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 불명예 퇴진… 14년 좌파정권 끝나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 불명예 퇴진… 14년 좌파정권 끝나

중남미 좌파 진영의 최장수 지도자인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이 선거 부정 논란 속에 결국 물러났다. 중남미 정계를 주름잡아온 ‘핑크 타이드(Pink Tide·온건한 사회주의 성향의 좌파)’ 시대가 마침내 종식되어 간다는 우려에 중남미의 좌파 정권 수장들은 이번 퇴진을 ‘쿠테타에 의한 것’이라고 규정하고 규탄 성명을 냈다.

■원주민 출신 첫 대통령, 몰락 자초

10일(현지시간) 모랄레스 대통령은 현지 TV 연설을 통해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하고 의회에 사의를 전달했다. 지난 2006년 첫 원주민 출신 대통령으로 선출돼 14년 넘게 집권해온 그는 지난달 20일 대통령 선거에서 40%를 득표하며 야권 후보인 카를로스 메사를 10%포인트 차로 따돌리며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개표 과정에서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개표 초기부터 모랄레스 대통령과 메사 후보의 득표율 차이는 7%포인트대였으나 갑자기 개표가 중단됐다 재개된 후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 것으로 발표됐기 때문이다. 시위 기간 동안 경찰들도 곳곳에서 모랄레스 정권에 항명하는 의사를 밝히기 시작했고, 거리마다 ‘모랄레스는 독재자’라는 현수막이 붙기도 했다. 3주간의 시위중 3명이 숨지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아메리카 지역 35개국을 회원국으로 하는 미주기구(OAS)가 볼리비아의 대선 과정에서 여러 부정 행위가 발견됐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하자 국민들의 여론이 등을 돌렸음에도 모랄레스는 재선거를 치르겠다고 밝히며 권력에 대한 끈을 놓치 않으려 했다. 하지만 야당을 비롯해 경찰과 군부가 국영 TV를 통해 모랄레스의 사퇴를 종용하면서 수시간 후 퇴임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핑크 타이드’ 붕괴하나 초긴장

볼리비아 최초로 원주민 출신 대통령인 그는 집권 초기엔 천연가스 시설을 국유화 하는 등 빈곤 해소에 기여해 인기가 높았다. 재임 시절 그는 볼리비아의 경제성장률 4%대를 유지하면서 2014년 국민총생산(GDP)를 3000달러 대까지 끌어올리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 2000년대 초반부터 중남미를 휩쓸었던 ‘핑크 타이드’ 정권들이 퇴조하는 가운데에도 모랄레스의 지지기반은 굳건했고 마지막 핑크 타이드의 아이콘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장기 집권에 대한 욕심을 드러내면서 스스로 퇴락의 길로 들어섰다.

모랄레스의 퇴진에 인접국가인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과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차기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전 브라질 대통령 등 중남미 좌파 지도자들은 이번 사건을 ‘쿠데타’로 규정하고 비난하며 모랄레스와 연대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멕시코는 모랄레스 대통령에게 망명을 제안하기도 했다.

반면 극우 성향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만이 “쿠테타라는 말은 좌파가 무너질 때 많이 쓰이는 말”이라며 퇴진을 반겼다.

CNN은 중남미 국가 좌파 수장들의 이러한 비난은 볼리비아의 혼란이 중남미 전체로 확산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모랄레스 대통령의 퇴진은 최근 중남미를 사로잡고 있는 불안한 정국에서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평하며 중남미의 지도자들이 경기 부진과 심화되는 양극화로 인해 들끓는 거리의 대규모 민심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모랄레스 14년 만에 불명예 퇴진, 중남미 좌파 지도자들 떤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이 부정선거 논란 속에 결국 백기를 들고 불명예 퇴진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볼리비아 일간지 엘데베르는 모랄레스 대통령이 의회에 사임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20일 치른 대통령 선거의 개표 조작 의혹을 비난하는 시위가 3주째 계속되면서다. 시위 격화로 3명이 사망했다.

NYT는 “남미를 최근 몇 달 간 뒤흔들고 있는 정치적 불안의 획을 긋는 사건”이라고 평했다. 베네수엘라에선 마두로 대통령이 대선 조작 의혹을 받으며 후안 과이도 야당 지도자가 미국 등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고 있다.

볼리비아 최초의 원주민 출신으로 2006년 좌파의 기수로 대통령이 된 모랄레스는 초기엔 빈곤 퇴치 정책 등으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4선 개헌과 언론·사법 장악 등 권력에 집착하면서 ‘독재자’로 불명예 퇴진하게 됐다.

개표 조작 의혹은, 개표 중단으로 불거졌다. 중단 전엔 모랄레스 대통령과 카를로스 메사 야당 후보의 득표율 차가 7%였으나 재개 후 갑자기 10%포인트 이상 앞선 것으로 발표됐기 때문이다. 볼리비아에선 10%포인트 차이가 나면 당선이 확정된다. 투표를 참관한 OAS는 지난 9일 예비 보고서를 통해 “위조 서명, 대규모의 데이터 조작 증거 등 물리적인 기록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대통령궁 경호 경찰과 주요 도시 경찰들이 모랄레스 대통령에 반기를 들고 9일 시위대에 합류했다. 행정수도 라파스의 대통령궁을 지키던 경찰 수십 명은 제복을 입은 채 반정부 시위대와 함께 행진을 벌였다. 이들은 시위 참가 이후에도 대통령궁으로 복귀하지 않고 지역 경찰본부로 향했다. 거리엔 ‘모랄레스는 독재자’라는 구호가 나붙었다.

모랄레스는 마지막까지 권좌에 집착했다. 시위대를 “쿠데타 세력”으로 부르다, 경찰까지 그에게 등을 돌리자 재선거를 치르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다 수시간 후, 퇴임으로 방향을 바꿨다.

한편 중남미 좌파 지도자들이 일제히 반정부 시위대를 규탄했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미국의 음모에 동지(모랄레스)가 희생됐다”며 “쿠데타를 규탄한다”고 밝혔고, 좌파 정부가 집권한 멕시코에선 모랄레스에게 망명을 제안하기도 했다.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 당선인도 “쿠데타가 발생했다.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룰라 브라질 전 대통령은 “내 친구 모랄레스가 쿠데타 때문에 강제로 사임당했다”며 “유감”이라고 밝혔다.

전수진·이승호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모랄레스 14년 만에 불명예 퇴진, 중남미 좌파 지도자들 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