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혁명을 통한 기독교 문화 해체’ 문화막시즘을 비판한다…정일권 박사 <문화막시즘의 황혼> 출간
김승규 전 법무부 장관 “문화막시즘을 깊게 공부하고자 하는 분은 여러 가지 큰 도움 받을 것”
현 정부에 들어와서 국내에서도 사회주의가 낭만적으로 복권되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국내 언론과 방송에서는 유럽 68 운동과 대한민국의 86 운동권을 비교하면서, 문화막시즘과 사회주의적 성혁명과 성정치를 추구했던 유럽 68 운동이 대한민국에서도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이 소개되기도 한다.
21세기 유럽에서는 이미 저물고 있고 철지난 유럽 사회주의(민주적 사회주의) 운동과 68 운동을 86 운동권 세력이 주도하는 현 정부에서는 뒷북치듯이 주장하고 있다고 이 책은 분석하고 있다.
문화막시즘은 문화혁명을 통해서 기독교 문화를 해체하고자 한다. 중국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운동은 유럽 68 학생 문화혁명 운동에 모델로 작용했다. 문화혁명은 무엇보다도 성혁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일권 박사의 이 책은 문화막시즘에 대해서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문화막시즘의 학문성을 의심한다. 프로이트막시즘으로 이해되는 문화막시즘에 대한 엄밀한 학문적 비판이다. 이 책은 프로이트막시즘, 퀴어이론과 퀴어신학, 젠더이론의 보편적-과학적 학문성 자체를 의심하고 비판한다.
특히 현 정부와 국내 좌파진영에서 학습되고 추진되는 샹탈 무페식의 ‘좌파포퓰리즘’ 운동과 그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에 대한 이해와 비판도 담고 있다. 21세기 거대한 중국 공산당과 사회주의에 인접한 한반도에서 무엇이 최선의 체제인지 그리고 통일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지 치열한 논쟁과 토론을 일으킬 것이다.
이 책은 2020년 한국기독문화연구소(원장 김승규, 전 법무부장관/국정원장)의 학술연구용역으로 선정되고 지원받아 출간됐다.
저자 정일권 박사는 2005년 ‘불멸의 40인’으로 불리는 프랑스 지식인의 최고 명예인 ‘아카데미 프랑세즈’(Academie francaise) 종신회원에 선출된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양 사상을 문명 담론의 차원에서 비교 연구하고 있다.
정 박사는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마르부르크(Marburg)대학교를 거쳐 유럽에서 르네 지라르 이론에 대한 학제적 연구 중심지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 조직신학부 기독교 사회론(Christliche Gesellschaftslehre) 분야에서 신학박사(Th.D.)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인스부르크대학교 인문학부 박사후기 연구자(post-doctoral research fellow) 과정에서 학제적 연구프로젝트 ‘세계 질서-폭력-종교’(Weltordnung-Gewalt-Religion), ‘정치-종교-예술: 갈등과 커뮤니케이션’에서 연구하고 귀국했다. 『질투사회』 (CLC, 2020), 『우주와 문화의 기원: 르네 지라르와 자연과학』 (CLC, 2019), 『붓다와 희생양: 르네 지라르와 불교 문화의 기원』, 『우상의 황혼과 그리스도: 르네 지라르와 현대사상』 등 다수의 책과 논문 발표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28
『문화막시즘의 황혼. 21세기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언』
2019년 독일어권 하이에크 학회(Friedrich A. von Hayek-Gesellschaft) 학술대회에서는 21세기 대한민국의 젊은 세대들이 자본주의보다는 사회주의가 더 나은 체제라고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소개된 바 있다. 현 정부에 들어와서 국내에서도 사회주의가 낭만적으로 복권되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된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국내 언론과 방송에서는 유럽 68 운동과 대한민국의 86 운동권을 비교하면서, 문화막시즘과 사회주의적 성혁명과 성정치를 추구했던 유럽 68 운동이 대한민국에서도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이 소개되기도 한다. 21세기 유럽에서는 이미 저물고 있고 철지난 유럽 사회주의(민주적 사회주의) 운동과 68 운동을 86 운동권 세력이 주도하는 현 정부에서는 뒷북치듯이 주장하고 있다고 이 책을 잘 분석하고 있다. 또한 21세기 글로벌 성혁명과 사회주의 성혁명과 성정치 운동으로 전개되는 차별금지법이 국내에서도 제정되려고 한다. 차별금지법도 문화막시즘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문화막시즘은 주로 독일 프랑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으로 대표되는데, 이러한 문화막시즘은 프로이트막시즘(Freudomarxismus)으로 요약될 수 있다고 이 책은 분석했다. 프로이트막시즘(동성애 운동, 퀴어이론, 젠더 이데올로기)과 사회주의 성정치 운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론가인 주디스 버틀러도 비판이론을 강의하는 교수이다.
