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대안학교’ 도입, 지원의 의도

* 이제 서울시가 비인가 학교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기독교 대안학교는 원천적으로 지원하지 않을 근거를 만들려하고 있습니다.
* 교회와 크리스천 부모들은 내 자녀의 기독교 가치관에 입각한 교육시킬 자유와 권리에 대해 싸워야 합니다
‘서울형 대안학교’ 도입, 지원 늘린다
시, 2022년까지 45곳 지정…공교육 수준 학습권 보장
서울시가 학교를 중도에 그만둔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비인가 대안학교를 ‘서울형 대안학교’로 육성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대안학교 장학금을 신설하고, 이직이 잦은 교사들 처우도 개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학교 밖 청소년 종합지원계획’을 발표했다.
‘서울형 대안학교’라는 교육모델을 도입해 입시경쟁 중심의 제도권에서 벗어나 있는 청소년들에게도 공교육 수준의 학습권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다.
대안학교는 정부 지원이나 학력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인가형’과, 그렇지 않은 ‘비인가형’으로 나뉜다. 현재 서울에는 82개의 비인가 대안학교가 운영 중이며, 44곳이 서울시 지원을 받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 비인가 대안학교 15곳을 서울형 대안학교로 지정할 계획이다. 종교·정치적으로 편향된 곳은 배제하고 전문성과 재정 투명성을 갖춘 학교를 선정해 지원하고, 2022년까지 45곳을 서울형 대안학교로 지정한다는 구상이다.
서울형 대안학교가 되면 전체 운영비의 70%(기존 40%)를 시비로 충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학생 1인당 연간 지원비는 최대 880만원으로 공교육에 버금가는 수준이 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교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수도 지원한다. 기존 44개 비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올해 새 학기부터는 일반 학교와 동일하게 무상급식을 제공한다. 교사 인건비 지원 대상은 기존 2명에서 3명으로, 지원금은 1인당 월 200만원에서 240만원으로 늘린다. 또 진로탐색을 돕는 ‘대안교육기관 장학금’을 신설하고, 월 30만원씩 3개월간 받을 수 있는 인턴십 지원 대상자도 지난해 100명에서 올해 300명으로 늘린다.
서울시는 오는 3월부터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종합실태조사를 처음 실시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이탈 원인 등을 분석해 맞춤형 정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매년 1만명 이상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지원을 확대하고 제도를 보완해 대안학교의 틀을 넓히면 더 많은 학교 밖 청소년을 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m.khan.co.kr/view.html?art_id=201901302117005
서울시, ‘서울형 대안학교’ 45곳 육성…“운영비 70% 지원, 학생 1인당 880만원”

[출처] 이투데이:
http://m.etoday.co.kr/view.php?idxno=1717047#csidx00a8fa15c47e7518ea642ed2619e8cf

서울시가 학교를 중도에 그만둔 ‘학교 밖 청소년’에게 공교육 수준의 학습 평등권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형 대안학교’를 지정·육성하고 운영비 70% 이상을 지원한다. 비인가 대안학교에도 교사 인건비, 교육사업비, 무료 친환경 급식 등 지원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30일 ‘2019년 학교 밖 청소년 종합지원계획’을 통해 2022년까지 ‘서울형 대안학교’ 45개소를 지정·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내 학교 밖 청소년은 전체 학생의 8.5%인 8만여 명에 달한다.
대안학교는 기존 공교육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다. 교육당국으로부터 학력이 인정되는 ‘인가형(교육청 관할)’과 교육당국 간섭을 받지 않고 교과과정을 자유롭게 운영하는 ‘비인가’로 구분된다. 서울시내 총 82개의 비인가 대안학교가 운영 중이며 44곳이 현재 서울시로부터 운영비의 약 40%를 지원받고 있다.
서울시는 시내 82개 비인가 대안학교 중 △교육이념 보편성 △전문성 △재정운영 투명성 등을 심사해 서울형 대안학교를 선정할 계획이다.
서울형 대안학교로 선정되면 운영비의 70%를 시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 학생 1인당 교육비 880만 원(공교육은 942만 원) 수준으로 학생 20명 기준 연평균 운영비 2억5000만 원 중 1억8000만 원을 지원받게 된다.
또 교사 인력을 지원하고 교사 연수·교육 체계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인다. 서울문화재단과 협력해 정규 교과와 음악·연극·무용을 연계한 ‘찾아가는 인문예술 통학교육’도 실시한다.
서울시는 기존 44개 비인가 대안학교(950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올해 새 학기부터 일반 초·중·고등학교와 동일하게 대안학교에도 친환경 급식을 무료로 제공한다. 시는 연간 8억5000만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교사 인건비 지원 대상은 2인에서 3인, 지원액은 1인당 월 200만 원에서 240만 원으로 각각 늘린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재비 지원은 학교 당 연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늘리고, 수업료(1인당 평균 148만 원)를 지원하는 저소득 취약계층 재학생을 150명에서 200명으로 확대한다.
백호 서울시 평생교육국장은 “올해 기존 지원을 강화하면서도 학교 밖 청소년에게 양질의 체계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교육 모델을 시도할 것”이라며 앞으로 서울형 대안학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