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불꺼진 헬스장서 극단 선택한 50대 관장 “가족에 미안”…형평성 없는 방역조치에 ‘오픈 시위’ 확산

새해 첫날 불꺼진 헬스장서 극단 선택한 50대 관장 “가족에 미안”

대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던 50대 관장이 새해 첫날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일 대구소방본부와 경찰은 지난 1일 오후 6시 40분경 대구 한 헬스장에서 50대 관장 A 씨가 사망한 상태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가족이 쓰러져있는 A 씨를 보고 경찰에 신고했다.

A 씨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유서 형식의 메모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타살 등 범죄 혐의점이 없다는 점을 미뤄봤을 때 A 씨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일각에선 A 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영난에 시달리다 안타까운 선택을 한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왔다.

헬스장 운영자가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엔 “신천지예수교(신천지) 때문에 두 달 문 닫고 너무 힘들었다”며 “이제 좀 살만하나 했더니 ‘3차 유행’으로 헬스업계 곡소리 난다” 등 글이 수없이 올라왔다.

또한 “핀셋 업종 죽이기이다. 정부는 스키장 등 목소리 큰 업체 눈치 보며 영업 허가했다. 소상공인만 죽어난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 피해를 호소했다. 대구 지역 거리두기는 2단계이지만, 지난달 24일부터 연말연시 방역강화 대책 시행으로 실내체육시설 이용 인원이 제한되고 오후 9시 이후 운영이 금지됐다.

정부는 4일부터 그동안 운영이 금지됐던 전국의 스키장, 수도권 지역 학원 및 교습소 등 제한적인 운영을 허용했다. 먼저 스키장 등 겨울 스포츠 시설은 운영을 허용하되 수용 인원을 3분의 1 이내로 제한하고, 오후 9시 이후 문을 닫도록 했다. 장비 대여 시설이나 탈의실은 운영할 수 있지만, 스키장 내에 위치한 식당, 카페 등은 기존처럼 집합 금지 조치가 유지된다.

수도권의 학원과 교습소는 방학 중 돌봄 공백 문제 등을 고려해 같은 시간대 교습 인원이 9명까지라면 방역수칙을 지키는 전제로 운영이 허용된다.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다니는 태권도 학원, 발레 학원 등도 마찬가지다.

정부 조치에 대해 일부에선 “학원도 스키장도 되는데 왜 카페나 헬스장은 안 되나”, “대체 기준이 뭐냐” 등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장연제 동아닷컴 기자 jeje@donga.com

이래 죽으니 저래 죽으나! “헬스장 문 열겠다”…형평성 없는 방역조치에 ‘오픈 시위’ 확산

헬스장 업주들이 방역 당국의 기준 없는 영업 제한 조치에 반발하며 운영을 재개하려는 시위가 확산하고 있다.

4일 오성영 전국헬스클럽관장협회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수도권에 운영금지중인 자영업자 여러분 내일부터 모두 다 정상적으로 오픈하자”며 정부의 형평성 없는 조치에 항의했다.

그는 “우리 국민 대부분이 처음부터 3단계로 굵고 짧게 가자고 그렇게 이야기를 했지만, K-방역으로 자화자찬만 늘어놓더니 이게 무엇이냐”며 “머슴(정부) 월급 주는 주인들(국민)이 다 굶어 죽어간다”고 비판했다.

방역 당국은 3일까지였던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 집합 금지 조치를 이달 17일까지 2주 연장 시행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태권도, 발레 등 학원으로 등록된 소규모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동시간대 교습 인원이 9명 이하면 영업을 허용하기로 하는 등 형평성 없는 방역조치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헬스장 업주들은 같은 실내체육시설이지만 다른 기준이 적용되는 방역 정책에 항의 차원에서 헬스장 문을 다시 여는 단체행동인 일명 ‘오픈시위’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굶어죽느니 헬스장 문 열어…영업정지 불복 궐기대회 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