21세기 유럽에서도 퇴조하는 사회주의를 공론화하는 21세기 대한민국 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 속에서 이 책은 20세기 후반 지배적인 사조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과 그 문화막시즘의 황혼을 국내에 소개하고자 한다. 정일권 박사의 책은 21세기 유럽 문화막시즘의 황혼, 유럽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퇴조 그리고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언 등을 소개한다. 1990년대부터 유럽 사회주의 정당들의 황혼뿐 아니라, 한 시대를 풍미했던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종말을 주장한 독일과 영국 국적의 랄프 다렌도르프(Ralf Dahrendorf) 교수도 68 학생운동의 지도자 루디 두츠케와 함께 당시에 토론에 나서기도 한 68 운동권 핵심 인물이지만, 이후 점차 자유주의로 전환했다. 한 때 독일 프랑크푸루트 학파에 속했지만, 이후 점차 문화막시즘으로부터의 결별을 선언하면서 자유주의로 전환한 독일의 국가적인 사회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도 문화막시즘의 황혼을 잘 보여주는 학자다.
문화막시즘은 문화혁명을 통해서 기독교 문화를 해체하고자 한다. 중국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운동은 유럽 68 학생 문화혁명 운동에 모델로 작용했다. 문화혁명은 무엇보다도 성혁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1918년 독일의 로자 룩셈부르크 등의 공산주의 혁명 운동 실패 이후 서구막시즘을 추구한 학자들은 왜 러시아와 중국과는 달리 서구에서도 공산주의 혁명이 발생하지 않는가에 대해서 질문을 했고 그 원인을 기독교 문화에서 발견했다. 기독교 문화를 해체해야 사회주의 혁명은 일어날 수 있다고 그들은 보았다. 사회주의 성혁명과 성정치를 통한 기독교 문화의 해체와 전복이라는 중장기적 전략을 문화막시즘은 선택한 것이다. 문화막시즘에서는 ‘혁명은 안단테’로 진행된다.
문화막시즘은 또한 프로이트막시즘(Freudomarxismus)이기도 한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21세기 학계에서도 정립되지 않은 학문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그리스 비극작품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오독 위에 세워진 사상누각이기에, 프로이트막시즘으로 이해되는 문화막시즘도 보편적-과학적 근거가 희박한 사상누각이라는 사실을 이 책은 주장한다.
정일권 박사의 책은 문화막시즘에 대해서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제공한다. 주디스 버틀러도 그리스 비극에 대한 오독을 통해서 동성애 금기 뿐 아니라, 근친상간 금기까지 해체하고 파계하려고 시도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유럽 68 학생 문화혁명 운동이 주도했던 문화막시즘은 21세기에 접어들어서 황혼기에 접어들었다. 왜냐하면 그들의 문화혁명적이고 성혁명적인 문화막시즘 이론들이 일종의 혁명적이고 전복적인 반문화(Gegenkultur) 운동으로부터 나온 것이기 때문에, 그 축제적 반문화 운동으로서의 한계에 직면한 것이다. 문화막시즘의 반문화 운동과 이론에는 인류 문화에 대한 보다 깊은 보편적 이해가 증발되어 있다.
