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종교의 자유 말살과 끔찍한 인권 침해에 대한 고발

북한 인권의 실상이 이토록 끔직하고 심각한데 북한 인권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정부와 국가인권위는 인권을 말할 자격이 없으며 그들이 외치는 소수자 인권이 얼마나 가짜 인권, 외선적 행태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조금만 움직이면 채찍과 쇠갈고리로북한 고문 실태 증언

미국의소리(VOA)가 26일 유엔이 정한 ‘국제 고문 피해자 지원의 날’을 맞아 탈북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북한 내 고문 실태를 보도했다.

탈북민 김 씨는 이날 VOA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자신이 직접 경험했거나 전해들은 고문의 실태를 증언했다.

김 씨는 “가만히 앉은 자세로 몇 시간씩 있게 한다. 아무리 편한 자세라도 가만히 있기가 매우 힘든데, 조금만 움직이면 채찍과 쇠갈고리 등으로 때린다”고 전했다.

그는 또 서서 발을 들게 하고, 그 위에 의자 같은 것을 올리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과, 12살 어린이에게 족쇄를 채워 매달아 놓은 사례도 있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탈북민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작은 법률을 위반한 사람에 대해 무차별적인 구타라든가 감옥에 들어가 맞고 나온 현상들을 일상적으로 목격한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은 인권 의식이 너무 낮아서 고문을 당하는 사람들이 이를 중대한 인권침해로 여기지 않은 채 그냥 감수하고 있다. 고문이나 학대의 가해자들도 죄의식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무감각하다”고 했다.

미 국무부는 올해 3월 발표한 북한인권보고서에서 “고문과 질병, 굶주림 등 복합적인 이유로 북한 구금 시설 내 수감자들이 사망했다는 탈북민들의 보고가 있었다”고 밝혔다.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올해 2월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북한 내 구금 시설에서 고문과 학대가 광범위하고 조직적으로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 당국자들은 심문 과정에서 범죄 혐의를 자백하지 않는 수감자들을 고문하고 학대한다”고 말했다.

퀸타나 보고관은 특히 “북한이 중국에서 강제북송된 사람들에게 고문과 성폭력 등 중대한 인권 침해를 자행하고 있다는 주장들이 계속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북한 당국은 고문 등의 학대 행위를 부인하고 있으나,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는 최종보고서에서 “북한에서의 고문은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자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브라운백 대사 북한 종교자유 상황 끔찍다음달 종교자유 장관급 회의에 탈북자 초청

북한의 종교자유 상황은 매우 끔찍하고 지독하다고, 샘 브라운백 국무부 국제종교자유 대사가 말했습니다. 다음달 국무부가 개최하는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국제회의에 탈북자를 초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27일 북한의 종교자유 탄압에 중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녹취: 브라운백 대사] “North Korea is one of the worst actor in the world on religious persecution…”

브라운백 대사는 미 의회 초당적 기구인 ‘톰 란토스 인권위원회’가 이날 전 세계 기독교인 박해를 주제로 개최한 청문회에서 증언한 뒤 VOA에, 북한은 종교 박해와 관련해 세계 최악의 국가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상당히 오랫동안 국무부가 지정하는 ‘종교자유 특별우려국(CPC)’ 명단에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북한은 국무부가 조직적이고 지속적이며 끔찍한 종교자유 유린에 관여하거나 이를 용인하는 나라들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종교자유 특별우려국 명단에 2001년 이후 지금까지 계속 올라 있습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지난해 국무부가 처음 개최한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국제회의’에서 증언한 탈북 여성을 예로 들면서, 이 여성은 단지 성경을 소지했다는 이유로 체포됐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라운백 대사] “It’s really terrible and awful situation. We continue to press North Koreans about this…”

브라운백 대사는 북한의 상황이 매우 끔찍하고 지독하다며, 이 문제에 관해 북한을 압박하고 있지만 북한이 심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북한의 종교자유 상황이 전혀 변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계속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브라운백 대사는 또, 다음달 국무부가 개최하는 ‘제2회 종교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국제회의’에 또 다른 탈북자를 초청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브라운백 대사는 이날 청문회에서 이란과 중국, 니카라과 등 종교자유 탄압 국가들의 사례를 설명하면서, 미국 정부는 이 문제에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브라운백 대사] “To those countries who deny their citizen’s fundamental rights…”

미국 정부는 근본적인 권리인 종교자유를 부정하는 나라들을 주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행동을 취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겁니다.

한편, 국제 기독교 선교단체인 ‘오픈 도어즈’ 미국지부의 데이비드 커리 회장도 이날 청문회에서 북한의 종교자유 상황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녹취: 커리 회장] “North Korea is the most oppressive place on earth to practice religious faith…”

북한은 지구상에서 종교적 신앙의 실천을 가장 억압하는 곳이라는 지적입니다.

커리 회장은 북한에서는 김정은 정권에 도전하는 것은 무엇이든 국가의 적으로 간주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신앙 때문에, 심지어 성경을 소지했다는 이유 만으로 구금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오픈 도어즈는 올해 초 발표한 ‘2019세계 기독교 박해 감시목록’에서 북한을 18년 연속 세계 최악의 기독교 박해 국가로 지목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기독교 신자들을 통제하고 박해하며, 인권을 유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