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차이나 엑소더스와 중국의 경제 위기

줄잇는 엑소더스.. “‘메이드 인 차이나시대 끝

인건비 올랐는데 무역전쟁으로 관세 부담까지..

중국에 일부 두고 외부 조립해 관세 피할 수도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 시대가 지나가고 있다. 무역전쟁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생산업체들이 공장을 중국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있기 때문이다.

18일(현지시간) 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전거 제조업체 자이언트는 지난해 미국발 주문 생산공장을 중국에서 대만으로 옮겨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소식 때문이다. 지난해 말 중국 공장 6곳 중 1곳은 문을 닫았고, 대신 문을 연 대만 공장은 2교대로 운영한다. 지난해 7월 헝가리에 새 공장 건설 소식을 발표한 이 업체는 동남아도 눈여겨보고 있다. 보니 투 자이언트 회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계획 발표를 듣고 심각하게 고민했다”며 발표 이후 공장을 옮겨왔다고 밝혔다.

이어 투 회장은 “지난해 ‘메이드 인 차이나’ 시대가 끝났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강조했다. 자이언트의 지난해 매출은 602억 대만달러(약 2조2600억원)에 달한다.

생산업체의 ‘중국 이탈’을 부추긴 데는 인건비 상승도 한몫하고 있다. 반도체업체 인텔은 지난 16일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공급망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세계 최대 의류·장난감 아웃소싱 업체 리앤펑도 중국을 벗어나 생산지를 다각화하겠다고 전했다. 주중미국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250개 회원업체의 약 40%가 중국 이외 지역에 생산 이전을 이미 했거나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펜서 펑 리앤펑 최고경영자(CEO)는 “기업들은 생산 효율성이 높았기 때문에 중국 한곳에서 모두 생산을 해온 것”이라며 “무역전쟁은 (여태껏 해온) 글로벌 생산전략을 돌아보고, 중국 이외 지역으로 다원화하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생산업체의 ‘중국 이탈’이 무역전쟁 때문만은 아니라는 주장도 인다. 급격한 인건비 상승으로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를 대체재로 찾는 기업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요 공장이 밀집한 중국 광둥성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2008년 4.12위안(703원)에서 지난해 14.4위안(2460원)으로 3배 넘게 올랐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5.05링깃(약 1425원)에 불과하다.

한나 앤더슨 JP모건자산운용 글로벌시장전략가는 포춘지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은 무역 분쟁 훨씬 이전부터 생산지를 중국에서 옮기기 시작해왔다”며 “높은 관세가 원래 있던 계획을 앞당겼을 수 있지만, 이를 전혀 생각지 못한 기업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기업들이 완전히 중국을 떠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제 로펌 베이커 맥켄지 홍콩지부의 무역법 전문가 존 카울리는 “업체들이 중국에서 모든 제조공정을 없애기보다 중국 밖에서 ‘원산지 부여 공정’을 거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에서는 부품을 제조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이 부품들로 ‘실질적 변형’을 거쳐 완성품을 만든다는 뜻이다. 원산지판정 기준에 따라 물품이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생산된 경우, 원산지는 실질적 변형이 이루어진 국가가 된다. 이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종종 사용하는 수법이다.

이 방식을 쓰면 기업들이 세계 2위 소비시장인 중국에 거점을 유지할 수 있다. 리첸 홍콩중문대 경영학과 교수는 “중국 소비재 시장은 성장세에 있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미중 무역분쟁도 바꿀 수 없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강민수 기자 fullwater7@mt.co.kr

제품값 오르고 차이나 엑소더스‘..기업 타격 본격화

[서울경제] 이달 말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무역협상 타결이 어려워지고 오히려 무역전쟁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양국 기업들이 입는 타격이 점차 본격화하고 있다. 수출에 의존하는 일부 중국 기업들은 실적 감소를 감수하거나 아예 ‘차이나 엑소더스’를 시도하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도 관세부과 여파로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전거업체인 자이언트의 보니 투 회장은 “미중 무역전쟁 때문에 미국 수출용 자전거를 더는 중국에서 생산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출용 자전거에 25%의 고율 관세가 붙으면서 경쟁력이 급격히 악화한 탓이다. 자이언트는 이미 지난해 중국 공장 6곳 가운데 1곳을 폐쇄했으며 미국행 물량을 채우기 위해 대만 공장을 2교대로 가동하고 있다.

투 회장은 “나는 ‘메이드인차이나(Made In China)’의 시대, 중국의 지구촌 공급이 끝났다는 것을 지난해에 이미 인식했고 준비해오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현재 헝가리에 새 공장을 짓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업체와의 제휴도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적대적 통상관계가 악화하면서 자이언트와 같은 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앞서 가정용품을 공급하는 홍콩의 대형상사 리앤드펑이 중국을 떠나 공급처를 다원화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 반도체업체 인텔이 고객사들의 중국 이탈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둔 글로벌 공급체인 재점점에 나선다고 밝혔다. 애플의 최대 위탁생산업체인 폭스콘도 중국 내 공장을 대만으로 옮긴다는 루머가 돌았지만 회사 측은 일단 이를 부인했다.

미국의 직접적인 제재를 받는 화웨이의 경우 극심한 실적 악화가 예고되고 있다. 중국 최대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런정페이 회장은 전날 중국 광둥성 선전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의 제재 때문에 올해 300억달러 규모의 감산에 들어가면서 회사 매출이 연 1,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는 지난해 매출 1,071억달러에 이어 올해는 1,250억달러를 목표로 제시했었다. 얼마 전까지도 “싸울수록 강해질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이던 그는 이날 미국 기술 전문가인 조지 길더 및 니컬러스 네그로폰테와의 대담에서 “화웨이를 금 가게 하겠다는 미국의 의지가 그처럼 강하고 치밀할지 몰랐다”며 미국의 전방위 제재에 대한 당혹감을 숨기지 않았다.