독일 관념론 철학과 독일 낭만주의 운동으로부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라캉의 언어구조주의적 정신분석학, 들뢰즈와 가타리의 ‘안티 오이디푸스’ 모두 ‘오이디푸스 왕’과 같은 그리스 비극에 대한 피상적인 오독과 오해를 하고 있다. 그리스 비극은 혁명문학이 아니라, 당시 그리스 폴리스의 정치적 호국문학이었다. 주디스 버틀러와 같은 학자들은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의 동성애 금기 파계와 근친상간 금기 파계를 그리스 비극의 존재이유인 카타르시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희생염소(scapegoat) 혹은 인간희생양(파르마코스)들의 최악의 범죄행위(하마르티아)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회주의적 성혁명과 성정치 운동의 상징과 근거로 오독하고 있다고 르네 지라르에 대한 국내 최고 권위자인 정일권 박사는 이 책에서 바르게 분석했다.
그렇기에 이 책은 무엇보다도 문화막시즘의 학문성을 의심한다. 이 책은 프로이트막시즘으로 이해되는 문화막시즘에 대한 엄밀한 학문적 비판이다. 이 책은 프로이트막시즘, 퀴어이론과 퀴어신학, 젠더이론의 보편적-과학적 학문성 자체를 의심하고 비판한다. 한다. 보편타당한 학문성이 결여된 이론들이 탑다운 방식의 국가페미니즘의 이름으로 그리고 국가재정을 통해서 강제될 수 있는 현실을 염려하면서 이 책은 비판한다. 문화막시즘의 사회주의적 반문화 이론과 운동에는 신화와 제의, 금기, 그리스 비극 등 인류 문명에 대한 깊은 문화인류학적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 문화막시즘, 프로이트막시즘, 포스트모던적-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모두 반학문적이고 반근대적인 낭만주의 운동으로부터 파생되기에 그들 이론의 비학문성과 반학문성은 태생적이다. 니체는 기독교적인 ‘진리에의 의지’(Wille zur Wahrheit)를 해체하고 ‘권력에의 의지’로 대체하고자 했는데, 문화막시즘도 학문적 진리보다는 권력과 헤게모니를 추구한다. 이 책은 현 정부와 국내 좌파진영에서 학습되고 추진되는 샹탈 무페식의 ‘좌파포퓰리즘’ 운동과 그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에 대한 이해와 비판도 담고 있다.
프로이트막시즘으로 이해되는 문화막시즘의 퇴조에 대해서 소개하는 이 책은 또한 21세기 탑다운 방식의 국가페미니즘(Staatsfeminismus)의 이름으로 국가 재정을 통해서 유포되고 강제되는 젠더페미니즘과 퀴어페미니즘의 보편타당한 학문성(Wissenschaftlichkeit)을 강하게 의심한다. 21세기 글로벌 성혁명과 사회주의 성혁명과 성정치 맥락 속에서 국가페미니즘의 이름으로 유엔(UN)과 유럽연합(EU)으로부터 탑다운 방식으로 강제되는 젠더주의와 퀴어이론 등은 주디스 버틀러 자신도 최근 인정하듯이 거센 글로벌 저항운동에 직면해서 점차 폐지되고 있다. 이 책은 최근 국제적 동향을 소개하면서 나아가 국가 재정이 투입되는 이 국가페미니즘과 그 이론적 기초에 있는 프로이트막시즘(Freudomarxismus)의 학문성을 의심하면서 비판하고 있다.
이 책은 21세기 거대한 중국 공산당과 사회주의에 인접한 한반도에서 무엇이 최선의 체제인지 그리고 통일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지 치열한 논쟁과 토론을 일으킬 것이다.
