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 “보도 기사와 기자 존중하며 지지한다”…‘김정은 수석 대변인’ 기사 관련 성명
블룸버그통신 대변인, VOA에 보낸 메일에서 “보도기사와 기자를 존중하며 지지한다” 더불어민주당이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으로 표현한 미국 블룸버그통신 기자를 강하게 비판한 것과 관련해 블룸버그통신이 입장을 밝혔다. 블룸버그통신 대변인은 18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보낸 이메일에서 “블룸버그는 보도기사와 기자를 존중하며 지지한다”는 한글 성명을 영문 답변(We stand by our reporting and reporter) 아래 첨부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9월 26일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에서 김정은의 수석대변인이 됐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나경원 한국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해당 기사를 인용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더 이상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이라는 이야기를 듣지 않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다음날 해당 기자의 이름을 특정하며 “이 기자는 국내 언론사에 근무하다 블룸버그 통신 리포터로 채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 문제의 기사를 게재했는데, 미국 국적 통신사의 외피를 쓰고 국가원수를 모욕한 매국에 가까운 내용이라 당시에도 적잖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고 비난했다.
이에 서울외신기자클럽(SFCC)은 16일 더불어민주당의 비난과 위협에 강도 높은 우려를 표명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해외 약 100여개 언론사 소속 500여 명의 기자들이 소속된 서울외신기자클럽이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기자 개인의 신변 안전에 큰 위협이 가해진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며 “어떠한 정치인이라도 대중의 관심사나 의견에 대해 보도한 기자 개인에 대해 ‘국가 원수를 모욕한 매국’이라고 몰아가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며 이는 언론 통제의 한 형태이고 언론 자유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54
아시아출신 美언론인 단체도 韓민주당의 ‘블룸버그통신 기자 비난’ 성토하는 성명 발표…커지는 파문
아시아아메리칸 기자협회 “민주당 논평,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기자들의 언론자유 해치는 행위” “기자에 대한 ‘검은머리 외신기자’ 표현은 비정상적이라는 함의 담겨” “기자 개인에 가해지는 인신공격적 비판에 명백히 유감 표한다” 靑, 서울외신기자클럽의 ‘文정부 입장 표명’ 요청 계속 묵살 한국기자협회 “외신 관련 문제에 논평 힘들다”며 비공식 답변 민언련 “우리가 모든 일에 논평 낼 수 없다”며 답변 거부
아시아 출신 미국 언론인 모임인 아시아아메리칸 기자협회(AAJA)는 한국의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이라고 보도한 블룸버그통신 기자를 비난한 것을 비판하는 성명을 19일 발표했다. AAJA는 미국과 아시아 전역에 20여개 지부를 두고 있으며 1500여명의 기자들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CNN, 워싱턴포스트, LA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블룸버그 등에서 근무하는 아시아 출신 미국 기자들이 주축이다.
AAJA 아시아지부와 그 산하 서울지부는 이날 공동명의로 낸 성명에서 “협회 회원이자 블룸버그통신 소속인 기자를 둘러싼 논쟁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며 “이런 위협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기자들에게 보장돼야 하는 언론의 자유를 해치는 행위”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3일 성명을 통해 “나경원 원내대표가 인용한 외신은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에서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top spokesman)이 됐다’는 제목으로 블룸버그 통신의 이유경 기자가 쓴 바로 그 악명 높은 기사”라며 “이 기자는 국내 언론사에 근무하다 블룸버그 통신 리포터로 채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 문제의 기사를 게재했는데, 미국 국적 통신사의 외피를 쓰고 국가원수를 모욕한 매국에 가까운 내용이라 당시에도 적잖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AAJA는 “민주당 대변인은 (논란이 된) 기사를 작성한 블룸버그 기자의 이력과 외신으로서의 자격을 문제 삼았다”며 “기자가 한국 국적의 서울 주재원이라는 사실은 보도의 신빙성을 깎아 내리는 빌미가 됐다”고 했다. 또한 “AAJA 아시아지부는 이번 사건으로 인하여 기자 개인에게 가해지는 인신공격적 비판에 명백히 유감을 표한다”며 “해당 기자가 신변의 위협까지 받고 있는 상황에 우려를 금할 수가 없다. 이러한 위협들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기자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언론의 자유를 해치는 행위이다.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가 어떤 경우에도 침해받아서는 안 된다”고 했다.
