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외무부, 중국에 “홍콩반환협정 약속 지켜라“
【서울=뉴시스】남빛나라 기자 = 홍콩의 주권 반환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제러미 헌트 영국 외무장관이 영국이 중국에 홍콩을 반환할 때 약속한 조건들을 지키라고 촉구했다.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 외무부는 6월30일(현지시간) 헌트 장관 명의 성명을 통해 “우리는 계속 홍콩의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겠다”며 “우리는 일국양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홍콩이 중국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홍콩에서의 시위들은 우리의 홍콩반환협정에 대한 약속이 변함없다는 것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반환협정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으로 30년 전에 서명하고 비준했을 때처럼 오늘날에도 유효하다”며 “매년 수만명의 홍콩 학생이 영국에서 공부하고 있다. 또 수십만 영국 시민이 홍콩에 거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1984년 영국과 중국이 체결한 홍콩반환협정은 한 나라 두 체제를 뜻하는 ‘일국양제'(一國兩制) 정신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 2047년까지는 홍콩의 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 홍콩은 1841년부터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됐다.
7월1일은 홍콩이 반환된 지 22년이 되는 날이다.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은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중국 등 국가에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홍콩 시민들은 해당 법안이 중국 정부가 반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탄압하는 데 악용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달 15일 개정안 처리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지만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멈추지 않고 있다.
홍콩반환 기념일 맞아 또 대규모 시위, 2백만 돌파할수도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7월 1일은 홍콩반환 기념일이다. 1997년 홍콩이 반환됐으니 올해로 22주년이다.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 즉 송환법으로 촉발된 민주화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반환기념일이 겹쳐 또 다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질 전망이다.
홍콩 야권과 재야단체는 오늘 빅토리아 공원에서 정부 청사까지 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재야단체연합인 시민인권전선은 매주 일요일 시위를 벌여왔으나 7월 1일 반환 기념일에 맞춰 시위일정을 조정했다.
반환 기념일에는 관공서는 물론 대부분 직장이 쉬기 때문에 오늘도 대규모 인파가 가두시위를 벌일 전망이다.
홍콩에서는 1997년 이후 매년 기념일마다 수만에서 수십만 명이 참여하는 민주화 시위가 열려 왔다. 그런데 올해는 반송환법 투쟁까지 물려 있어 역대 최대 인파가 길거리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9일 반송환법 시위에 홍콩시민 103만 명이, 16일에는 200만 명이 참여했다. 오늘은 이 기록을 깰 가능성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홍콩시민들은 오늘 집회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 완전 철회와 홍콩 행정 수반 캐리 람 장관의 사퇴 등을 요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