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가운데 중국의 감추어졌던 경제적 부실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와 위기는 브렉시트 등 세계 질서 재편 과정에 세계적 경제 폭풍의 징후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중국발 경제 위기와 세계 경제 폭풍에 직격탄이 예상되어 대비가 필요합니다. * 이러한 시기에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약화 시키는 기업 규제와 경제 정책 운용은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입니다. * 더구나 정치 경제적으로도 친중 정책은 중국발 경제 위기가 심활될 때 우리에게도 큰 부담이 될 것입니다. * 이제라도 정부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반기업적인 규제와 정책에서 돌아서야 할 것입니다. 中 중소기업들 대거 직원 해고, 생존 위해 몸부림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의 경기가 급격히 둔화하자 중소기업들이 대규모 감원에 나서는 등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1일 보도했다. 시진핑 국가 주석은 지난달 21일 사회 안정을 위해 실업률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의 우려를 반영하듯 최근 중국 중소기업들은 경기가 급강하하자 직원들을 대거 해고하고 있다. ◇ 광둥성에서 해고 집중 발생 : 직원 해고는 중국의 제조업 기지인 광둥성에 집중되고 있다. 광둥성 둥관에서 케이크 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 궈모씨는 2년 전 빚을 내 사업을 확장했다. 그러나 최근 급속한 경기 둔화로 부채 위기에 봉착, 직원을 해고할 수밖에 없다.그는 2년 전 중국 경기가 계속 활황일 것으로 믿고 과감하게 사업 확장을 시도했다. 그는 은행에서 230만 위안(3억8000만원)을 대출해 시내에 지점을 24개로 늘렸다. 또 150명의 직원을 신규로 채용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소비자 심리가 급격하게 하락함에 따라 그의 사업은 확장 전보다 더욱 안좋게 됐다. 그는 2년 만에 직원을 35명으로 줄였고, 지점도 24개에서 9개로 줄였다. 이토록 순식간에 상황이 안좋아진 것은 둥관이 중국 제조업의 기지이고, 미중 무역전쟁의 직격탄을 맞아 많은 제조업 공장이 인력을 감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 제조업체 잇따라 감원 : 둥관의 중소기업들은 업종을 물분하고 큰 고통을 겪고 있다. 예외는 없다. 한 때 잘나가던 인터넷, 온라인 게임 업체 등도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특히 중소 제조업체들은 미국에서 주문이 크게 줆에 따라 창사이후 최고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자업체인 수인전자는 직원을 1만 명에서 2000 명까지 줄였다. 남성 속옷을 생산하는 한 업체는 직원을 600명에서 100명으로 줄였다. 이 회사 사장은 숙련노동자만 남겨두고 비숙련 노동자는 모두 해고했다고 밝혔다. 그는 새 주문이 들어오면 해고한 직원을 재고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첨단 기업들도 된서리 : 제조업뿐만 아니라 한때 가장 잘나가던 인터넷 기업들도 찬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 여행업체인 취나, 인터넷 배달 서비스업체인 메이퇀-디엔핑 등도 감원에 나섰다. 특히 게임 산업은 큰 충격을 받고 있다. 당국이 신규 게임 허가를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게임 산업 한 관계자는 둥관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감원이 진행되고 있으며, 절반까지 감원한 업체가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 농민공이 해고 1순위 : 중국 정부는 실업률이 아직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의 실업률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해 노동을 하고 있는 이른바 ‘농민공’이 제외되기 때문에 사태의 심각성을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농민공은 대부분 몸을 쓰는 비숙련공이기 때문에 이들이 집중적으로 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 제조업 불안 서비스업으로 이어져 : 제조업의 불안은 서비스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위의 케이크 전문점에서 볼 수 있듯 제조업 불안으로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이자 서비스업도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2008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중국도 제조업이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제조업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은 서비스업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도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sinopark@news1.kr https://news.v.daum.net/v/20190211095414174?rcmd=rn&f=m 미ㆍ중 무역전쟁 장기화…다시 주목받는 중국의 빚폭탄 [헤럴드경제=정순식 기자] 미ㆍ중 무역전쟁의 영향으로 중국의 실물경기 둔화가 가시화하면서 부채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경고음이 고조되고 있다. 미ㆍ중 무역전쟁으로 수출이 타격을 받으면서 중국의 제조업 경기둔화 압력이 심화돼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6.6%로 28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다. close포스코경영연구원의 사동철 수석연구원은 ‘다시 부각되는 중국 부채리스크’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미ㆍ중 무역전쟁 영향으로 ‘회색 코뿔소’인 부채리스크가 성장둔화 심화와 맞물리면서 중국발 금융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는 경계심까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GDP 대비 253%에 달할 정도로 막대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기업부채는 총부채 중 가장 높은 비중인 61%를 차지하고 있고, 2018년 6월 말 기준 GDP 대비 155%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가계 및 정부 부채 또한 GDP 비중은 국제기준에서 아직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부채에 대해선 불편한 진실이 존재한다. ▷가파른 부채 증가속도 및 성장둔화 속 부채규모 증가 ▷지방정부의 ‘숨겨진 부채’로 정확한 규모파악 불가 ▷2019년 지방정부의 채권과 부동산개발업체의 채무 만기도래 확대 ▷미ㆍ중 무역전쟁 속 2019년 중국 기업의 회사채 디폴트 증가 전망 등이 부채리스크를 고조시키고 있다. 