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교계, 교황 ‘동성 커플’ 지지 발언 비판
최근에 프란치스코 교황이 동성애자들의 사실혼 관계를 인정하는 ‘시민결합법(Civil union law, 이하 동성결합법)’을 공개적으로 지지하자, 미국 남침례교단 지도자들은 성경의 결혼관에 위배되는 주장이라며 반박했다고 크리스천포스트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1일 로마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된 자신의 다큐멘터리 ‘프란치스코’에서 그는 역대 교황들 중에 처음으로 동성애 시민 연합을 지지했다.
AP와의 다큐 인터뷰에서 그는 “동성애자들은 한 가정에 있을 권리가 있다”며 “그들은 하나님의 자녀”라고 말했다. 또 교황은 “이것 때문에 누군가를 가족에서 내쫓거나, 그들의 삶을 비참하게 만들 수도 없다. 우리가 가져야 할 것은 시민결합법이다. 그렇게 하면 그들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과거 부에노스 아이레스 대주교 시절에도 동성 결혼 합법화에는 반대하면서도 동성 커플을 위한 시민연합은 지지했다. 그러나 그가 동성결합법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것은 교황에 선출된 2013년 이후 처음이다.
교황의 이번 발언은 동성애 카톨릭 신자들과 동성결혼 지지자들에게는 “역사적”이라는 환대를 받았으나, 미국 남침례교회 지도자들은 즉각 우려의 입장을 표했다. J.D. 그리어(J.D. Greear) SBC 총회장은 결혼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고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합에만 해당된다는 교단의 기본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미 남침례교단은 2000년 발표한 ‘가정과 신앙 메시지 2000’을 통해 동성애를 죄로 정의하며 결혼이란 “일생동안 언약을 맺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연합”으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승인한 바 있다.
그리어 총회장은 “교황이나 목사, 선출된 관리가 어떤 말을 해도 성이나 가족을 규정할 수는 없다”며 “창조주께서 행하시는, 이것에 대한 그분의 말씀은 이보다 분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러셀 무어(Russell Moore) 윤리종교자유위원회 위원장은 21일 발표한 성명에서 다큐멘터리에서 교황의 이번 발언에 대해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난색을 표했다.
무어는 마가복음 10장 6절과 에베소서 5장 31절을 언급하며 “2천년 동안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 등 교회의 모든 교파는 예수의 결혼관을 단언해왔다. 결혼은 처음부터 남녀가 서로에 대한 언약에 충실한 연합이다”고 강조했다.
무어는 이어 “성경은 결혼이 그 자체를 넘어서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와의 연합인 복음을 가리키는 신비”이며 “우리는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을 공의롭게 동정심을 가지고 대해야 하지만, 어떤 교회에도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주신 말씀과 함께 하는 것을 무너뜨릴 수 있는 권위란 없다”고 밝혔다.
로니 플로이드(Ronnie Floyd) SBC 집행위원장도 남부 침례교인에게 ‘성과 결혼’에 대한 권위는 오직 성경, 즉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고 말했다.
플로이드는 성명에서 “우리의 권위는 사람이나 남녀 단체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성경에서만 오는 것”이라며 성경이 말하는 전통적인 결혼관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이어 “다른 종교들은 결혼과 가족, 성이나 다른 삶의 문제에 대한 믿음을 결정하기 위해 다른 권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침례교인으로서 우리는 성경의 저자이신 하나님이 끝날의 구원과 그 문제에 대해 한치의 오류도 없는 진실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고 공언했다.
이와 함께 일부 보수성향의 가톨릭 신자들은 교황의 발언이 해명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로마 카톨릭 교회의 미국 대변인은 토마스 조셉 토빈(Thomas Joseph Tobin) 주교는 성명에서 “교황의 발언은 동성 결합에 대한 교회의 오랜 가르침과 분명히 모순된다”며 “교회는 객관적으로 부도덕 한 관계를 받아들이는 데에 지지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반면 예수회 사제이자 동성애 가톨릭 신자를 지지하는 제임스 마틴(James Martin) 신부는 교황의 발언에 대해 “동성애자에 대한 교회의 지지에 있어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마틴은 2017 년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바티칸 통신 사무국의 컨설턴트로 임명된 바 있다.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96179
교황 “동성 커플도 하느님 자녀… 법적 보호 필요”
“법적 보호 위한 ‘시민결합법’ 필요”
‘동성결혼’은 반대… 대안으로 ‘시민결합’ 지지 입장
프란치스코 교황이 동성 커플의 시민결합(civil union)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밝혔다.
