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오늘, 대만의 내일, 한국의 미래

1. 홍콩의 시위는 1국가2체제(중국:사회주의, 홍콩:자유민주주의 공존)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1국가 2체제가 더불어민주당의 ‘남북연방제’ 모델이다는 점에서 한국의 미래를 지금 보고 있다고 할 수도 있는 거죠

2. (2012.11.1.)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 “남북 간의 격차가 현실적으로 너무 크다”며 합리적인 통일 방안으로 중국-홍콩의 `일국양제’ 방안을 거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리 부부장은 남북 간 주류 세대의 격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단일모델에 합의하는 것은 다음 세대에서도 어려울 것이라며 어쩌면 그다음 세대가 돼야 합의가 되든 새로운 모델이 만들어지든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고 위트워 회장은 전했다 http://bit.ly/31wxuef

3. (2018.10.18.) 낮은 단계 남북연방제란 … 연방제
로 느슨한 통일을 한 다음, 우리 내부의 체제보위장치를 하나 둘씩 해체하여 우리 내부의 군사적 공백과 사회 혼란을 조성한 다음에 남한 내부혁명을 성사시키거나

북한 자치정부에 의한 남침전쟁으로 공산화 통일을 성사시키려는 의도인 것이죠. 북한에서는 통일(연방제)을 이른바 남조선혁명의 일환으로 간주합니다 http://bit.ly/2wPTq63

4. 1국가 2체제의 남북연방제통일제는 북한에 흡수되는 완충의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을 알면 국민들 생각이 달라질 겁니다

이런 주장을 우파정당이라는 한국당 에서 해야 하는데 ‘막말’이라고 할까봐 못할 것 같습니다

(2019.4.26.) 펜스 부통령의 민주당의 사회주의 추종의 위험성에 대한 연설은 한국에서는 ‘막말’로 간주될 내용이죠 http://bit.ly/2MK9dhG

그러나 승리하죠. 치명적 진실이기에. 미국 민주당은 진실을 ‘막말’이라며 막는데 한국도 따라하네요
5. 남북연방제통일후 남북연방의회에서 홍콩처럼 김정은에 반대하는 한국 국민들을 북한으로 송환하여 처벌을 받는 법을 제정할 수 있겠죠

한국민들이 저항하면 북한 군대가 와서 5.18처럼 한국민들을 유혈진압할 수도 있고

서울시와 경기도의 목회자, 장로, 신학생들과 우파 인사들은 북한의 노동교화소에서 여생을 마칠 수도 있겠죠

6. 조총련은 60년대까지 북한의 자금을 받았기에 북한이 어려워지자 송금 운동을 대대적으로 했습니다

지자체들까지 북한에 송금 경쟁을 하는 것을 보면 조총련 행태가 연상됩니다. 남북연방제가 위험한 이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