역을 잘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는 “10~11월까지 주요 언론매체에서 ‘교회발 감염’이라는 기사제목을 검색해본 결과, 언론보도의 60~70%가 교회라고 기사화됐다. 사람들 인식 속에 ‘교회를 코로나19의 진원지’라고 각인시키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감염경로에서 여러 계층과 집단이 섞여 있어서 병에 취약한 집단, 연령, 계층 등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가 실시돼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아 객관적 수치를 얻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지난 2월, 코로나19 확산의 기폭제였던 31번 환자는 3차 감염환자였다. 그 때부터 N차 감염이 일어난 것”이라며 “이는 한국이 코로나19 확산초기에 중국인 입국자를 막지 않아서 생긴 문제다. 대만도 확산 초기에 중국인 입국자를 막아 현재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했다고 선언했다. 한국이 초기 대응만 잘했어도, 지금과 같은 상황은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복음기도신문]

천주교광주대교구 사제서품미사는 돼도, 교회는 안돼

집단감염 15% 종교시설서 발생…집합금지 어기면 폐쇄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