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마이크 펜스 “北 종교자유 보장 압박할 것”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북한과 비핵화 협상 중에도 북한에 종교자유 보장을 압박할 방침이라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이날 미 국무부가 주최한 ‘제2회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 연설에서 펜스 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와 지속가능한 평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미국은 한반도에 사는 모든 이들의 종교자유를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펜스 부통령은 “박해 감시단체 오픈 도어스가 18년 연속 북한을 ‘기독교인을 가장 박해한 국가’로 지정했다”며 “북한 정권은 ‘기독교 반동분자의 씨를 말리라’고 당국에 지시했으며 성경 소지를 사형에 준하는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탈북자 등 전 세계 박해 피해자 27명을 만나 종교 자유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었다.
펜스 부통령은 북한의 인권 유린 실태도 지적했다고 VOA는 덧붙였다. 유엔 인권위원회가 밝혔듯이 북한 내 인권 유린은 반인륜적 범죄이며 그 심각성과 규모, 본질은 당대 비교 대상이 없을 정도라는것이다.
펜스 부통령은 북한이 오픈도어즈가 매년 발표하는 박해국가 순위에서 18년 동안 1위를 기록 중이라는 사실도 언급했다고 한다.
그는 이 밖에도 미얀마와 중국, 이란 등지에서 발생하는 종교 박해 실태를 언급하며 미국은 종교 박해 피해자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전했다고 VOA는 전했다.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24085
트럼프 대통령, 탈북민 등 종교박해 생존자들 백악관 초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교로 인해 박해를 받은 생존자들을 만나 박해에 관한 증언을 듣고, 종교자유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8일 보도했다.
미국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17개국의 종교박해 생존자 27명을 백악관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로 초청해 면담하는 시간을 가졌다면서 이 같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종교의 자유를 강력히 지지하겠다는 미국 정부의 의지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서 증언한 탈북민 주 씨도 참석했다. 주 씨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 정권은 종교의 자유가 있다고 선전하지만, 실제로 극악무도한 고문이 자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 씨는 이후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도 “북한의 친인척들이 종교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잔혹하게 탄압당했다. 고모와 그 가족들이 (고모의) 시아버지가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모두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졌고 사촌 가족은 복음을 전했다는 이유로 모두 처형됐다”고 전했다.
주 씨는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후, 군 장교로 복무한 주 씨의 할아버지도 친구들과 북한의 인권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는 이유로 정치범수용소에 잡혀들어갔다고 전했다.
그는 “아버지가 9살 때 할아버지가 정치범수용소로 잡혀들어가면서 아버지는 한 순간에 정치범의 자식으로 전락해버렸다”며 “내 아버지를 빼앗아 간 나라라는 분노와 상처가 있었다”고 했다.
주 씨의 아버지는 네 번의 시도 끝에 먼저 탈북에 성공했고, 1년 후 주 씨도 어머니, 누나와 탈북에 성공하게 됐다.
주 씨는 “남한과 북한을 모두 경험한 사람으로서 스스로에게 남북 분단의 상처를 치유할 의무가 있다”면서 “저희 가족은 다섯명이 모두 함께 있게 되어 정말 축복을 받은 일이다. 그래서 더욱 저희만 누리지 않고 이를 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24060
“북한 정권에는 종교가 가장 큰 위협”
미 국무부가 주최한 ‘제2회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 참석한 케네스 배 선교사가 자신이 북한 억류 중 경험한 종교자유의 실태를 고발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배 선교사는 18일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를 비롯해 같은 날 ‘윤리와종교자유위원회’가 워싱턴 D.C에서 북한의 종교자유를 주제로 개최한 행사에도 참석해 “북한 정권에는 종교가 가장 큰 위협”이라고 말하며 북한의 종교 탄압을 비판했다.
배 선교사는 이 자리에서 “북한에 억류됐을 당시, 북한 정권이 기도와 신앙으로 정권을 전복하려했다는 혐의를 적용했으며, 북한 정부 관리들은 종교가 정권에 대한 가장 위험한 무기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배 선교사는 “북한 정권은 주민들 사이에 종교가 퍼져서 성도들이 늘면, 주민들의 절대적 복종이 흔들릴 수 있다는 사실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관리들은 미국 핵무기보다 종교가 더 두렵다고 말했고, 주민들이 신을 믿기 시작하면 정권에 등을 돌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은 종교 중에서 특히 기독교에 대해 박해 수준을 넘어 아예 뿌리를 뽑아내려고 한다”면서 “북한 정권은 기독교의 뿌리를 뽑을 목적으로, 주민 한 사람이 기독교인으로 발각되면 그의 부모와 자식들까지 3대 모두를 제거한다”고 말했다고 VOA는 전했다.
한편, 배 선교사는 여행사업을 하던 지난 2012년 11월 단체 관광객들과 함께 북한을 방문했다가 체포된 후, 2013년 4월 국가전복음모죄로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았다가 이듬해 11월 석방됐다.
그는 자유아시아방송(RFA)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브로커들에게 비용을 지급하고 탈북자들을 한국으로 데려오고 있다”면서 “지난해 약 60명을 구출한 데 이어 올해는 300명 구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케네스 배 선교사는 지난 6월, ‘북한종교와 신앙의 자유 국제연대’를 창립하고, 북한 내 종교와 신앙의 자유를 위한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위원회에는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 김태훈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 대표,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 등 약 200여 명이 함께 하고 있다.
이들은 “북한 주민의 종교와 신앙의 자유를 회복하는 것이 지구촌 공동체의 양심과 도덕적 책임이라는 것을 깊이 인식한다”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관심있는 각국 정부, 유엔 등 국제기구와 협력해 북한의 종교와 자유 보장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