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파키스탄 접경 지역서 테러…軍 40여 명 사망
14일 인도 카슈미르서 자살 폭탄 테러 이슬람 무장 단체 JeM “우리가 했다” 30년간 분쟁 끊이지 않는 곳 인도 카슈미르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해 군인 등 40여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테러 발생지는 인도와 파키스탄 접경지로 지난 30년 간 종교의 차이로 분쟁이 끊이지 않던 곳이다.
한 이슬람 무장단체는 이번 테러가 자신들이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15분쯤 인도 카슈미르에서 자살 폭탄테러가 발생해 44명의 사망자와 수십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현지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사망자 수는 늘고 있다. 이번 테러는 연방경찰 CRPF(Central Reserve Police Force) 소속 무장경찰의 버스행렬을 노린 것으로 파악된다. 사고 발생 당시 경찰부대 병력 2500명을 태운 78대의 버스 등 차량이 지나가는 중이었으며 300~350kg의 폭발물을 실은 차량이 이 행렬에 돌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슬람 무장세력 ‘자이시 이모하메드(JeM)’는 현지언론을 통해 이번 테러가 자신들의 소행이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는 JeM은 카슈미르에서 활동하는 가장 강력한 무장단체 중 하나로 2001년 인도 의회를 공격해 비난받기도 했다. 카슈미르는 파키스탄 접경 지역으로 지난 30년간 독립 또는 파키스탄으로의 편입을 원하는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BBC에 따르면 1989년 이후 최소 10건의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이 지역에서는 2016년 약 20명의 사망자를 낸 테러 사건이 발생했고 또 2002년에도 인도 치안 병력(Security forces)을 목표로 한 폭탄 테러가 발생, 31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한편 인도 외무 장관은 이날 사고 발생 약 한 시간 후 성명을 통해 “우리는 파키스탄에 테러리스트를 지원하는 행위를 그만둘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트위터를 통해 “이번 공격을 강력히 비난한다”며 “우리 치안 경찰의 희생이 헛되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9021508085476995
다시 불붙은 ‘화약고’ 카슈미르…총격전에 인도군 사망 반군과 교전 벌이던 인도군 4명 사망·1명 부상
인도 정부, 파키스탄 반군 대대적 소탕 나서 인도와 파키스탄의 영토 분쟁 지역인 인도령 카슈미르(잠무 카슈미르) 풀와마 지역에서 인도군과 반군의 총격전이 발생해 인도군 4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AFP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지역에서 자살폭탄 공격으로 무장단체 조직원 41명이 한꺼번에 사망한 지 4일만에 벌어진 일이다. 통신은 익명의 고위 경찰관리를 인용해 “교전 도중 4명이 사망하고 한 명이 부상했다”면서 “우리 군이 경고성 발포를 하니 반군이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리는 수색 작전이 강화되고 있지만 이때 총격전을 벌였던 반군 세력이 도주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인도 정부는 지난 14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자살폭탄 공격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고, 파키스탄계 반군 소탕 작전에 나섰다. 당시 폭발물을 실은 차량이 카슈미르 고속도로에서 인도중앙예비경찰부대(CRPF)원 약 2500명을 싣고 달리던 78대의 차량을 향해 돌진했다. 파키스탄에 본부를 둔 이슬람 무장세력인 ‘자이시 이모하메드’는 이번 테러의 배후를 자처했다. 이에 인도에서는 파키스탄에 군사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분노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시민들도 거리에 나와 파키스탄에 대한 보복을 주장하고 나섰다. 노동조합은 상점과 소기업들의 전국적인 파업을 촉구하고 있다. 카슈미르에서도 힌두교도 비중이 높은 잠무시에서는 통행금지령이 4일간 계속됐으며, 시위대는 카슈미르인 무슬림의 재산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 뉴델리에서는 카슈미르인 남성이 반(反)인도 구호를 외쳤다는 이유로 여러 무리의 사람들에게 폭행을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카슈미르는 파키스탄의 독립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의 영토로 분할돼 있다. 하지만 지난 30년간 카슈미르 독립이나 파키스탄으로 편입되길 원하는 반란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잠무 카슈미르는 힌두교 국가인 인도에서 유일하게 이슬람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인도는 1989년 카슈미르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한 뒤 지역에 병력을 50만명이나 배치했다. 그렇게 이 곳은 세계에서 가장 무장된 지역 중 하나가 됐다. 이 지역의 갈등 상황은 지난 2016년부터 심화돼 폭력 사태로 사망한 이들의 숫자는 거의 6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1) http://news.donga.com/Inter/3/02/20190218/94175023/1
인도 “파키스탄과 인더스강 공유 않겠다”…
테러 갈등 최고조 최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자살폭탄 테러로 인도와 파키스탄 간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는 가운데 인도가 물을 공격 무기로 삼았다. 22일 인도 일간 힌두스탄타임스와 미국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니틴 가드카리 인도 교통부 장관은 전날 트위터를 통해 파키스탄과 인더스강 유역의 수자원을 더는 공유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지금까지는 인도 영토를 거쳐 파키스탄으로 흘러 들어가는 인더스강 상류 물줄기를 그대로 뒀으나 앞으로는 이를 막아 인도 쪽으로 돌리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파키스탄 일부 농업지대는 당장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릴 수밖에 없게 된다. 가드카리 장관은 1960년 ‘인더스강 조약’에 따라 인도는 인더스강 상류의 수자원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그간 활용하지 않았는데 이제 그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설명했다. 인도는 이전에도 종종 이 같은 주장을 펼쳤으나 이번처럼 강도 높게 확실한 어조로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현지 언론과 외신은 인도의 이번 발표가 카슈미르 자살폭탄 테러와 관련한 ‘보복’이라고 분석했다.