AAJA는 블룸버그통신 기사를 한국 기자가 썼다는 일부 네티즌의 공격에 대해서도 ‘중대한 인종차별’로 규탄했다. AAJA는 “일부에선 해당 기자를 ‘검은머리 외신기자’라고 표현했다”며 “이 표현에는 한국인 기자가 외국 언론사 소속으로 취재 활동을 하는 것이 비정상적이라는 함의가 담겨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신보도는 해당 국가 언어와 문화에 정통한 자국 출신 기자와의 협업을 통해 이뤄진다”며 “기자의 국적을 빌미 삼아 외신보도를 깎아 내리는 행태, 또한 외신은 외국인으로만 이뤄져야 한다는 편견에 다시 한 번 유감을 밝힌다”고 했다.
한편 앞서 해당 사안에 대해 항의성명을 낸 서울외신기자클럽(SFCC) 기자들은 민주당 논평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묻고 있지만 청와대는 이를 계속 묵살하고 있다. SFCC에 따르면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 소속 프레드릭 오자르디아스 기자가 17일 청와대와 외신기자들의 소통창구인 외신기자 단체채팅방에 “(여당 논평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은 무엇이고 언론의 자유에 대한 입장은”이라고 물은 것을 시작으로 10여 명이 같은 질문을 던졌다. 그러나 청와대측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 일정에 대한 설명한 되풀이 하고 있다. SFCC는 답변 거부가 계속될 경우 각국 대사관에 ‘언론자유-인권침해 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리나라 1만여 기자들이 회원으로 등록된 한국기자협회는 ‘민주당의 블룸버그통신에 대한 논평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국제 언론인 단체들의 지적에 대한 의견을 묻는 펜앤드마이크의 19일 전화취재에 대해 ‘외신과 관련된 문제에 국내 단체가 논평을 내기 힘들다’는 비공식 답변을 내놨다. 이른바 ‘언론 민주화’를 기치로 내세운 좌파 성향 언론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은 “우리가 모든 일에 논평을 낼 수는 없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동영상 보기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74
AP-NYT-WP “세계적 언론인 협회들, ‘한국서 언론의 자유 위기 처했다’ 비판” 일제히 보도
“블룸버그통신 기자에 대한 한국 상황에 우려 증폭” “‘친북’ 묘사는 남북경협 의지를 꺾지 않는 文과 같은 진보정치인들에게 매우 민감한 문제” “하노이 회담 결렬로 ‘김정은 비핵화 의지있다’고 했던 文의 주장에 의심 커져” 블룸버그통신과 뉴욕타임스(NYT), 워싱턴포스트(WP)는 19일(현지시간) 일제히 “블룸버그통신 기자에 대한 한국의 상황에 대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제목의 AP통신의 기사를 게재했다.
AP통신은 이 기사에서 “한국의 집권여당이 한국 국적을 가진 블룸버그 기자에 대해 ‘국가원수를 모욕한 매국에 가까운 내용’의 기사를 썼다고 지목한 후에 세계적인 언론인 협회들이 한국 내 언론의 자유가 위기에 처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고 전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이해식 대변인이 좌성향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서 김정은의 ‘수석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묘사하는 기사 제목을 쓴 블룸버그통신 기자의 실명을 거론하며 공격한 지난 13일 성명을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19일 밝혔다”며 “그러나 몇 시간 후 이 대변인은 ‘만약 성명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면’ 외신 기자들에게 사과한다며, 민주당은 기자의 이름과 개인의 인적사항을 성명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했다고 이메일로 전해왔다”고 했다.
