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서부전선부대 ‘장거리 타격수단’ 훈련..미사일 추정체 공개 김정은 참관·개시명령..”정세 요구에 맞게 전투임무수행능력 제고”‘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로 추정..240mm 방사포·자주포도 동원포병국장이 영접..ICBM 관할 전략군사령관은 참관자 명단에 없어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북한이 지난 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장거리 타격수단을 동원한 화력타격훈련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중앙통신은 10일 “김정은 동지께서 5월 9일 조선인민군 전연(전방) 및 서부전선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훈련을 지도했다”고 밝혔다. 통신은 “최고영도자 동지께서는 지휘소에서 여러 장거리 타격수단들의 화력훈련계획을 요해(파악)하시고 화력타격훈련 개시명령을 내렸다”고 전했다. 합동참모본부에서 전날 파악해 발표한 북한 발사체의 비행 거리와 고도로 미뤄 북한이 언급한 ‘장거리 타격수단’은 통상 사거리 5천㎞ 이상 되는 ‘장거리 미사일’과는 다른 의미로 보인다. 합참은 북한이 9일 오후 4시 29분과 4시 49분경 평안북도 구성 지역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불상 발사체 각각 1발씩 2발을 동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발표했다.합참은 추정 비행거리가 420여㎞, 270여㎞였고, 정점고도는 두 발사체 모두 50여㎞였다고 밝혔다. 이날 중앙통신이 공개한 훈련 사진에는 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가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수직으로 치솟는 장면이 담겼다. 북한이 지난 4일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추정되는 ‘신형 전술유도무기’와 같은 무기로 보인다. 지대지 탄도미사일의 일종인 이스칸데르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비행거리가 최대 300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체연료 용량에 따라 사거리는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군사분계선(MDL) 근처에서 쏠 경우 남한 중부권 이남까지도 타격권에 들어간다. 9일 훈련에는 이밖에 240mm 방사포와 신형 자주포로 보이는 무기도 동원됐다. 김정은 위원장은 참관에서 “조성된 정세의 요구와 당의 전략적 의도에 맞게 전연과 서부전선 방어부대들의 전투임무수행능력을 더욱 제고하고 그 어떤 불의의 사태에도 주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만단의 전투동원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나라의 진정한 평화와 안전은 자기의 자주권을 수호할 수 있는 강력한 물리적 힘에 의해서만 담보된다”고 강조했다.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타격훈련에 만족감을 표시하고 “며칠 전에 동부전선 방어부대들도 화력타격임무를 원만히 수행하였는데 오늘 보니 서부전선방어부대들도 잘 준비되어있고 특히 전연부대들의 화력임무수행능력이 훌륭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조선인민군 전연 및 서부전선 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능력을 더욱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데서 나서는 방향적인 중요한 과업들을 제시했다”고 전했으나 구체적인 과업의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신속방어능력을 판독 검열하기 위해 기동과 화력습격을 배합하여 진행된 이번 훈련은 전연과 서부전선 방어부대들의 위력을 남김없이 과시하며 성과적으로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이날 참관에는 김평해·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과 조용원 당 제1부부장 등 간부들이 동행했으며 현지에서 박정천 포병국장(육군대장) 등 군 지휘관들이 영접했으나, 미사일을 담당한 전략군의 김락겸 사령관은 참석 여부는 언급되지 않았다. 북한은 이번 발사에 대해서도 자위권 확보 차원의 통상적인 훈련이라고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발사와 마찬가지로 한미군사연습에 대한 반발·대응과 함께 비핵화 협상에서 미국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려는 압박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8일 중앙통신 기자와 문답에서 4일 발사에 대해 “정상적이며 자위적인 군사훈련”이라고 밝혔고, 장성급회담 북측 대표단 대변인도 남쪽에서 치러진 한미합동훈련에 대한 대응조치임을 강조했다. https://news.v.daum.net/v/20190510072451113?f=m 트럼프 대통령 “미사일 발사 심각히 주시…북한, 협상 준비 안된 듯”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를 누구도 달가워하지 않는다며, 북한이 협상할 준비가 안 돼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북한이 소형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상황을 매우 심각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트럼프 대통령] “Well, we’re looking at it very seriously right now. They were smaller missiles, short range missiles. Nobody’s happy about it but we’re taking a good look and we’ll see, we’ll see.”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이날 평안북도 구성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동쪽 방향으로 발사한데 대해, 누구도 이를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잘 살펴보고 있으니 지켜보자고 덧붙였습니다. 백악관 행사중에 기자들의 질문을 받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 미사일 발사에 대해 지난 4일 발사 때와는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관계는 계속되고 있지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고 말했습니다.[녹취:트럼프 대통령] “The relationship continues but we’ll see what happens. I know they want to negotiate. They’re talking about negotiating but I don’t think they’re ready to negotiate.”이어 북한이 협상을 원하는 것을 알고 있고, 그들은 협상에 대해 말하고 있다면서도 그럴 준비가 돼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북한은 경제적으로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북한이 그것을 날려 보낼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유럽을 순방 중인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은 방문 일정을 단축하고 귀국했습니다.