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重 일부 노조원, 파업 불참했다고 동료 폭행”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의 일부 조합원들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직원들을 폭행해 논란이 일고 있다.
현대중공업 사측은 4일 “회사 물적 분할 주주총회 승인 이후 노조 파업이 한층 과격해지며 폭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노조의 파업 행태를 공개했다.
사측은 지난 3일 자료를 통해 “울산 본사 내에서 일부 파업 참가자들이 공장 진입을 막는 회사 생산팀장을 폭행했다”며 “파업 참가자들이 공장에 진입하려 해 생산팀장이 이를 제지하는 과정에서 넘어져 엉덩이뼈가 골절되는 등 전치 8주의 진단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울산 동부 경찰서는 같은 날 또 다른 파업 참가자 2명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동료 직원을 폭행한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각 지단별로 흩어진 파업 참가자들이 자재창고 인근 도로를 오토바이로 봉쇄하고, 오토바이 경적시위를 벌이는 등 회사 곳곳에서 생산작업을 방해하고 있다고 사측은 밝혔다.
사측은 특히 파업 참가자 수가 줄면서 직원들 간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회사 관계자는 지난주 3000명에 달했던 전면 파업 참가자가 3일에는 1800명, 4일 1500명으로 줄었다며 파업 참가를 권유하는 노조 간부 측과 직원들 간 물리적 충돌이 빚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측은 노조가 닷새간 불법 점거했던 한마음회관의 기물이 파손되는 등 물적 피해와 영업 중단에 따른 손실 금액이 10억여원에 이른다며 민형사상 소송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노조 집행부 관계자는 울산 본사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 “전면·부분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폭행 사건의 정확한 경위와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입장을 밝힐 수 있겠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일부 노조원의 폭행·기물파손 사건 등이 알려지자 노조 홈페이지 게시판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게시판에는 “폭행과 폭력적 행위가 옳은 건지 모르겠다”는 자조적인 글과 “가짜뉴스다. 노노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는 글이 대립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31일 주총에서 회사 물적 분할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에 반대하며 주총 무효를 주장하는 노조는 지난 3일 오전 8시부터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8시간 전면 파업을 진행하고, 4일에는 오전 9시부터 부분파업을 실시했다. 이어 5일 4시간 부분파업, 7일 2시간 부분파업을 실시하는 등 주총 무효 결정이 날 때까지 전면파업과 부분파업을 병행하기로 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https://mnews.joins.com/article/23489004#home
155만 일용직 밥줄 막는 ‘억대 연봉’ ‘甲 중의 甲’
크레인 노조 소형 원격조종 타워크레인 금지를 요구하며 전국 건설 현장을 마비시켰던 민노총·한노총 소속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불법 점거 농성 파업이 이틀 만에 끝났다. 국토부가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자고 달래자 노조가 수용했다. 파업이 조기 종료된 건 다행이지만 정부가 귀족 노조의 불법 파업을 묵인하고 무리한 요구를 수용하는 나쁜 선례를 또 만들었다. 이들의 파업 탓에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철근공, 전기공, 목공 등 155만 건설 일용직 근로자의 이틀치 벌이가 날아갔다.
우리 사회 최약자층인 건설 일용직의 밥줄을 막은 타워크레인 기사들은 건설 현장에서 ‘갑(甲) 중의 갑’으로 군림해왔다. 자신들의 일 처리가 건설 공사 속도를 좌우한다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마음껏 횡포를 부려왔다. 크레인 기사들은 크레인 임대 회사에서 받는 월급 300만원가량 외에 기초·골조 공사를 담당하는 하도급 업체에서 ‘월례비’라고 하는 뒷돈을 받고 있다. 이 돈이 매달 300만~500만원 정도로 월급보다 더 많다. 월례비 외에 전기업체 등으로부터 자재를 옮겨줄 때마다 한 번에 5만~10만원의 뒷돈도 챙긴다고 한다. 뒷돈을 주는 하도급 업체의 76%는 “보복이 무서워” 월례비를 준다고 한다. 조폭들의 ‘삥 뜯기’와 매한가지다. 이런 뒷돈까지 합치면 이들의 월소득은 1000만원 가까이 된다고 해서 ‘월천(月千) 기사’로 부르기도 한다. 배부른 억대 연봉자들의 ‘밥그릇 지키기’ 파업으로 일용직 근로자들 벌이가 끊어지고 건설 업체와 입주자들에게 큰 피해를 안겼다. 이들이 금지를 요구한 소형 타워크레인의 확산은 자초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3년 전 민노총 건설노조가 임금 19.8% 인상을 요구하며 한 달간 총파업을 벌여 건설 업계에 1조원대 피해를 안기자 이들의 횡포에 질린 건설사와 크레인 임대 사업자들이 자구책 차원에서 양대 노총 소속이 아닌 소형 크레인 기사 활용을 늘렸다.
