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후진국 돕는 코백스에서 백신 선점하겠다고?…‘K-치료제’도 헛물?…의학저널 “항체치료제 효과 없다”…빈수레 K방역

文정부, 후진국 돕는 코백스에서 백신 선점하겠다고?…글로벌 모럴해저드에 전문가들 “참담하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정부의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한 코로나19 백신 공급에 대해 “개발도상국을 위한 기구에서 1000만명분을 먼저 받아 오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우주 교수는 29일 펜앤드마이크tv 전화 인터뷰를 통해 “코백스는 선진국의 기부로 아프리카 국가들이나 개발도상국이 지원을 받는 기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코백스를 통한 백신 공급은 아직 구체화된 것이 없다”며 “(백신 공급이)내년 후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한국이 먼저 백신을 공급받겠다고 하면 참여한 개발도상국 국가들은 우리나라를 어떻게 볼지 참담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격에도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전날 코백스와 협상을 체결한 1000만명분의 백신을 내년 1분기에 공급받는 것을 목표로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세계보건기구(WHO),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이 지난 6월 아프리카 등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 백신 보급을 위해 만들어진 협의체다.

한국, 일본 뉴질랜드, 영국 등 고소득국 90여개국과 저소득국 90여개국 등 180여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다만 다수 선진국들은 코백스를 통한 백신 공급이 이뤄지기 전 이미 많은 양의 백신을 확보 해놓은 상태다. 영국은 290%, 호주는 226%, 일본은 115%의 백신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코백스가 확보한 백신에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백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백스는 현재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억7000만회분, 노바백스 백신 2억회분, 얀센(존슨앤드존스) 백신 5억회분, 사노피·지에스케이(GSK) 백신 2억회분, 개발 중인 유력 백신 개발사의 백신 10억회분을 확보한 상태다. 미국 화이자나 모더나의 백신은 포함되지 않았다.

“항체 치료제, 코로나 19 해결할 ‘게임 체인저’ 될 수 없어”…文은 치료제 기대

한편 김우주 교수는 셀트리온의 항체 치료제에 대해 코로나19를 해결할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조건부 사용 승인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방역 모범국가에 이어 백신과 치료제까지 세 박자를 모두 갖춘 코로나 극복 모범국가가 되는 것이 우리의 당면 목표”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정부는 백신 개발에 있어서는 아직 세계 수준과 차이가 있지만 치료제는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그동안 밝혀왔고 현재까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이에 김우주 교수는 “항체 치료제 임상 내용을 보면 중증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무증상 환자는 자연 치료되기 때문에 (항체 치료제를)투약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그는 또 “미국에서 일라이 릴리에 긴급 사용 허용을 했지만 사용 대상이 매우 협소하다”며 “미국 정부에서 항소 치료제 53만명분을 각 병원에 치료하라고 보냈지만 사용률은 20%밖에 안된다”고 말했다.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미국의사협회지’ 등 의학연구 최고 권위 국제 학술지에 따르면 항체 치료제는 중증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文대통령 ‘K-치료제’도 헛물?…의학저널 “항체치료제 효과 없다”

‘일라이 릴리’ 항체치료제 효과 없어…文정부 기대주 셀트리온, 임직원 주식 매도

문재인정부가 우한코로나(코로나19) 관련 ‘K-방역 성공 요인’으로 내세우는 세 가지가 방역·백신·치료제다. 이 가운데 국산 치료제는 효과가 커 성공작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치료제 또한 방역·백신과 마찬가지로 국민에게 실망을 줄 가능성이 있다.

해외 의학저널 “일라이 릴리사 항체치료제 효과 없어”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방역과 경제의 동반성공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예의 ‘K-방역’ 이야기를 또 꺼냈다.

이날 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방역 모범국가에 이어 백신과 치료제까지 세 박자를 모두 갖춘 코로나 극복 모범국가가 되는 것이 우리의 당면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민의 생각은 대통령과 다르다. 방역은 거리 두기 상향조정 시기를 놓쳐 사실상 실패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백신 또한 시기를 놓쳐 충분한 양을 확보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도 언급한 치료제는 녹십자와 셀트리온 등이 개발 중인 항체치료제를 말한다. 지난 10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사용했던 ‘리제네론’사의 항체치료제는 효과가 있었다.

BBC는 지난 10월 “영국에서 중증 환자에게 ‘리제네론’ 항체치료제를 사용했더니 상태가 크게 호전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모든 항체치료제의 효과가 같지는 않다.

세계적 의학학술저널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은 지난 22일(이하 현지시간) “일라이릴리사의 항체치료제가 중증 환자들에게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는 내용의 논문을 실었다. 일라이릴리는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은 세계 13위 제약기업이다. 38위의 ‘리제네론’과는 비교가 안 되는 대기업이다.

