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가 인권 변호사였다? 아니면 자신의 이권만 챙긴 이권 변호사…
소수자 운운하며 방종 타락을 조장하고 목숨 걸고 넘어온 탈북민 북송이 당신에겐 인권입니까?
홍콩 위구르 문제가 단지 중국 내정 문제이고, 그래서 살상과 인권 탄압이 당연하다는 것입니까?
당신의 속내는 결국 자유 대한민국을 당신들의 독재 국가로 만들어 그런 인권 탄압하겠다는 것입니까?
하지만 자유 대한민국은 반드시 지켜질 것이고 당신의 시간은 이제 곧 끝나게 될 것이다.
美, 인권문제 관련해 對中제재 나섰는데…文, 시진핑에 “홍콩–위구르, 모두 중국 內政 문제”
베이징 인민대회당서 시진핑 中 국가주석 만난 文, 중국 당국 ‘일방적 주장’ 편드는 발언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차 23일부터 1박2일의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오찬 자리에서 홍콩 문제와 신장 위구르 문제가 중국의 내정 문제에 속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난 문재인 대통령은 55분간의 정상회담에 이어 1시간에 걸쳐 시 주석과 오찬을 함께 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홍콩 일이든 신장과 관련된 문제든 모두 중국의 내정(內政) 문제”라고 말했다고 중국 언론들이 23일 보도했다.
지난 6월 이래 홍콩에서 이어져온 일련의 ‘민주화 요구’ 시위들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에서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인권문제 등에 대해 그간 중국 당국은 국제사회에 대해 ‘내정에 간섭하지 말 것’을 요구해 왔다. 중국 언론들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측의 일방적인 입장을 지지한 것이 된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의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같은 발언을 한 후 “한국과 중국은 오랫동안 교류하고 문화적 유대를 쌓아왔으며 양국은 운명 공동체”라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을 마치고 베이징을 떠나 한·중·일 정상회담이 열리는 쓰촨성(四川省) 청두(成都)로 출발했다.
이날 오후 4시 현재 청와대는 회담 결과와 관련한 공식 브리핑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지난달 2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서명으로 ‘홍콩인권법’이 발효된 데 이어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중국 정부가 벌이고 있는 인권 탄압에 가담한 관계 인사들에 대한 제재 발동을 미 행정부에 요청하는 내용의 ‘위구르인권법’이 지난 3일 미국 하원에서 가결되기도 했다.
앞선 10월8일 미국 정부는 위구르족과 카자크족을 비롯한 이슬람 소수민족을 구금하고 감시하는 등 인권침해와 인권유린에 관여했다며 중국의 기관 및 기업 28곳을 제재 대상으로 삼은 바 있다.
이같은 미국 당국의 대중(對中) 제재들에 대해 중국 당국은 “(중국은) 강하게 분개하고 있으며 (해당 법안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박순종 기자 francis@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日아베, 中시진핑 면전에서 “홍콩–위구르 사태 우려”…문재인과 달라도 너무 달랐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3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일중(日中) 정상회담에서 최근 6개월 간 이어져오고 있는 ‘홍콩 민주화 시위’ 및 ‘중국 신장 위구르 인권문제’를 직접 언급하며 우려의 뜻을 표했다.
일본 NHK의 23일 밤 보도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는 홍콩 정세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뜻을 시진핑 주석에게 전달하고 ‘1국가2체제’ 하에서의 자유롭고 개방된 홍콩의 번영이 중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포함한 중국 국내의 인권 상황을 고려해 중국 정부가 투명한 설명을 내놔야 한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러나 이같은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해 시진핑 주석이 ‘중국의 내정 문제’라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같은 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아베 총리가 시진핑 주석을 만난 자리에서 홍콩과 위구르 인권문제를 직접 언급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23일 발언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홍콩 일이든 신장과 관련된 문제든 모두 중국의 내정(內政) 문제”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 주석을 만난 문재인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이어진 오찬 자리에서의 발언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같은 중국 언론의 보도에 대해 23일 “시 주석이 홍콩·신장 문제에 대해 ‘이 문제들은 중국의 내정 문제’라고 설명했고,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언급을 잘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해당 보도에 대한 논평을 요청받자 “이 표현은 사실에 부합한다. 그는 기본적인 사실을 말했다”며 보도가 사실이라는 취지로 답변했다.
박순종 기자 francis@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정말인가?… 中 외교부 “文, 홍콩–신장위구르 문제는 중국 내정이라고 말했다”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 23일 열린 한중 정상회담 관련 중국 측의 언급과 주장이 논란이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만난 자리에서 홍콩과 신장위구르 문제를 “중국의 국내문제”라고 인정했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시 주석의 말을 잘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이라고만 해명했다. 중국 측에 공식 항의는 하지 않았다. 반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시 주석에게 직접 홍콩·신장위구르 인권 문제, 영유권 문제 등을 언급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中 외교부-인민일보 “文대통령, 홍콩·신장위구르 문제는 중국 내정”
동아일보 등에 따르면, 중국 관영 인민일보는 지난 23일 한중 정상회담 관련 보도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은 홍콩 문제든 신장위구르 문제든 모두 중국의 내정(內政, 국내정치 문제)으로 여긴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인민일보는 기사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 가운데 “홍콩과 신장위구르 문제는 내정”이라는 대목만 굵은 글씨로 강조했다고 동아일보는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도 같은 날 한중 정상회담 결과를 브리핑하면서 “문 대통령이 ‘한국은 홍콩 문제든 신장위구르 문제든 모두 중국의 내정으로 여긴다’고 시 주석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이 표현은 사실에 부합하고 그(문재인 대통령)는 기본적인 사실을 말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홍콩 문제는 미국·영국 등 서방진영에서 독재와 인권탄압을 문제 삼는 상황이며, 신장위구르 또한 중국이 운영하는 강제수용소 ‘재교육 캠프’에서의 인권유린 때문에 논란이 일었다. 문 대통령이 이를 “중국의 내정”이라고 인정하면 미국 등 서방진영에 맞서 중국 편에 선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논란이 일자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시 주석이 홍콩과 신장위구르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고 설명했고, 문 대통령께서는 시 주석의 언급을 잘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정부나 관영 매체에 유감은 표하지 않았다.
아베 “홍콩 상황 우려, 신장위구르 주민 인권 보호해야”
반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시 주석에게 직접 홍콩과 신장위구르 상황을 언급하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요미우리 등 일본 언론은 24일 일중 정상회담 보도에서 관련 내용을 전했다. 신문들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40분간의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주장해온 ‘인류운명공동체’와 일맥상통하는 ‘평화에 대한 책임론’을 역설하는 한편, 시 주석의 내년 봄 일본 국빈방문에 대해 논의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시 주석에게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로 혼란이 계속되는 홍콩 정세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는 의견과 함께 신장위구르 주민의 인권 문제를 투명성 있게 다뤄줄 것을 요청했다. 시 주석은 이에 “두 문제 모두 중국의 내정”이라고 답했다.
아베 총리는 또한 중국 당국이 구속한 일본인의 신병 처리, 센카쿠열도 주변 영해에 중국 관공선이 침범하는 문제를 해결해줄 것을 촉구하며, 동지나해의 안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진정한 일중관계 개선은 없을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도 전달했다고 신문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