관세부과에 따른 제품가격 인상으로 미국 기업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정부가 의류·가전·소비제품 등 생산시설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 위치한 제품들에도 추가 관세를 예고하면서 기업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국 의류신발협회 회장인 릭 헬펜바인은 이날 로이터통신에 “(트럼프 정부가 3,000억달러 규모에 추가로 부과하는) 25% 관세는 우리를 후려칠 것”이라면서 “만약 우리가 중국 외 지역으로 생산시설을 옮길 수 있었으면 그렇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할 수 없었다는 게 문제”라고 강조했다. 폭죽 등 일부 제품들은 현재 대량으로 물량을 생산하는 곳이 중국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중국산을 비싼 가격으로 들여오는 것밖에 대안이 없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지난 13일 전미상공회의소·전미소매업자연맹 등 경제 관련 단체 및 기업 600여곳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내는 공동서한에서 대중국 추가관세에 대한 반대 입장을 전달하기도 했다. /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 세계최대 외환보유액에도 달러 걱정하는 이유

수익성 떨어지는 기업,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달러 투입..실제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규모도 한계

중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가졌으면에도 달러 부족을 걱정하고 있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기업과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달러가 투입되고 있고, 금융 안정과 위안화 환율 관리를 위한 자산들을 감안한 때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 비중도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안방보험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 매각은 중국 내에 달러가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부추기고 있는 중국 기업들의 해외 자산 매각의 최근 사례다. 안방보험그룹은 최근 맨해튼에 미분양된 고급 아파트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도 중국 정부의 압력에 못 이겨 이 호텔를 콘도로 전환해 375채에 대한 구매자를 찾고 있다.

안방보험은 지난 2014년 19억5000만 달러(2조2942억 원)에 이 호텔을 인수했다. 안방보험은 차입 비율이 높은 다른 중국의 해외 투자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의 면밀한 감시 대상이 된 총 15개 보유 호텔을 모두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부동산 재벌 왕젠린의 다롄 완다 그룹은 2017년 이후 25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처분했고, 경영난에 처한 HNA그룹도 홍콩 내 토지, 도이체방크 지분, 힐튼 그랜드 바캉스와 자사 항공사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팔아야 했다. 중국의 거대 석유회사인 CEFC차이나에너지도 전 세계적으로 100개의 부동산을 매각하려고 한다.

수년 전까지 공격적인 해외 인수합병을 장려하다가 위험한 대출과 해외 진출 단속에 나선 중국 정부의 극단적인 변신은 경상 수지가 압박 받기 시작할 때 늘어날 부채의 이자와 원금을 갚을 수 있는 미국 달러가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방증한다고 SCMP는 분석했다. 케빈 라이 다이와캐피털마켓 아시아 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이 기업들은 달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자산을 매각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3조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갖고 있지만, 채무상환에 이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유은행들이 이들 문제 기업에 이미 많은 돈을 대출했기 때문에 부도를 방치할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금이 부족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달러 수요는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중국을 연결하는 인프라 사업인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대표 브랜드 ‘일대일로(육해상 실크로드) 사업’도 대부분 미국 달러로 자금이 조달된다. 중국은 이 사업에서 위안화 사용을 장려하고 있지만 중국의 엄격한 자본 통제는 위안화 대체와 위안화 국제화를 더디게 만들고 있다. 네이선 차우 DBS그룹 리서치 이코노미스트는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사용된 통화에 대한 공식적인 분석은 없지만 미국 달러 표시 조달이 주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무디스애널리틱스의 한 분석가에 따르면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에 그동안 총 614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2038년까지 추가로 5조 달러의 자금이 추가로 필요할 전망이다.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세계 최고인 3조 1000억 달러(3647조1500억 원)로 표면적으로는 달러 부족을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재 진행중인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상황이 악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막대한 수입과 부채 상환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할 수도 있다고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외환보유액 중 많은 자산들은 중국 중앙은행이 금융 시스템의 붕괴를 막고, 위안화 환율의 급격한 절하를 막는데 필요해 현금화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마이클 에브리 라보뱅크 애널리스트는 “현실적으로 그들은 3조1000억 달러의 유동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나는 그들이 미국 채권을 보유액보다 약간 더 많은 정도로만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재무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외환보유액 중 1조1000억 달러가 미국 국채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연방정부 이외 정부 기관에서 발행한 채권에 2000억 달러 이상, 미국 기업 주식에도 2800억 달러 가량을 투자했다. 나머지 보유액은 중국투자공사의 자본금, 국부펀드, 일대일로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실크로드 펀드 등 비유동 자산에 투자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 달러 부족의 근본적인 원인은 외환 자산 배분에 있어 투자 수익 극대화보다 안정을 유지하고 정치적 목표를 지원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중국 국유 은행들을 통해 비효율적이고 자금난에 처한 기업들과 손실을 발생시키는 프로젝트들에 달러가 지속적으로 투입되고 있다는 얘기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대외 채무는 지난해 1조9700억 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12% 증가했다. 대부분 중국 기업들의 달러 대출 증가로 인한 것이다. 무디스 애널리스틱의 분석가는 “일대일로 프로젝트도 투명성에 대한 거부감과 함께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효용에 대한 실질적인 의구심이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중국)=진상현 특파원 jisa@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