가톨릭뉴스통신(CNA) 등에 따르면 교황은 21일(현지시간) 로마 영화제에서 개봉한 교황에 관한 다큐멘터리에서 “동성애자들 역시 가족에 속할 권리가 있다. 그들 역시 하느님의 자녀”라고 말했다.
그는 “누구도 이 때문에 버려지거나 불행해선 안 된다”며 “우리가 만들어야 할 것은 이들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시민결합법”이라고 강조했다.
교황은 동성결혼은 반대하지만 대안으로 시민결합을 지지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교황이 공개적으로 시민결합에 찬성 입장을 밝힌 적은 없었다고 AP는 설명했다.
시민결합은 혼인은 아니지만 커플로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개념이다.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96066
바티칸-中, 주교 임명 합의 10월 갱신… 종교 자유 희생시키나
바티칸이 중국 정부와 지난 2018년 체결한 주교 임명에 대한 합의가 오는 10월 만료 및 갱신된다고 바티칸 당국이 밝혔다.
17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크리스천투데이가 가톨릭 매체 ‘크룩스’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당시 양측의 합의에는 중국 정부가 임명한 중국 주교 7명을 바티칸이 정식으로 승인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로이터 통신은 “(갱신된) 합의에는 어떤 변경도 없을 것이며, 홍콩을 포함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당시 합의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으며, 중국 공산당 체제를 인정하고 종교 자유를 희생시킨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가톨릭 교인인 제임스 로버츠 작가는 “바티칸은 중국이 개인의 자유를 옹호할 때까지 중국과 어떤 거래도 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교황청과 중국 공산당 사이의 비밀 거래를 평가할 때, 우선 거래가 왜 비밀이어야 하는지 질문해야 한다. 우리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시작부터 끔찍하다”며 이번 거래가 중국의 종교 자유에 미치는 영향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이것은 바티칸과 중국인민 대표 사이의 거래가 아니라 바티칸과 중국 인민의 압제자들 사이의 거래임을 되새겨야 한다”며 “종교적 자유에 관한 근본적인 인권 문제에 대한 협상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앙에 관한 우리 질문의 최종 중재자가 공산당 계층의 지배를 받는 가운데, (중국 공산당은) 복음을 어떻게 가르치고 해석될 것인지 지시하고 있다”며 “이에 반대하는 성직자들은 투옥되고 있으며, 계속 투옥될 것이다. 아이들은 교리 교육을 받지 못하고, 공산당에 의해 세뇌될 수 있다. 절대적이고 전체주의적인 권력을 주장하는 유일한 입장을 가진 단체와 협상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세계기독연대(CSW) 역시 “중국 전역에서 공식 교회와 비공식 교회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박해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이 거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고 말했다.
한 소식통은 CSW와의 인터뷰에서 “(바티칸-중국) 합의 갱신에 대해 기독교인들이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며 “우리는 (합의로부터) 어떤 혜택도 받지 못한다. 모든 종교인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가톨릭 신자들도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했다.
CSW의 베네릭트 로저스 동아시아 팀장은 “최근 몇 년 동안 예배 장소의 철거, 임의적인 집단 구금, 실종 및 납치, 침입 감시, 이동의 자유 제한 등 중국의 인권 상황은 급격히, 그리고 상당히 악화되었다”면서 “이 같은 단속은 기독교인 뿐 아니라 위구르 무슬림, 티베트 불교도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는 최근 공식 트위터에 “공산주의 중국은 계속해서 중국 가톨릭 신자들을 박해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향후 바티칸과 중국 간 모든 협상이 종교의 자유 보호에 뿌리를 두고 있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34669
“박해 증가했는데…” 바티칸, 중국과 주교 임명 합의 2년 연장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35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