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집회 없는데 코로나는 왜 기승? 서울시장 침흘리다가 ‘정은경 방역’ 민낯…백신 사망은 방치
23일 0시 기준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자 총 32명…오후 1시 기준 총 36명
코로나 확진자 수 155명 증가…사망자 2명 늘어 총 455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여전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까지 속출하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번 사망 사례의 원인을 사실상 고령층과 기저질환에 두고 예방접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사망자에 대해서는 고령층, 기저질환이 아닌 코로나로 인한 사망으로 강조해 ‘질병 정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0시 기준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자는 32명으로 집계됐다.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와 관련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결론을 내기에는) 직접적 연관성은 낮다”며 “아직은 중단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독감 자체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독감으로) 어르신·고위험군에서 폐렴이나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독감으로 기저질환이 악화해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또 정은경 청장은 “가장 우려하는 것은 (고령층이) 너무 단기간에 접종하면서 장시간 대기하는 문제가 어르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라며 “여유 있게 시간을 갖고 접종해달라”고 말했다.
코로나 확산에 대한 정 청장의 태도는 이와 달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사망자가 고령층에 기저질환이 있어도 ‘코로나 사망자’로 발표하고 있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첫 사망자가 발생한 지난 2월 20일부터 지난달 25일까지 총 사망자는 395명으로 이 중 379명(95.9%)이 기저질환자였다. 또한 사망자의 85%는 70대 이상의 노년층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또 ‘정치 방역’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 재확산을 거론하며 집회와 종교 활동을 금지시켰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10월 2일 개천절을 앞두고 “여러 지역에서 집회가 예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많은 사람들이 밀접하게 모이고 구호 제창, 음식 섭취 등의 위험 행동을 한다면 모두의 안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15일 당시 광화문 집회로 코로나가 재확산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재확산이 본격화된 지난달 14일부터 18일까지 닷새 동안 8.15 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확진자는 지난달 30일 이후 꾸준히 50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정부-여당이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성과라며 ‘K방역’을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코로나19는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55명 증가하며 이틀 연속 세자릿수를 기록했으며 사망자는 전날보다 2명 늘어 누적 455명이 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충북 오송을 직접 찾아가 정은경 신임 질병관리청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질본’이라는 말은 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애칭”이라며 “세계 모범으로 인정받은 K방역의 영웅 정 본부장이 초대 청장으로 임명된 것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여당의원들은 일일 확진자 114명이 발생한 지난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복지부와 질병청의 ‘방역 공로’를 치하했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극우 보수단체와 국민의힘 등 보수 야당은 K방역에 대해 비난과 흠집 내기에 골몰하고 있지만 K-방역은 성공적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으며, 같은당 김성주 의원은 “타 국가에 비해 좋은 수치인 것은 맞다. K방역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37142
독감백신 사망 28명에도 정은경 “계속 맞아라“
질병관리청을 어떻게 믿나? 의협에서는 접종 중단 권고/ 누리꾼들은 “정은경 너 부터 맞아라”
이번달에만 독감 백신을 맞고 사망한 사람의 숫자가 28명으로, 발표되지 않은 사례를 합하면 30명 이상 정부가 권하는 독감 백신을 맞고 사망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처럼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환자가 잇따르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예방접종을 일주일간 잠정적으로 미룰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또 내일부터 의료기관 접종을 잠정 중단하라는 회원 대상 안내문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의협은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 임시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예방접종 후 사망보고 간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현재 시행되고 있는 독감 관련 모든 국가예방접종과 일반예방접종을 일주일간(10월 23일∼29일) 유보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의협은 “잠정 유보 동안 사망과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 등 백신 및 예방접종 안전성에 대한 의학적 근거를 확보하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의협은 다만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 환자들은 대부분 안심해도 좋으며 신체 불편을 초래하는 특이증상 발생 시 인근 의료기관을 즉시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트윈데믹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독감 접종이 전제돼야 하나, 환자와 의료진이 안전하게 접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의협은 강조했다. 의협은 질병관리청의 ‘백신 접종 지속’ 방침과 다른 길을 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전 의료기관에 대해 내일부터 일주일간 잠정 유보하라고 권고하고 있다”며 “정부가 강행하더라도 많은 의료기관에서 대단히 불안하다는 의견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질병관리청에서는 백신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단정적으로 표현하면서 정부 입장이 유통과정, 보관 방식, 주사 놓는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뉘앙스다”며 “이런 상황에서 의료기관에서 안심하고 접종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그러면서 “내일부터 접종 케이스는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정 본인이 원한다면 보건소나 국립의료기관으로 전원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백신을 맞고 숨진 사람들과 백신의 독성과는 무관하다는 주장해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정 청장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에 가까워 특히 어르신이나 고위험군은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백신 접종과 사망 사이에 아직 구체적인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작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독감 백신을 맞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상에서는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무책임한 발언을 계속하는 질병관리청장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을 포함한 문재인 정권 K방역 전체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