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국과 비핵화 협상 중단 선언

* 북한이 최선희를 통해 미국과 더 이상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을 발표하였습니다. * 그 와중에도 그 자존심은 미국이 절호의 기회를 날렸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그 반대입니다. * 이런 상황에서도 청와대는 미북 협상 재개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실상은 김정은 대변인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이제 결과적으로 중재자를 자처했던 문 대통령에게 돌아오는 책임의 화살은 더 무거워 질 것입니다.

최선희 “美, 절호의 기회 날려…협상 생각없다”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15일 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절호의 기회를 날렸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앞으로의 비핵화 협상을 지속할지 여부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최 부상은 이날 평양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북미 두 정상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에 크게 실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미사일 발사 및 핵실험 중단 등 우리가 지난 15개월 간 취한 조치에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 ‘정치적 계산’을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는 타협이나 협상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최 부상은 “김 위원장이 지난달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보인 (협상) 태도에 혼란스러워했다”며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좀 더 대화하고 싶어 했지만, 미국의 입장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의 비타협적 요구 쪽으로 굳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회담을 끝내고 돌아오는 길에 김 위원장은 ‘왜 이런 열차여행을 또 해야 하지?’라고 말했다”며 “분명 깡패 같은 미국의 태도가 결국 상황을 위험하게 만들었다. 어떤 형태로든 미국과 타협할 생각이 없으며 이런 식의 협상을 할 계획이나 바람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두 최고 지도자 간의 관계는 여전히 좋고, 합도 잘 맞다”고 덧붙였다. 최 부상은 2차 정상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모든 제재를 해제해줄 것을 요구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민간 경제에 적용된 제재만을 해제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미국이 이번에 황금 같은 기회를 내팽개쳤다는 것”이라며 “미국이 왜 (정상회담에서와) 다른 발언들을 내놓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모든 제재를 해제해달라고 요구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에 미국이 우리와 매우 다른 계산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최 부상은 북한이 미사일이나 위성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과 관련해선 답변을 거부했다. 대신 그는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을 계속 중단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김 위원장에게 달려있다”며 “곧 (그와 관련해) 입장을 발표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NK뉴스에 따르면, 한 전문가는 “지난해 4월에도 최고인민회의 전 당 회의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언급했다”며 최 부상이 말한 ‘곧’이란 오는 4월 초 열릴 14기 최고인민회의를 앞두고 있을 당 회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압박이 계속될 경우, 김 위원장은 미국과의 향후 비핵화 협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더 나아가 신년사에서 말했던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는 발언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yellowapollo@news1.kr

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9165&iid=1339699&oid=421&aid=0003884253&ptype=052

北 “美 황금같은 기회 날렸다”…核미사일실험 재개할지 곧 결정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강건택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과의 비핵화 대화와 핵·미사일 시험 유예(모라토리엄)를 계속 유지할지에 대해 조만간 결정을 내린다고 북한 고위 관리가 15일 밝혔다.

이와 관련, 러시아 타스 통신은 북한 지도부가 미국과의 비핵화 대화 중단을 고려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이날 평양에서 외신 기자들과 외국 외교관들을 대상으로 긴급 회견을 열어 북한이 지난 15개월 동안 미사일 시험발사와 핵실험을 중단하는 등 변화를 보여준데 대해 미국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떠한 형태로든 미국과 타협할 의도도, 이런 식의 협상을 할 생각이나 계획도 결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타스와 AP 통신이 평양발로 보도했다.

최 부상은 미사일 시험 발사와 핵실험 중단을 계속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김 위원장의 결정에 달렸다며 “짧은 기간 안에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조만간 북한의 추가 행동을 발표할 공식 성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 부상은 북한이 지난달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아무런 합의에 이르지 못한 데 대해 깊이 실망했다고 밝혔다. 최 부상은 김 위원장이 “미국의 기이한(eccentric) 협상 태도에 곤혹스러워했다”고 전하면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때 “미국은 그들 스스로의 정치적 이해를 추구하느라 바빴지 결과를 내기 위한 진실한 의도를 갖고있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특히 당시 확대정상회담에 배석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비타협적인 요구를 하는 바람에 미국의 태도가 강경해졌다며 “이들이 적대감과 불신의 분위기를 만들었다”고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그 결과 정상회담이 의미있는 결과 없이 끝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상은 미국이 지나치게 많은 요구를 했고 완강한 태도를 보였다며 “분명한 것은 미국이 이번에 황금같은 기회(a golden opportunity)를 날려버렸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노이에서) 고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우리 국무위원장은 ‘대체 무슨 이유로 우리가 다시 이런 기차 여행을 해야 하겠느냐’라고 말했다”고 전한 뒤 “미국의 강도 같은(gangster-like) 태도는 결국 상황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번에 우리는 미국이 우리와는 매우 다른 계산을 갖고 있음을 매우 분명히 이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폼페이오 장관 등에 비해 대화에 좀 더 적극적이었다며 “두 최고지도자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는 여전히 좋고 궁합(chemistry)은 신비할 정도로 훌륭하다”고 최 부상은 묘사했다. 이처럼 최 부상이 하노이 정상회담 실패의 원인을 미국의 외교·안보 라인에 돌리는 대신 트럼프 대통령 개인에 대한 비판을 자제한 것은 양측 지도자 간의 친분과 신뢰는 해치지 않음으로써 향후 ‘톱다운’식 해법 추구의 여지를 남긴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최 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모든 제재를 해제하려 했다’고 밝힌 대목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북한은 단지 민간 경제를 옥죄는 제재에 대해서만 해제를 추구했다는 것이 최 부상의 설명이다.