미ㆍ중 무역전쟁 장기화에 따른 실물경기 둔화 심화가 부동산시장 침체로 이어질 경우 지방정부 및 부동산기업, 가계부문의 연쇄 디폴트 가능성으로 중국발 금융위기 발생 우려가 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올해는 미ㆍ중 무역전쟁의 영향이 가시화하면서 중국 경제의 잠재 위험인 부채리스크의 부각 가능성으로 시장불안감이 확대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만일 미ㆍ중간 무역협상이 결렬될 경우 중국 경제는 경기하강 심화와 기업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신용리스크 확대로 부채위기가 증폭될 우려가 제기된다. 경기부양에 방점을 두는 올해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이 오히려 부채리스크를 확대하는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과 리스크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 연구원은 “경기둔화 심화 시 추가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인하와 적극적 재정확대 과정에서 부채 증가와 재정적자 확대 등 장기 재정건전성의 악화 가능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un@heraldcorp.com 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201000571#Redyho 무역전쟁 후폭풍…中 첨단산업 생산도 ‘암운’ 지난달 산업용 로봇 생산 전년 동월비 12.1% 급감”생산기지 해외이전 우려”…정부보조금 중단은 전기차 생산에 ‘악재’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미국과 무역전쟁 영향으로 중국 경기의 하강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첨단산업 부문의 생산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3일 보도했다. SCMP가 인용한 중국 국가통계국의 2018년 12월 산업생산 통계치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산업용 로봇 생산은 전년 동월과 비교해 12.1% 급감했다. 지난달 스마트폰, 컴퓨터,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집적 회로(IC) 생산량도 전년 동월 대비 2.1% 감소했다.중국 정부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전기차 등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은 지난달 15.5%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달의 24.6%에 비해 성장 폭이 크게 하락한 것이다. 지난달 전반적인 산업생산 증가율도 5.7%로 전달(5.4%)을 제외하고는 연중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중국 정부는 첨단산업 육성 정책인 ‘중국 제조 2025’를 추진하는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지만, 무역전쟁 발발 후 큰 난관을 맞고 있다. 미국과 그 동맹국의 견제로 첨단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해외 선진기업의 인수·합병(M&A)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PC, 자동차 등의 국내외 수요 감소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일부에서는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피해 첨단산업마저 해외로 생산기지를 이전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ING 그룹의 아이리스 팡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 등의 자본투자가 늘어나기를 바라지만, 이들을 제조하는 기업들은 무역전쟁을 피해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 수요가 둔화하는 가운데 전기차 구매에 대한 정부 보조금이 줄어드는 것도 전기차 생산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2025년까지 매년 300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중국 정부는 2009년부터 전기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해왔다. 2014년에는 전기차 한 대당 보조금을 10만 위안(약 1천660만원)으로 늘렸으며, 이때부터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급격히 늘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단계적인 보조금 감축 정책으로 현재 전기차 한 대당 6만 위안(약 1천만원)인 보조금이 내년에는 완전히 중단될 전망이다. 상하이의 자동차 전문가인 앵거스 찬은 “전기차 산업의 성장은 주로 정부 보조금에 의존해 왔지만, 경기 하강을 막기 위해 여러 곳에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중국 정부가 앞으로도 전기차 보조금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ssahn@yna.co.kr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10596539&sid1=001 中 경기 하방 보여준 춘절..”더 썼지만 탄력은 떨어져” [아시아경제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소비 대목인 춘절(2월4~10일) 황금연휴 기간 중국인들의 소비는 여러 ‘기록’들을 남겼지만 탄력이 떨어진 중국 경제 성장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줬다. 10일(현지시간)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춘절 연휴 기간 중국 전역의 소매 및 요식 기업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8.5% 증가한 1조50억위안(약 166조원)을 기록했다. 소매 및 요식 기업 매출액이 1조위안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춘절 연휴 소매 및 요식 기업 매출액은 2017년 8000억위안, 2018년 9000억위안, 2019년 1조위안을 차례로 돌파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1일자 1면으로 춘절 연휴 소비 규모가 처음으로 1조위안을 돌파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다루며 중국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을 부각시키는 모습이다. 신문은 춘절 연휴 생활 물가도 안정적으로 운용됐음을 강조했다. 주요 36개 도시의 쌀, 면류 가격은 춘절 일주일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많이 소비되는 식용유의 가격 역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또 춘절 기간 전국 문화·여행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질서 있으며 양질, 고효율, 문명의 기준을 충족했다고 호평했다. 