모건 오타거스 국무부 대변인은 폼페오 장관이 워싱턴에 있어야 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그린란드 방문을 미루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을 방문 중인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패트릭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과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을 잇따라 만났습니다. 미국과 일본 고위 당국자들은 북한 미사일 발사 등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https://www.voakorea.com/a/4911078.html 文대통령 2주년에 쏜 미사일 北, 대통령 대담·韓美日 안보회의 열린 날 미사일 2발 발사文대통령, 5일전 도발때와 달리 北 발사체를 미사일로 인정 북한이 9일 오후 평안북도 구성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동해 방향으로 발사했다. 지난 4일 미사일·로켓 발사 이후 불과 닷새 만에 도발을 재개한 것이다. 이날 발사된 미사일들은 각각 420여㎞와 270㎞를 날아갔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 4시 29분과 4시 49분쯤 평안북도 구성 지역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불상 발사체 각각 1발씩 2발을 동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최대 비행고도는 모두 50여㎞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이날 미사일 도발은 정부가 대북 식량 지원 추진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4시간 앞두고 이뤄졌다. 또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방한하고 한·미·일 안보회의가 열린 상황이었다. 이번 미사일은 지난 4일과 같은 ‘북한판 이스칸데르’일 것으로 분석된다. 군 소식통은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이 스커드·노동미사일이었다면 최대 비행고도가 80~150㎞는 됐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취임 2주년 KBS 대담에서 북 미사일 발사에 대해 “오늘은 고도가 낮았지만 사거리가 길었기 때문에 일단은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사체에 대해선 단거리 미사일이라고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4일 발사체에 대해선 “고도가 낮고 사거리가 짧아 미사일로 단정하기 이르다고 봤고 한·미가 분석 중”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번 (4일)이나 이번에 북한의 훈련 발사는 일단 (군사 합의상 군사도발금지) 구역 밖에 있고, 군사 합의 이후에도 남북이 기존 무기 체계를 발달시키기 위한 시험 발사나 훈련 등은 계속해 오고 있어 남북 간 군사 합의 위반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다만 “비록 단거리라도 그것이 탄도미사일의 경우에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될 소지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또 “한·미 양국에 시위 성격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며 “비핵화 대화를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압박 성격도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자칫 잘못하면 대화 국면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고 했지만 적극적으로 북한을 비판하지는 않았다. https://news.v.daum.net/v/20190510031014901 美공군, 北 단거리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시각에 ICBM 시험발사 北 발사체 1발씩 쏜 시각 사이에 ‘미니트맨3’ 발사미군 “국제적 사건·지역분쟁과 무관”..1일 이후 8일만에 또 발사 (워싱턴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송수경 옥철 특파원 = 미국 공군이 9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미니트맨3’ 시험발사를 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미 공군의 미니트맨3 시험발사는 지난 1일에 이어 8일만으로, 공교롭게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불상 발사체 2발을 동해 방향으로 발사한 것과 같은 날, 거의 같은 시각에 이뤄졌다.미 공군 지구권타격사령부(AFGSC) 홈페이지에 따르면 F.E.워런 공군기지 제90 미사일편대 타격팀이 미 서부시간(태평양표준시)으로 9일 오전 0시40분 반덴버그 기지에서 미니트맨3를 발사했다. 북한은 한국 시간으로 9일 오후 4시 29분과 4시 49분경 평안북도 구성 지역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불상 발사체 각각 1발씩 2발을 동쪽 방향으로 발사했으며 추정 비행거리는 각각 420여km, 270여km라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 추정 불상 발사체 발사 시간은 미 서부시간으로는 9일 오전 0시 29분과 0시 49분경이다.즉, 미 공군이 미니트맨3를 시험발사한 0시 40분을 전후해 북한의 발사체가 1발씩 발사된 것이다.AP통신은 북한의 이번 발사가 5일 만이라며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를 담았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 공군 지구권타격사령부는 “이번 시험 발사는 국제적 사건이나 지역 긴장에 반응하거나 대응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사령부는 “이번 시험은 미국의 핵 억지력이 현대적이고 강건하면서도 유연하고 준비돼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며, 21세기의 위협 억지력에 적정하게 맞춰진 것으로 우리 동맹들을 안심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AP통신은 미 공군이 이번 발사는 ‘잠재적 전투’에 대한 준비 태세를 다지기 위해 정기적으로 예정된 ICBM 실험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미 공군은 매년 이와 같은 시험발사를 4∼5차례에 걸쳐 수행하며 ICBM 시험발사는 수개월 전에 미리 계획된다고 이 통신은 보도했다. 이번 실험을 위해 미 공군은 와이오밍주에 있는 F.E. 워런 공군기지 격납고에서 ‘미니트맨3’ 미사일을 반덴버그 공군기지로 옮겼다. 시험발사한 미니트맨3 ICBM은 4천200마일(6천760㎞)를 비행해 마셜제도에 있는 콰절린 환초의 목표 지점에 도달했다고 미 공군은 밝혔다. 앞서 미 공군은 지난 1일 새벽 2시 42분에도 미니트맨3 시험발사를 한 바 있으며, 미사일은 같은 궤적으로 목표 지점에 도달했다. 제90 미사일편대 트래비스 힐라드 소령은 “태스크포스가 일주일에 여러 차례 발사실험을 하는 기회는 자주 있는 것이 아니다. 이번 실험은 우리 팀에 엄청난 경험이었다”라고 말했다고 미 공군이 전했다. oakchul@yna.co.kr https://news.v.daum.net/v/20190510042604399?f=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