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 탈북 모자 시민 애도장 … 북한 눈치만 보며 탈북민 외면하는 정부

“허수아비 통일부, 누굴 위해 존재하나”… ‘餓死’ 탈북 母子, 52일 만에 시민애도장

토요일인 21일 오후 2시.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3번 출구 앞에 마련된 ‘고(故) 탈북민 모자(母子) 추모 분향소’. 제 17호 태풍 ‘타파’가 제주도를 지나 북상하는 가운데 분향소 주변에 놓인 화환 위로 구름이 지나갔다. 하얀 국화꽃 사이 모자의 영정 사진이 놓여 있었다. 향은 피워지지 않았다. 대신 “관악구청은 고(故) 한○○ 모자의 죽음에 책임지고 사과하라” “탈북민 문상도 못하는 허수아비 통일부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나” “○○아 미안해. 아들과 단 둘이서 굶어 죽을 때 얼마나 무서웠니.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목숨 걸고 왔다가 아사(餓死)가 웬 말이냐” “사람이 먼저라던 문재인은 답하라”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 영정 사진 앞에 마련된 30여 석의 의자에는 20여 명의 탈북민·시민이 앉아 있었다. 이들은 휴전선 너머 고향을 대신해 시민 애도장에서 조문한 뒤 고개를 숙이고 앉아 있었다. 곳곳에서 “안타깝다”는 속삭임이 흘러나왔다.

이날 분향소에서는 굶주려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탈북민 한씨 모자를 추모하기 위한 시민 애도장이 열렸다. 지난 7월 31일 한씨 모자가 서울 관악구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된 지 52일 만이었다. 이곳을 지키는 이들은 숨진 모자와 직접적 인연이 없는 탈북민들이었다. 이들은 삼삼오오 대화를 나누거나 침통한 표정으로 고개를 숙이고 앉아 있었다. 모자의 영정 사진 앞에는 국화꽃 49송이가 놓여 있었다. 동시에 ‘선을 넘지 마시오’라는 노란 폴리스라인도 설치돼 있었다. 이들은 “마음으로 북한 주민을 기억해 주십시오” “모자를 위로해 주십시오”라고 했다.

장례위원회 주관으로 진행된 시민 애도장에는 김진태·김영우 자유한국당 의원과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공동장례위원장)은 “평생 정치를 하며 이런 무거운 조사(弔詞)를 하게 될 줄 몰랐다”면서 “두 사람을 보살피지 못하고 억울하게 죽게 만든 것은 대한민국 정치가 사망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허광일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은 “풍요로운 자유 대한민국에서 굶어 죽었다니 이게 무슨 일이냐”며 서울시장, 통일부장관 등이 광화문 분향소를 찾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시민 애도장은 조사와 조가(弔歌), 조시(弔詩) 낭독, 진혼무 순으로 진행됐다. 이후 몇몇 참석자들은 탈북민 모자의 영정 사진을 들고 청와대 쪽으로 행진했다.

이날 오후 분향소에서 조문객을 챙기던 차모(여·42)씨는 북한 단천에서 중국 동북3성·라오스를 거쳐 한국에 들어온 탈북민이다. 차씨는 “2000년 중국에서 딸을, 지난 3월 한국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굶주리던 옛날과 달리 아들을 한국에서 잘 먹이고 잘 키우고 싶었다”며 “아사한 모자와 일면식은 없지만 안타깝고 먹먹한 마음에 분향소를 찾았다”고 했다. 또 “남편도 탈북민인데 현 정부가 탈북민에게 무관심하다는 말을 한다”고 했다.

주말 오후 광화문을 지나는 시민들은 아사한 탈북민 모자의 분향소에 관심 없었다. 이들은 고개를 돌리지 않은 채 광화문역으로 빠르게 걸어 들어갔다. 1시간여 동안 탈북민 모자의 분향소에는 그 누구도 조문조차 오지 않았다. 그저 2~3명의 탈북민이 자리를 지키고 앉아 있을 뿐이었다. 평택에서 오전 10시쯤 출발해 광화문에 도착했다는 신길승(78)씨는 “과거 효순이·미선이 사건 때는 촛불 집회를 열었는데 이번 탈북민 모자 사건은 조용히 지나가는 것 같아 참담하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만 생각하지 말고 국민을 생각하는 국가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산에서 온 박승호(83)씨는 “국가에서 여러 복지 정책을 시행하지만 정작 탈북민을 위한 정책은 많지 않다”며 “탈북민을 위한 복지 예산을 늘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다영 기자 hdy@chosunbiz.com]

국민인데… ‘아사 탈북민 모자’, 무연고자 처리하자는 文정부

탈북민 사회단체가 ‘탈북민 아사(餓死)’사건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과 통일부가 사건을 은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측이 사망 원인 등에 대한 명확한 진상규명 없이 숨진 탈북민을 ‘무연고자 날림 장례’로 처리하려 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26일 ‘아사 탈북민 고 한성옥 모자 추모·장례위원회'(이하 탈북모자장례위)에 따르면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남북하나재단)은 지난 20일 탈북민 사회단체 대표 허광일 씨 외 단체장 2명을 접촉해 한씨 모자의 장례를 ‘무연고 사망자 장례 및 유골 안치’로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탈북모자장례위는 한씨 모자의 장례를 3~5일간 진행되는 형식적 ‘무연고 장’이 아닌, 국민이 함께 추모하는 ‘애도 시민장’으로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북모자장례위는 북한민주화위원회·자유북한방송 등 26개의 ‘북한인권연합'(탈북민 사회단체)과 보수 지식인단체인 비상국민회의 등으로 구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