논문은 ‘ACTIV-3/TICO 스터디그룹’에서 작성했다. 연구진은 일라이릴리의 항체치료제 ‘LY-CoV555’를 우한코로나로 입원한 환자들에게 투여했지만 눈에 띄는 효과는 없었다고 밝혔다. LY-CoV555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경증 치료제로 긴급승인받았지만 중증환자에게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사협회지에도 항체치료제의 효과가 예상만큼 크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탈리아에서 이뤄진 연구에서도 항체치료제는 중증환자를 회복시키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 같은 항체치료제라도 효과가 다를 수 있음에도 문재인정부는 국산 항체치료제가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셀트리온과 녹십자가 항체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일라이릴리가 개발했던 것과 같은 단일 클론 항체치료제다. 이중 셀트리온 항체치료제가 먼저 정부의 사용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각에서는 내년 1월 말이면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2상 임상시험이 11월에야 끝났고, 3상 임상시험은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음에도 사용승인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문재인정부의 기대가 크기 때문이라는 풀이가 많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8일 “내일 국산 우한코로나 치료제의 조건부 사용승인 신청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접수된다”며 “(우한코로나) 조기 치료에 성공한다면 ‘K-방역’이 또 하나의 쾌거를 올리게 된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국무회의에서 우한코로나 치료제를 언급했다. 모두 셀트리온 항체치료제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치료제 개발에 자신감을 보이는 셀트리온 측은 28일 임직원과 그 가족의 자사 주식거래를 금지한다는 지시를 내렸다. 셀트리온 측은 “최근 우한코로나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인데 임직원들의 주식거래가 개인의 법적 책임을 묻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를 밝혔다.

처음에는 우한코로나 치료제가 성공할 경우 향후 내부자거래 의혹과 같은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SBS 보도가 나온 뒤 시선이 달라졌다.

“셀트리온이 개발 중인 우한코로나 항체치료제 특례 사용승인 신청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나온 12월 들어 임직원들이 주식을 팔아치웠다”고 방송은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유헌영 셀트리온 홀딩스 부회장이 약 36억원, 이상윤 셀트리온 전무가 약 15억원, 구경회 셀트리온 복지재단 이사가 약 14억원어치 등 7명의 임직원이 100억원어치에 가까운 주식을 장내 매도했다.

셀트리온 항체치료제가 ‘리제네론’을 능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보인다면 주가급등이 기정사실임에도 임직원들은 자사 주식을 대량 매도한 것이다.

“셀트리온 측은 임직원의 주식 매도는 개인적 사안이라 이유를 알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빈수레 K방역, 대만과 일본은?

코로나 사태에서 대만은 누가 뭐래도 자타가 공인할 수 밖에 없는 코로나 방역 1등국가다. 인구가 2500만 가까이나 되고, 인구 밀도도 높은데, 지금까지 누적 확진자가 1000명이 안된다. 거기에 경제성장도 2%대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야말로 자타가 공인할 수밖에 없는 모범 방역선진국이다. 대만이 이렇게 된 기초는 코로나 초기 대중국 봉쇄 정잭 때문이었다. 철저히 모기와 해충이 들어오는 창을 봉쇄해놓고 마스크 공급 등에서 철저했다.

대만이 경제성장도 유지하며 자타가 공인하는 1등 방역국가라면 일본은 초기 대응에서 조금 혼란스런 모습을 보였지만 초기를 빼면 대단히 안정된 방역선진국이라 평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초기 시험에서는 잠깐 실수를 했지만 이내 실수를 만회하고 안정적 방역선진국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나 OECD 평가에서도 일본이 대한민국보다 훨씬 더 나은 등위를 유지하는 것에서도 확인된다. 즉 일본인 특유의 질서의식과 인내심과 철저하고 꼼꼼한 일본 정부의 움직임 때문에, 소리 소문 없는 방역선진국의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 사태에서 대만을 보면, 누가 뭐래도 자타가 공인할 수 밖에 없는 코로나 방역 1등국가다. 인구가 2500만 가까이나 되고, 인구 밀도도 높은데, 지금까지 누적 확진자가 1000명이 안된다. 거기에 경제성장도 2%대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대만은 코로나 방역 1등국, 일본은 방역 선진국

일본도 초기에 한국처럼 중국발 입국자를 막지 않아 잠시 혼란스런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 다음 내부 발생 환자의 역학조사, 외부 유입 환자에 대한 철저한 격리 및 주민들의 질서의식 등으로 신규환자에서 매우 안정적인 그래프를 유지하고 있다. 거기에 백신조차 안정적 확보를 했고 무료접종까지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처음부터 방역 1등 국가 대만, 처음 실수를 차분히 만회하고 있는 일본에 비해‥ 한국은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 국가다. 초기 중국발 입국자를 열어놓아 방역에 실패한 책임을 국민들 때려잡는 것으로 막아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정부의 대응기조도 오락가락이었고‥ 병상 확보나 백신 준비도 미흡했다.

국민들에게 엄포놓고 국민들 때려잡는 방역활동도 시간이 지나면서는 약효가 반감되게 되었고‥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기조로 인해 우왕좌왕하게 되었다. 거기에 치료 병상이나 치료제 수급, 백신 확보 전략에도 차질을 빗고 있다. 국민들에게 백신 4400명분 확보라며 속이고 있지만 곧 들통나게 돼 있다.

한마디로 대만은 소리 소문없이 꾸준히 1등하는 모범방역국가이고‥ 일본은 처음 실수를 만회하고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는 또다른 방역선진국이지만‥ 대한민국은 뭐하나 제대로 못하면서 국민만 때려잡아 얻은 반짝 성적으로 동네방네 나팔만 불어대는 빈수레 방역선진국이다.

rsfnews@nate.com

출처 : 더 자유일보(http://www.jay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