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발 수위를 높여가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전방위적 압박

안보리 소집 도발 피해야경고, 유연한 협상도 준비돼

북한의 전략적 도발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미국의 요구로 11일(현지시간) 북한 문제를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가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미국의 안보리 소집 요구는 2017년 12월 22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 화성-15형’ 발사에 대응해 대북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한 지 거의 2년 만이다. 이번 안보리 회의는 최근 북한의 중대 시험 발표와 관련한 미국의 우려와 경고가 반영됐다는 관측이다.

북한은 최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대단히 중대한 시험이 진행되었다”고 밝혔고 이와 관련해 ICBM용 신형 엔진 실험 가능성이 제기됐으며 북한이 ICBM 시험 발사나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위성 발사 등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美, 북한 도발 가능성 경고, 그러나 “유연하게 협상할 준비” 돼있어

이번 달 안보리 순회 의장국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한 켈리 크래프트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북한이 언급한 ‘새로운 길’을 위협이라고 평가하면서 “이는 북한이 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우주 발사체나 핵무기로 미 대륙을 공격하기 위해 고안된 ICBM을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크래프트 대사는 “북한의 잇따른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며 “북한이 적대와 위협을 멀리하고 우리와 관계하는 대담한 결정을 하지 않으면 안보리는 응분의 행동을 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안보리 회의 전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인 스티븐 비건 대북 특별대표도 안보리 회의 직전 안보리 이사국 대표와 한국·일본 주 유엔대사와 오찬을 하면서 상황이 엄중하고 안보리가 단합된 모습으로 기존의 대북정책을 해나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보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경고하는 안보리 성명 등은 채택되지 않았다.

중국·러시아 “대북 제재 완화해야”

한편,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은 채 대북제재 완화 등 북미 협상 촉진을 위한 미국과 유엔의 조치를 압박했다.

장쥔(張軍) 유엔주재 중국 대사는 북미 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안보리가 대북 제재를 완화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연합뉴스는 “북한이 그동안 핵실험과 ICBM 발사를 유예하는 선의의 조치들을 취한 만큼, 상응하는 ‘당근’을 제공해 북미협상을 촉진해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했다.

바실리 네벤쟈 주 유엔 러시아 대사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선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도 “(북한에) 어떤 것을 대가로 제공하지 않은 채 무엇에 대해 합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제약들을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로드맵을 마련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주 유엔 프랑스 대사는 “절대 대북제재 해제를 정당화할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제재 완화론에 선을 그었다.

유엔대사 적대행위·위협 중단해야는 유연하게 대처

(서울=뉴스1) 김서연 기자 = 켈리 크래프트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11일(현지시간) 북한의 추가 미사일 시험 발사가 부를 결과에 대해 경고했다고 AFP·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동시에 북한이 대화를 계속한다면 유연하게 대처할 수도 있다고 했다.

보도에 따르면 크래프트 대사는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미사일과 핵 실험이 북한에 더 나은 안보를 가져오진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이) 미래의 적대 행위와 위협을 중단하고 대신 우리와 관계를 맺는 대담한 결정을 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추가적인 유엔 대북제재도 시사했다. 크래프트 대사는 “만약 다른 사건들이 나타난다면, 우리 안보리는, 반드시 그에 걸맞게 행동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래프트 대사는 북한이 자체 설정한 비핵화 협상 시한인 연말에 대해 “분명히 말하겠다”며 “미국과 안보리는 목표가 있다. 마감시한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크래프트 대사는 미국이 북한과 대화할 의지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AFP는 전했다.

그는 “우리는 행동을 취할 준비가 돼 있으며 합의에 맞춰 구체적 조치를 할 수 있다”며 “우리는 이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냐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달 안보리 순회의장국인 미국은 당초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국가들이 이날 ‘세계인권선언 기념일’을 맞아 개최하려던 안보리 차원의 북한 인권 문제 토론회를 연기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안보리 회의를 소집했다. 미국이 북한 문제로 안보리 회의를 소집한 것은 지난 2017년 12월 이후 2년 만이다.

sy@news1.kr

, 글로벌호크에 이어 지도부 지하요새 파괴’ B-52까지 한반도 상공 급파

B-52, 핵폭탄과 재래식 폭탄 35발 장착 가능

글로벌 호크, 고고도 무인정찰기로 지상 30cm 크기 물체까지 식별 가능

미국이 연일 전략폭격기를 한반도 상공에 급파해 대북(對北)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B-52까지 한반도 인근 일본 해역을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공군의 B-52H 전략폭격기는 11일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를 출발해 일본 동부 상공 인근을 비행했다. 공중급유기 KC-135R이 지원을 했다. B-52H는 냉전시대에 미국이 소련에 핵공격을 가하기 위해 개발한 전략 폭격기다. 핵폭탄과 재래식 폭탄 35발, 핵탄두 순항미사일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땅 깊숙이 파고들어 북한 지도부의 지하 요새를 파괴할 수 있는 벙커버스터(GBU-57)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국은 이날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를 한반도 5200 피트 상공에 전개했다. 글로벌 호크는 지상 6만 5천 피트 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통해 지상 3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첩모위성 수준급의 무인정찰기다. 최대 작전반경 3000km, 최대 작전 비행시간 42시간으로 서울의 10배에 해당하는 구역을 24시간 내 훑어서 관련 동향을 위성망으로 미군 지휘부에 실시간 전송하는데, 이전까지 한반도에서의 비행은 좀처럼 알려진 바가 없다.

12일에는 미 공군 지상감시정찰기 ‘RC-135W’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RC-135W는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레이더 전파신호나 무선통신 정보 등의 수집을 주 임무로 수행한다. 이 정찰기에는 30명 가량의 전자전과 정보 분석 인원이 탑승해 12시간 동안 최대 9100km를 비행할 수 있다.

미군 정찰기 출동은 지난달 말 북한의 무력 도발 이후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23일 서해 북방한계선에 인접한 창린도에서 해안포를 발사했다. 28일에는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 추정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지난 7일에는 서해 동창리 위성시험장에서 ‘중대한 시험’을 강행했다.

이에 미군은 지난달 28일과 30일에 U-2S와 해군 소속 EP-3E 정찰기 등을 한반도 상공에 급파했다. 1일에는 미 공군 정찰기 RC-135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3일에는 미 공군 소속 지상감시 정찰기 ‘조인트 스타즈(J-STARS)’ 1대와 감청 정보 수집기 ‘컴뱃 센트(RC-135U) 1대가 수도권 상공을 비행했다. 4일에는 해상 수색과 대잠수함 작전을 담당하는 미 해군 P-3C 초계기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6일에는 탄도미사일 궤적 추적이 가능한 미 공군의 코브라볼(RC-135S) 정찰기가 한반도 상공을 전개했다. 9일에는 RC-135W와 E-8C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