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북한문제, 중국 공산당 같은 교활한 조력자에게 더 이상 맡기지 말라”…美 국무부 “인권침해 관여한 중국 공산당 입국제한”

폼페이오 “북한문제, 중국 공산당 같은 교활한 조력자에게 더 이상 맡기지 말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북한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다수의 게시물을 자신의 트위터에 연달아 올렸다. 강경화 외무부장관에게는 작별인사를 보냈다.

폼페이오 장관은 “수십 년 동안 계속됐던 북한에 대한 회유와 위험한 불개입은 끝났다”며 “우리의 외교 정책을 중국 공산당과 같은 교활한 조력자(enabler)들에게 맡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지금’이라는 제목 아래 ▲더 이상 탄도미사일 시험을 하지 않으며 ▲핵시험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정권은 더 약해졌고 ▲(북중) 국경에서의 긴장은 줄어들었다고 정리한 표를 게시했다.

그는 이 트위터에 “최대압박정책은 통한다” “아메리칸 퍼스트”와 같은 해시태그를 달았다.

또한 폼페이오 장관은 강경화 장관을 향해 “한반도를 더 안전하고 더 자유롭게 만들도록 도와줘서 감사하다”며 “강 장관과 함께 일할 수 있어 좋았다”고 했다. 그는 과거 강 장관과 함께 찍은 사진도 공유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된 다수의 트윗을 날렸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과 대화를 시도했다. 유화정책은 결코 통하지 않는다. ‘전략적 인내’는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새로운 무엇인가를 시도했다”고 썼다. 오바마 정권의 대북정책인 ‘전략적 인내’ 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이 트윗에 “최대압박정책”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이어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자신이 김정은과 만나 악수하는 사진을 게재하면서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서 나의 역할은 김 위원장과 미국의 협상의 문을 여는 것”이라고 회상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유리한 위치에서 북한과 협상을 했다”며 “미국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유엔 안보리가 제재를 가하도록 전 세계를 연합했으며 유엔이 제재를 가하도록 만들었다”고 했다.

또한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이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악수하는 사진을 게재하며 “싱가포르와 하노이에서 두 번의 정상회담이 열렸으며 이후 DMZ에서 역사적인 만남이 있었다. 승리를 부인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2018년 싱가포르 성명은 북한 지도자가 처음으로 발표한 광범위한 비핵화에 대한 약속”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북한은 미북 정상회담이 시작한 뒤로 핵무기를 시험하지도 않았고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하지도 않았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의 송환과 6.25 참전 용사들의 유해 송환에 대해서도 기록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2018년 5월 나는 수 년간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들을 데려올 수 있었다”며 “그 날은 내가 국무장관으로서 일했던 동안 최고의 날들 가운데 하나”라고 했다.

또한 그는 “우리는 한국 전쟁에서 전사한 70인의 미국인들의 유해를 모셔올 수 있었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무부의 노력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의회에 탈북자 지성호 씨를 초청하기 전과 후로 미 국무부는 탈북자들의 목소리를 들려주고 모든 북한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해 주기 위해 지칠 줄 모르고 노력했다”고 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美 국무부 “인권침해 관여한 중국 공산당 입국제한···중국민 탄압에 책임 묻겠다”

폼페이오 장관 “중국민에 대한 중공의 탄압에 책임을 묻겠다는 미국 정부의 결의”

미 국무부 보고서, 중국의 궁극적 목표 “독재주의 통치하에 세계를 지배하는 것”

중국 외교부 “미국이 비자 제한을 철회하길 바란다···국익 수호할 것”

미국이 중국 공산당에 대한 비자 제한 조치를 감행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21일 중국 관리들의 미국 입국 제한을 발표했다. 인권 침해에 관여했다는 판단이었다.

▮폼페이오 장관 “중국민에 대한 중공의 탄압에 책임을 묻겠다는 미국 정부의 결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 날 성명에서 “이번 조처는 중국민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탄압에 책임을 묻겠다는 미국 정부의 결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입국 제재 대상에 대하여 폼페이오 장관은 “종교활동가, 소수민족, 반체제 인사, 인권 옹호자 시민단체 활동가 등을 탄압하기 위한 정책이나 조처에 책임이 있거나 공모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 관리들”이라고 밝혔다.

그간 미 국무부는 공산당 고위 관리들에게도 비자 제한과 미국 내 자산 동결 등의 조치를 해왔다.

신장 위구르 소수민족,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과 자치권 침해, 티베트 소수민족 등 인권 탄압에 연루된 자들 대상이었다.

앞서 미 국무부는 폼페이오 장관의 지시로 작성된 74쪽의 보고서에서 중국의 궁극적 목표는 “독재주의 통치하에 세계를 지배하는 것”임을 주장한 바 있다.

▮중국 외교부 “미국이 비자 제한을 철회하길 바란다···국익 수호할 것”

이번 조처에 대해 중국 정부는 강하게 반발했다. 미국이 인권과 종교를 구실로 내정 간섭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비자 제한을 철회하길 바란다”면서 “중국은 필요한 대응으로 국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