2015년 271대이던 소형 무인 타워크레인이 3년 새 1800대로 늘었다. 기존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과도한 이익 챙기기에 따른 자업자득이었다. 그러자 이들은 소형 크레인을 금지하라며 대체 인력 투입도 못하게 크레인을 점거한 채 불법 파업에 나서 건설 현장을 멈춰 세웠다. 노동 귀족들에겐 소형 크레인 기사 8200여 명과 일용직 근로자의 생계는 안중에도 없다. 크레인 기사들은 소형 무인 크레인의 안전 문제를 지적하지만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일반 타워크레인과 소형 타워크레인의 사망 사고 비율은 7대3 정도로 운영 중인 크레인 수 비율과 비슷하다. 작년엔 일반이든 소형이든 타워크레인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한 건도 없었다. 건설 현장의 무인화는 세계적 추세다. 선진국에선 공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로봇·인공지능·사물인터넷 같은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원격조종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도 이런 기술 흐름에 부합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선 갑질 마인드로 무장한 기득권 귀족 노조가 힘으로 이를 막고 정부가 영합하고 있다. 산업계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05/2019060503294.html
르노삼성 전면파업…노조원 절반만 참여
르노삼성자동차 노동조합이 5일 무기한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회사에 ‘심각한 타격’을 주겠다며 전면전에 나선 것이지만, 정작 조합원 절반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았다. 강경 투쟁을 고집하는 노조 집행부와 무리한 파업을 거부하는 일반 조합원 사이에 ‘노노 갈등’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이날 오후 5시45분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집행부는 “회사의 이미지 개선과 고용 안정 등을 위해 노사 상생 선언문까지 만들자고 제안했지만 사측이 이를 외면했다”며 “별도 지침이 있을 때까지 무기한 파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르노삼성 노조는 1995년 전신인 삼성자동차가 설립된 이후 한 번도 전면 파업을 한 적이 없다.
르노삼성 노조가 전면 파업을 벌인 것은 2018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 때문이다. 노사는 지난해 6월부터 협상을 시작했다. 노조는 같은해 10월부터 약 7개월간 250시간(62차례) 부분 파업을 벌였다. 르노삼성 노조가 파업을 한 건 4년 만이다. 사측은 “지금까지 노조의 부분 파업으로 1만4320대, 2806억원 규모의 생산 손실을 봤다”고 추산했다.
이날 노조가 무기한 전면 파업에 나서면서 생산 차질은 더 심해질 전망이다. “집행부, 조합원 지지 못 얻어”…르노삼성 공장은 계속 가동 르노삼성자동차 노사는 지난달 16일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같은 달 21일 치러진 조합원 찬반투표의 벽을 넘지 못했다. 투표자 2141명(투표율 96.5%) 중 1109명(51.8%)이 반대표를 던졌다.
노사는 이달 3일부터 2차 합의안을 작성하기 위해 실무교섭을 시작했지만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결국 노조 집행부는 5일부터 전면 파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조합원 다수는 집행부와 이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야간조 파업에는 절반가량의 조합원만 참여했다고 회사 관계자는 전했다. 회사 측은 생산라인을 계속 가동했다. 생산하는 속도가 다소 느려졌지만 노조의 전면 파업에도 공장은 멈추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 집행부가 전면 파업을 하기로 결정했는데 공장이 계속 돌아가는 건 이례적인 일”이라며 “전면 파업 첫날부터 참여율이 절반 수준에 그친 건 그만큼 집행부가 지지를 못 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르노삼성이 앞으로 ‘생산절벽’에 직면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올 1~5월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생산량은 6만8160대로 전년 동기(10만5064대) 대비 35.1% 줄었다. 노조의 파업으로 생산일수가 줄어든 데다 내수시장에서도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부산공장에 수출용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로그의 생산을 맡긴 일본 닛산은 위탁 물량을 연 10만 대에서 6만 대로 줄이겠다고 통보했다. 노조의 반복된 파업으로 연 10만 대 생산을 맡기기 불안하다는 이유에서다. 더 큰 문제는 로그 생산 계약이 끝나는 오는 9월 이후다. 르노 본사는 노사 임단협이 마무리된 뒤에야 후속 수출 물량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못 박았다. 부산공장에 배정될 예정이던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XM3도 르노 스페인 공장으로 넘어갈 위기다. 노조가 전면 파업을 벌이면서 수출 물량을 아예 배정받지 못할지 모른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렇게 되면 부산공장 생산량은 연 20만 대에서 10만 대 수준으로 떨어진다. 생산인력도 절반 가까이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얘기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가입을 시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도병욱/장창민 기자 dodo@hankyung.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154222
타워크레인 노조, 3일만에 파업 철회…커지는 손실에 건설업체 백기 들어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소속 타워크레인 조종사들이 파업을 철회했다. 국토교통부는 5일 “오후 5시를 기점으로 노조가 파업을 철회했다”며 “노·사·민·정 협의체를 구성해 소형 타워크레인 등에 대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잠정 합의를 도출했다”며 “조합원들이 7일부터 현장에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타워크레인 노조가 사흘 만에 파업을 철회했지만 건설현장은 공사 중단으로 인해 큰 피해를 봤다.