중국 내 관광객 수는 4억1500만명을 기록, 지난해 춘절 때 보다 7.6% 늘었으며 여행수입은 5139억위안을 기록해 8.2% 증가율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춘절 연휴의 안정적 소비 분위기에 무게중심을 둔 중국 관영언론과는 달리 외부에서는 이번 춘절 소비 통계가 중국 경제의 느려지고 있는 성장 속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올해 춘절 연휴 중국의 소비 규모가 1조50억위안을 돌파하기는 했지만 2018년 보다는 매출 증가율이 1.7%p 낮아졌으며 증가율로만 따지면 2005년 기록을 집계한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내려온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연휴 관광객 수 증가율 역시 지난해 12%에 비해 크게 둔화됐으며 박스오피스 수입 역시 60억위안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깨고 지난해와 비슷한 58억위안 수준에 그쳤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의 설 연휴 소비 통계는 경기침체로 활기를 잃은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평하며 “무역전쟁을 겪고 있는데다 주식, 부동산 등 주요 자산가격 하락 및 기업들의 감원 바람은 주요 쇼핑시즌에 소비 위축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신문은 특히 설 연휴 기간 소비가 얼마나 증가했느냐는 올해 중국 경제 소비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여겨진다며 올해 중국 경제가 녹록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봤다.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한 자본이탈을 염려하는 중국 정부의 고민도 깊다. 중국 최고인민법원은 이달부터 자본이탈 방지를 강화하는 차원으로 불법 환전소 등 ‘지하 은행’을 통해 500만위안 이상을 거래해 중국 자본을 해외로 빼돌리거나 이러한 거래를 통해 10만위안 이상의 이익을 얻는 행위에 대해 5년 이상의 징역형을 내리고 있다. 기존에는 위법자들에게 벌금을 부과하는 수준이었지만 이달부터 5년 이상의 징역형으로 형벌이 더 무거워졌다.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https://news.v.daum.net/v/20190211085414699?f=m “세계 ‘경제 폭풍’ 대비하라” IMF 총재 엄중한 경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글로벌 경기 둔화를 지적하며 각국 정부에 ‘경제적 스톰(폭풍)’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력히 경고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라가르드 총재는 10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정부정상회의’(WGS)에서 “글로벌 경제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느리게 성장하고 있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며 글로벌 경제를 훼손하는 이른바 ‘4대 먹구름’을 거론하며 “구름이 너무 많으면 한 번의 번개만으로도 스톰이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무역 긴장과 관세 인상, 금융긴축,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와 관련한 불확실성,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 가속을 세계 경제의 ‘4대 먹구름’으로 꼽았다. 라가르드 총재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무역전쟁과 관련해 “(무역 긴장은) 이미 세계적으로 타격을 주고 있다”며 무역 긴장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에 주목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것은 그것이 무역과 (경제) 심리, 시장에 이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 정부와 기업, 가계 등의 과도한 부채와 관련해 차입비용 증가에 따른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달에도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뜻은 아니지만 글로벌 성장세의 급격한 하강 위험이 커진 것만은 분명하다”며 각국의 정책 국자들이 과도한 정부 부채를 줄여 경기둔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권고했었다. IMF는 특히 지속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IMF는 앞서 지난달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내놓은 ‘세계 경제 전망’을 통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7%에서 3.5%로 0.2% 포인트 하향조정했다. 당시 IMF는 미·중 무역갈등, 중국 경기 둔화, 영국의 ‘노 딜(No Deal) 브렉시트’ 가능성,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장기화, 동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으면서 “전 세계적인 무역 협력을 지속하고 글로벌 금융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IMF가 이 같이 부정적인 전망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는 것은 미국이 주도하는 보호주의 무역을 견제하려는 것으로도 읽힌다. 2차대전 이후 세계은행과 IMF가 설립된 이래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인이, IMF 총재는 유럽인이 각각 맡아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집권 이후 미국과 유럽 간 동맹관계가 느슨해진 데다 유럽 경제까지 악화되면서 IMF가 주도적으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를 비판하는 역할을 맡게 된 셈이다. 라가르드 총재는 앞서 9일 중동 국가들의 치솟는 공공부채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산유국들이 2014년 유가 급락 쇼크에서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며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쏟아붓는 돈이 “하얀 코끼리”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CNBC방송이 전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부가가치세와 소비세 도입을 포함한 세수와 지출 측면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세수가 줄면서 재정적자 감축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며 “그 결과 산유국의 공공부채는 2013년 GDP(국내총생산)의 13%에서 2018년 GDP의 33%까지 빠르게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현상은 산유국 정부가 사람이나 생산 잠재력을 높이는 데 투자하는 대신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는 ‘하얀 코끼리’ 프로젝트의 유혹을 받고 있는 것이라고 CNBC는 지적했다. 하얀 코끼리는 큰 돈이 들어갔지만 수익성이 없어 애물단지가 돼버린 시설물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 때문에 중동 산유국들은 칠레와 노르웨이 같은 자원 부국들처럼 사회지출 등 우선순위에 속한 부분을 유가 변동으로부터 보호할 재정 규율을 만들어야 한다고 라가르드 총재는 충고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81&aid=0002976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