AP통신은 “이 대변인은 지난 3월 14일에도 북한과의 외교를 촉진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을 김정은의 ‘에이전트(대리인, 간첩)’로 묘사한 뉴욕타임즈의 지난해 10월 기사도 공격했다. 이 대변인은 이 기사를 쓴 한국 기자의 국적을 문제 삼아 ‘이 기사는 단지 검은 머리 통신원이 쓴 기사’라며 뉴욕타임즈 기사를 깎아 내렸지만 기자의 실명을 거론하지는 않았다”며 “한국에서 ‘검은 머리’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외국 회사를 위해 일하는 한국인들이 ‘조국에 충성하지 않는다’며 조롱하는 말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며칠 동안 이 문제에 대해 논평을 거절했던 청와대 측은 19일 저녁 정부는 언론의 자유를 완전히 보장하며 기자 개인의 신변 안전이 위협에 처하는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아시아아메리카 언론인 협회(AAJA)와 서울외신기자클럽(SFCC)도 해당 사건에 우려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한 사실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언급했다. AP통신은 “아시아아메리카 언론인 협회(AAJA)는 이날 블룸버그통신 기자가 단순히 자신의 직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로 신변안전이 위험에 처한 것과 관련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며 “협회는 해당 기자가 한국정부의 구성원에 의해 표적이 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하고, 기자를 위협하거나 겁을 주는 행위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그러한 행위는 사기를 저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서 일하는 모든 기자들의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AAJA 아시아 지부와 그 산하의 서울 지부뿐만 아니라 앞서 서울외신기자클럽(SFCC)도 민주당의 성명에 깊은 우려를 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SFCC는 성명에서 민주당의 성명을 ‘검열의 한 형태이자 언론을 위축시키는 행동’이라고 꼬집었다”고 했다.
AP통신은 “한국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매우 심각하게 분열돼 있다”며 “‘친북’으로 묘사되는 것은 심지어 북한의 위협이 코앞에 있는데도 남북경협에 대한 의지를 꺾을 줄 모르는 문재인과 같은 진보 정치인들에게 매우 민감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재인)은 워싱턴과 평양, 서울에서 핵 외교를 세우기 위해 아주 열심히 일해 왔다”고 덧붙였다. AP는 “부서지기 쉬운 북한과의 외교를 계속 살리기 위해 문재인은 김정은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를 ‘솔직하고 예의바른’ 신뢰할 수 있는 외교상대이자 빈곤에 찌든 북한의 경제적 번영과 그의 핵무기를 맞바꾸기를 원하는 것으로 묘사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문가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정상회담 결렬은 그동안 김정은이 ‘핵 거래’에 관심이 있다고 주장했던 문재인 대통령을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7315
아시안아메리칸기자협회 “한국에서 기자에 대한 위협 깊은 우려”
민주 “심려 끼쳐 죄송”…기자 비판 논평 문구 일부 삭제하고 사과
아시안아메리칸기자협회(AAJA·Asian American Journalists Association)가 문재인 대통령에 관한 기사 때문에 한국 주재 블룸버그통신 기자가 공개적으로 비판을 받은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AAJA는 19일 홈페이지(www.aaja.org)에 게시한 성명을 통해 “한국에서 기자가 단지 언론 활동으로 인해 신변 안전이 위협받게 된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한국 정부 측의 표적이 되는 것 역시 문제”라고 밝혔다.
AAJA는 “언론인에 대한 위협은 용납되어선 안 된다”며 “이는 한국의 모든 언론인들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언론의 자유를 해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 세계 언론인은 신체적 위협 없이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한국처럼 민주주의의 가치를 옹호하고 언론 자유의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특히 그렇다”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지난 12일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수석대변인’이라고 발언한 뒤 외신을 인용한 것이라고 해명하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튿날 발언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내면서 나 원내대표가 인용했다는 작년 9월 블룸버그통신 기사와 작성 기자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울외신기자클럽(SFSS)은 지난 16일 기사와 관련한 의문이나 불만은 언론사에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제기돼야 하고 기자 개인을 공개적으로 겨냥해선 안 된다며 비판 성명을 냈다. 민주당은 이해식 대변인 명의로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을 내어 “13일 논평으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국내에 주재하는 외신기자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유감을 표했다.
이 대변인은 “해당 논평은 블룸버그통신과 기자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었고, 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발언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 근본 목적이었다”며 “거친 표현으로 다소 기자에게 불편을 끼쳤을 수 있고 심리적 충격으로 다가갈 수 있음을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앞선 논평에서 ‘매국에 가까운 내용’ 등 몇 가지 표현을 삭제하고 기자 성명과 개인 이력 언급 부분도 삭제해 우려를 불식하고자 한다”며 “앞으로 소통을 충실히 해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https://www.mk.co.kr/news/view/culture/2019/03/166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