그는 “미국이 왜 이렇게 다른 설명을 내놓는지 그 이유는 확실히 모르겠다”며 “우리는 전체 제재의 해제를 요구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회견에서는 북한이 미사일이나 위성 발사를 준비 중이라는 언론 보도에 관한 질문도 나왔으나 최 부상은 직접적인 언급을 거부했다고 AP는 전했다. yy@yna.co.kr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10697415&date=20190315&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

北, 침묵 깨고 “협상 중단 고려”…무슨 의도 있나

북한이 15일 “미국과 비핵화 협상 중단을 고려 중”이라고 제2차 북미정상회담 후 첫 공식입장을 밝혔다. 미국의 ‘빅딜’ 압박에 대한 ‘최후통첩’이란 해석이 나온다. 북미가 ‘강대강’ 대치 국면으로 치달을 지 여부는 트럼프 미 행정부의 반응과 북한이 발표를 예고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성명 수위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北 “비핵화 협상 중단고려”…美 빅딜 압박에 최후통첩 맞대응 가능성=러시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이날 평양에서 외신들을 대상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과 비핵화 협상 중단을 고려 중”이라며 “우리는 미국의 요구에 어떤 형태로든 양보할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 27~28일 제2차 북미정상회담 합의 무산 이후 북한의 첫 공식 입장이다. 최 부상이 지난 1일 하노이 현지에서 한국 기자들에게 “이런 회담을 해야 하나 싶다”고 한 적은 있지만 김 위원장 귀국 후 핵심 당국자가 내놓은 공식입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 부상은 이날 김 위원장이 곧 북미정상회담 이후 앞으로의 조치에 대한 북한의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하노이 회담 이후 보름 만에 내부적인 대응 전략과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침묵을 지켜 온 북한이 공세적인 입장을 공식화한 것은 회담 후 2주 넘게 미국이 가해 온 ‘압박’에 대한 ‘맞대응’일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미국은 하노이 회담 후 북측에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중심으로 주장해 온 ‘빅딜’을 받아들이라는 압박을 여러 채널을 통해 지속해 왔다. 북한이 폐기 의사를 밝힌 영변 핵시설 외에 우라늄 농축시설 등 핵물질 및 핵무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생화학무기 등 모든 대량살상무기(WMD) 폐기, 검증에 응하란 요구다.

이 같은 요구가 비핵화를 먼저 한 뒤 상응조치를 하는 이른바 일괄타결 방식을 의미하는 건지, 행동대 행동을 의미하는 단계적 이행을 뜻하는 지에 대해선 미국 측도 모호한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럼에도 미국은 대북제재 고삐를 죄면서 북한이 요구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해제 역시 어렵다는 뜻을 거듭 직접적으로 드러내 왔다.

이런 가운데 나온 북한의 입장은 미국의 빅딜 요구와 제재를 통한 옥죄기를 두고볼 수 없다는 맞대응 성격이자 ‘단계적 비핵화’ 외엔 양보할 수 없다는 최후통첩 성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이 판을 깨기를 원하지 않는다’게 지금까지의 지배적 전망이었으나, 북미 양측이 모두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상황이 ‘강대강’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올해 1월 신년사에서 언급한 ‘새로운 길’이 ‘하노이 노딜’ 후 북한의 선택지가 될 수도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우리 인내심을 오판하면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北의 새로운 길은 핵·경제 병진 회귀?…’가능성 낮아’ =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새로운 길’에 나서더라도 핵·경제 병진 노선을 다시 채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대내적으로 지난해 4월 ‘경제건설 총력 집중’을 공식적인 새 전략 노선으로 채택한 김 위원장이 이를 번복하는 모양새를 취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새로운 길’이 얘기될 수밖에 없겠지만 과거로 돌아가는 핵·경제 병진으로의 회귀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김동엽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조선중앙통신이 아닌 외신(타스)발이란 점에서 외부적 메시지에 무게가 있어 보인다”며 “이 점에서 극단적인 상황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미국 언론 등이 동창리, 산음동 등 핵 관련 시설 내 움직임 등과 관련한 이상 징후 가능성을 주장해 왔으나, 정보당국 등을 통해 ‘도발 움직임’으로 뚜렷하게 확인된 것 역시 아직은 없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대내적으로 합의 불발 책임을 미국으로 돌리면서 내부결속 및 자력갱생을 강조하는 기존의 입장을 강조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의 공식 입장은 내달 초로 전망되는 제14기 최고인민회의 첫 회의 전에 열릴 당 전원회의 등을 계기로 발표될 수 있으리란 전망이다. 당 전원회의 개최 시점은 3월 말에서 4월 초로 예상된다.

청와대는 이날 북측 발표와 관련 “최선희 부상 발언만으로는 현 상황을 판단할 수 없다”며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 정부는 북미 협상 재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권다희 기자 dawn27@mt.co.kr

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9165&iid=1339723&oid=008&aid=0004189329&ptype=052

靑, 北 ‘협상 중단 고려’에 “어떤 상황서도 북미 협상 재개 노력”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청와대는 15일 북한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 중단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어떤 상황에서도 북미 협상 재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과 비핵화 협상 지속 여부 등에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이같은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이는 앞서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이 “최선희 부상의 발언만으로 현 상황을 판단할 수 없다.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밝힌 데에서 나아가 우리 정부가 협상의 중재자로서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이날 평양에서 연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요구에 어떤 형태로든 양보할 의사가 없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향후 행동계획을 담은 공식성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다연 (here@edaily.co.kr)

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9165&iid=1339702&oid=018&aid=0004331534&ptype=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