◈목차
제1장 문화막시즘의 황혼과 유럽 사회민주주의의 종언
위르겐 하버마스의 막시즘과의 결별
서구 민주주의는 기초는 유대-기독교 윤리다(하버마스)
21세기 유럽 사회민주주의 시대의 황혼
르네 지라르, 칼 막스 그리고 지그문트 프로이트
막시즘의 급진화로서의 해체주의 철학(데리다)
포스트모더니즘, ‘프랑스 역병’ 그리고 문화막시즘
제2장 문화막시즘: 사회주의의 새로운 전략
“제도권으로의 행진”: 장기적인 문화막시즘 전략 (그람시)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새로운 언어정치
헤게모니, 사회주의 전략, 좌파 포퓰리즘: 샹탈 무페와 칼 슈미트
문화테러리즘(cultural terrorism)과 급진적 성교육: 루카치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과 유토피아: 부정주의와 영지주의
자연과학적 전통이론, 비판이론 그리고 사회구성주의
사회주의는 ‘지식인의 아편’: 레이몽 아롱, 사르트르, 시몬 베유
아우슈비츠와 구소련의 강제수용소(굴락,Gulag)
실증주의 논쟁: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칼 포퍼
혁명이냐 개혁이냐 ? 마르쿠제 -칼 포퍼 논쟁
유럽 68 운동의 영웅 폴 포트(Pol Pot)의 ‘킬링필드’와 대학살
영지주의와 사회주의 (푀겔린) 그리고 기독교 사회주의
계급투쟁으로부터 인정투쟁(Anerkennungskampf)으로(악셀 호네트)
제3장 프로이트막시즘(동성애 운동, 퀴어, 젠더)은 사상누각이다.
성혁명, 성정치 그리고 성유토피아(빌헬름 라이히와 마르쿠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오독(소아성애와 성혁명)
독일 녹색당의 소아성애 합법화 지원 파문
“소아성애적 반파시즘”(68 학생운동, 독일 녹색당과 좌파)
젠더 이데올로기: 탑다운 국가페미니즘
유럽 68 성혁명, 푸코 그리고 소아성애 운동
안티고네의 동성애: 차이소멸적 하마르티아(죄)
파르마코스 오이디푸스: 지라르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 비판
『안티 오이디푸스』와 파르마코스 오이디푸스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는 성혁명의 상징인가 ?
근친상간과 부친살해는 문화혁명의 상징인가 ?
제4장 생물학을 부정하는 젠더이데올로기는 학문인가?
젠더 이데올로기: 생물학에 대한 전쟁선포(노베르트 볼츠)
‘해체와 재구성’: 문화막시즘과 사회구성주의
젠더 이데올로기는 『지적 사기』(소칼)인가?
아인슈타인의 E=mc2는 성차별적인가?(뤼스 이리가레이)
퀴어 이론과 젠더 이데올로기: 새로운 영지주의
제 5장 ‘독일 사회주의’와 오스트리아 학파
좌우 독일사회주의: 민족사회주의(나치즘)와 국제사회주의(막시즘)
‘상인과 영웅’: 영국 자유주의와 독일 사회주의
독일 사회주의와 낭만주의: 니체와 공동체의 신 디오니소스
독일 사회주의자 하이데거의 『블랙노트』(2014)와 ‘독일이교’
독일 “기독민주연합 국가” vs 68 학생 문화혁명 운동
유럽 68 학생운동과 1933년 독일 나치 학생운동의 유사성
『독일은 사라지고 있다』(독일 사민당(SPD)의 자라친 박사)
제6장 문화막시즘의 희생자 이데올로기(victim ideology)
새로운 희생자 문화(victimhood culture)의 등장
절대화되고 신성화된 희생자 옹호 문화
정치적 올바름(PC: Political Correctness)을 넘어서
기독교로부터 탄생했지만, 기독교를 배신하는 진보주의
트랜스젠더 광기는 문화붕괴의 징조
영국 브렉시트: 유럽인권법원의 차별금지법에 대한 저항
차별금지법(평등기본법)의 사회주의적 법률혁명
소아성애 운동과 동성애 운동은 동일한 그룹에 의해 추진되었다.
주디스 버틀러가 말하는 21세기 글로벌 반-젠더주의 운동
출처 : 코람데오닷컴(http://www.kscoramdeo.com)
https://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