사흘간 전국 건설현장 타워크레인의 절반이 넘는 1700여 대가 가동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사용자 측 단체인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은 노조가 파업에 들어간 데는 중앙노동위원회의 불공정한 ‘조정 중지’도 한몫했다며 반발했다. 서울 건설현장 70여 곳 올스톱 사측과 양대 노총은 △임금 4.5% 인상 △소형 타워크레인 지상 25m 이상 설치 금지 △8월 첫째주 여름휴가 보장 등에 합의했다. 사측이 노조가 주장했던 소형 타워크레인 사용 금지 등을 대폭 수용한 모양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공사에 차질을 빚으면서 피해 우려가 커지자 사측이 협상에서 주도권을 잃은 것 같다”며 “임금 동결은 물론 경영권 침해라며 사측이 반발했던 타워크레인 설치 금지 불허 등의 내용은 하나도 반영되지 못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노·사·민·정 협의체는 소형 타워크레인의 규격 제정, 면허 취득, 안전장치 강화 등 안전 대책과 글로벌 인증체계 도입 등을 논의하고, 건설업계의 불합리한 관행을 고치는 방안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협의체에서 다룰 안전 기준이나 규격 기준이 모호해 합의가 원활히 이뤄질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사흘간 이어진 파업으로 전국의 건설현장은 사실상 마비됐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도 양대 노총이 파업을 철회하기 전까지 전국 558곳의 현장에서 파업이 벌어졌다. 가동을 멈춘 타워크레인은 1773대로 전국 타워크레인(3500여 대)의 절반이 넘었다. 서울에서만 건설현장 77곳이 공사에 차질을 빚었다. 서울 염리동 마포프레스티지자이 공사장에선 타워크레인 8대가 모두 가동을 중단했다. 건설업체 A사는 이틀 동안 고층 건축물에 필요한 골조 공사를 못했다.
파업 명분 준 기울어진 중노위 일각에선 막대한 피해를 입힌 이번 파업을 조정해야 할 중노위의 구성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지난 3월 ‘건설현장에서 조종석이 없는 무인 소형 크레인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자료를 발표했다. 이는 양대 노총 타워크레인노조의 핵심 주장이기도 했다. 그런데 타워크레인노조의 파업을 조정해온 중노위 조정위원회 위원장이 신철영 경실련 대표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공개적으로 노조와 같은 입장을 밝힌 인물이 조정위원장을 맡은 것이다. 사용자 측인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은 “조정에 나선 중노위가 경영권과 인사권을 침해하는 노조의 주장을 수용하려는 편파성을 보이다가 사용자 측이 반발하자 ‘조정 중지’를 선언했다”며 “노측으로 기울어진 중노위의 행태가 노조 파업에 힘을 실어준 셈”이라고 비판했다.
양대 노총의 타워크레인노조와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은 파업에 앞서 여섯 차례 교섭을 했지만 합의에 실패해 중노위에 조정신청을 했다.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열린 중노위 조정위원회는 위원장인 신철영 공익위원과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등 3명으로 꾸려졌다. 사용자 측은 이해관계 충돌 문제가 있는 신 위원장이 이번 조정에서 배제됐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와 같은 목소리를 내는 단체를 이끄는 사람이 위원장을 맡아 공정한 조정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 사용자 측 주장이다.
중노위 조정회의에서 사용자 측은 소형 타워크레인 사용 중단은 경영권을 제한하는 내용이어서 노사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의견이었지만, 중노위는 노조 입장을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 측 협상 위원 전원이 조정을 거부하는 사태까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건설업체 대표는 “조합원 우선고용도 법원에서 불법으로 판정받아 노조 주장대로 단협이 될 경우 사용자들이 범법자가 된다고 항변했지만, 신 위원장은 위원회는 불법을 판단하는 곳이 아니라는 말만 계속했다”며 “이번 중노위는 노조에 합법 파업의 명분을 주기 위한 전초 기지 역할을 했다”고 비난했다.
김순신/배태웅/양길성 기자 soonsin2@hankyung.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154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