http://m.mk.co.kr/news/headline/2019/109628#mkmain
印 공군, 48년 만에 파키스탄 공습.. 양국 대립 격화 ‘카슈미르 폭탄 테러’ 印경찰 40명 사망 보복인 듯/
인도 “분계선 넘어 테러캠프 공격/전투기 폭탄 1t 투하.. 완전 파괴”/ 모디, 긴급안보회의 軍상황 점검/파키스탄 “희생자·피해발생 안해”/인도에 정전협정 위반 강력 반발/양국 전면전 확대 가능성은 낮아
인도 공군이 26일 군사분계선(LoC)을 넘어 파키스탄 지역을 공습했다. 인도-파키스탄 간 영유권 분쟁지역인 인도령 카슈미르(잠무카슈미르주)에서 최근 발생한 자살폭탄 테러로 인도 경찰 약 40명이 사망한 사건 이후 양국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인도의 파키스탄 공습은 1971년 양국이 전쟁을 벌인 이후 48년 만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프라카시 자바데카르 인도 인적자원개발장관은 이날 “군이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했다. 그것은 극도로 용기 있는 행동이었다”며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앞서 군당국에 전권을 부여했고, 오늘 온 나라가 군과 함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공군 관계자도 ANI통신에 “26일 오전 3시30분쯤 미라주 전투기 편대 12대가 분계선 너머 테러리스트 캠프를 공습했다”며 “1t이 넘는 폭탄을 투하했으며, 이 공격으로 테러리스트 캠프는 완전히 파괴됐다”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공습 직후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하면서 LoC 주변 군 상황 등을 점검했다. 반면 파키스탄 측은 “인도가 정전협정을 위반해 LoC를 침범했다”며 강력 반발했다. 아시프 가푸르 파키스탄군 대변인은 “인도 공군이 파키스탄이 통제하는 카슈미르 무자파라바드 상공을 침범했다”며 “파키스탄 공군이 요격을 위해 즉각 출동했으며, 인도 전투기들이 되돌아갔다”고 전했다. 그는 “인도 공군이 카슈미르 외곽 발라코트에 폭탄을 투하했다”고 덧붙였다. 샤 메흐무드 쿠레시 파키스탄 외무장관은 “인도는 더 분별력이 있어야 한다”며 “파키스탄은 완벽하게 방어태세를 갖춘 상태라 인도의 공격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파키스탄은 이날 공습지역 사진을 공개하며 “희생자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CNN 뉴스18은 캠프 내 무장병력 200명가량이 숨졌다고 보도했다.
이날 공습은 지난 14일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테러로 양측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뤄졌다. 당시 잠무카슈미르 풀와마 지역에서 인도 중앙예비경찰부대 소속 2500여명을 태운 차량 행렬을 노린 자살폭탄 테러가 일어나 약 40명이 사망했는데,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카슈미르 반군 ‘자이시에무함마드’가 공격의 배후를 자처했다. 그러나 인도는 파키스탄이 실제 배후라고 주장하며 관세 인상 등 보복조치를 취해 왔다. 그러나 이번 공격이 전면전으로 번질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전망된다. 두 나라 모두 핵보유국인 데다 카슈미르 지역에는 양국 군인 수십만명이 대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습 이후 크게 출렁이던 인도 환율·증권 시장도 차츰 안정을 되찾는 모양새다. 인도 공군이 파키스탄 영토에서 정확히 무엇을 타격했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는 점에서 인도 측의 ‘계산된 행동’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파키스탄에 대한 인도 국민의 분노를 누그러뜨리면서도 파키스탄의 군사적 반격 위험성은 최소화하는 범위의 공습이었다는 얘기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당시부터 카슈미르 영유권을 놓고 분쟁을 벌여 왔다. 종교·계급 갈등으로 세 차례 큰 전쟁을 치른 뒤 1972년 인도령과 파키스탄령으로 분할됐다. 잠무카슈미르는 힌두교 국가인 인도에서 유일하게 이슬람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아 ‘카슈미르 독립’이나 ‘파키스탄 편입’을 주장하는 무장단체의 활동이 이어져 왔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https://news.v.daum.net/v/20190226210218382?rcmd=rn&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