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손혜원 랜드‘ 내부정보 이용 투기 의혹 확산에 孫의원 “민주당 탈당–국회 문광위원직 사임“
손혜원, 국회의원직 사퇴는 거부하면서 “다시 국회의원 안 나온다”…”SBS등 언론사 고소” 압박
“0.0001%라도 SBS와 언론 얘기에 관련있다면, 사실 밝혀지면 의원직 내려놓겠다”
언론계에 “SBS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까지 200여건 허위사실 유포로 내주 초 고소하겠다”
孫, ‘탈당’아닌 ‘당적 내려놓기’ 고수하기도…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 “당에선 탈당 만류했는데”
목포 문화재거리 내 ‘9채’로 시작, 이후 ‘부동산 25건’으로 확대…대출 동원-쪽지예산 의혹도
2018년 6월 ‘서청원 한국당 탈당’ 때 孫, “탈당? 사퇴가 더 멋질텐데” 언급
전남 목포의 이례적인 ‘문화재 거리(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 전후 친척과 지인들을 통한 부동산 대량매입 정황이 드러나 ‘투기 및 권력형 비리’ 의혹을 받아온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마포구을·초선)이 20일 민주당을 탈당하겠다고 밝혔다.
손 의원은 목포 부동산 매입 과정에서 ‘내부정보 활용 의혹’의 근거였던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광위) 탈당으로 민주당 간사직을 내려놓으면서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문광위에서도 떠나있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각에서 요구하고 있는 국회의원직 사퇴는 거부했다.
이른바 ‘손혜원 랜드’ 논란 관련, 손혜원 의원은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온 국민을 의미없는 소모전으로 몰아갈수는 없다고 생각했다”면서 “당에 더이상 부담을 주지 않고, 제 관련 문제이기 때문에 제 인생을 걸고 관련 문제를 제가 해결하겠다”며 탈당 결정을 밝혔다.
손 의원은 “오늘 제가 이 자리서 제 분신같은 민주당 당적을 내려놓겠다는 생각은 쉽지 않았다”면서 “탈당한다는 단어보다는 당적을 내려놓는다는 단어를 사용해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제기된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 “제가 잘 알고 있는 문화 예술, 전통문화 담당 상임위 활동으로 제 소신껏 제가 꿈꾸던 세상을 위해 일했다”며 “SBS가 저 한 사람을 죽이려한다. 저는 그 이유를 도대체 알 수가 없다. 그래서 SBS를 고발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언론계에는 “제가 0.0001%라도 SBS와 다른 언론들이 하는 이야기에 관련이 있다면 검찰 조사를 통해 그런 사실이 밝혀진다면 그 자리에서 저는 국회의원직을 내려놓겠다”며 “SBS뿐만 아니라 허위사실 유포로 지금까지 기사를 쓴 기자들과 그 기사를 모두 캡쳐해서 200여건을 다음주 초에 바로 고소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등 제가 걸 수 있는 모든 이유를 다 걸어 국회의원 직을 모두 걸고 제 개인의 명예를 위해 고발할 것”이라고 거듭 압박했다.
이날 손 의원의 기자회견장에 동행한 홍영표 원내대표는 “당으로서는 손 의원이 당적을 내려놓겠다는 데 대해서 만류해왔다”면서 “그럼에도 손 의원이 당에 더 이상 누를 끼치면 안되겠다며, 오히려 당적을 내려놓고 최근 제기된 여러 의혹들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리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밝혀왔기 때문에 기자회견이 마련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손 의원은 회견 직후 기자들을 만나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 불출마 방침도 밝혔다.
그는 “제가 국회의원이 된 것은 정치를 하려고 들어온 것이 아니다. 저는 문재인 대통령을 대통령을 만들고, 정권을 바꾸기 위해서 정치를 시작했다. 총선과 대선을 통해 이미 제 역할은 끝났다”면서 “저는 다시 국회의원에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현 시점 의원직 사퇴 여부에 대해선 “현재 지역구 주민들을 위해 지금 국회의원을 사퇴할 수는 없으니, 제가 제일 잘하는 부분을 위해 일하겠다는 것”이라며 사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손 의원은 7개월 전인 지난해 6월20일에는 ‘친박(親박근혜)계 좌장’으로 불리던 서청원 의원의 자유한국당 탈당에 대해 페이스북에서 “탈당? 사퇴가 더 멋질텐데…”라고 평한 전력도 최근 회자되고 있다.
한편 손 의원 관련 의혹은 2018년 8월 목포 구(舊) 도심이 ‘사상 첫’ 면(面) 단위 문화재 지정’된 경위를 둘러싼 것이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이 설정되기 전 손 의원이 국회 문광위에서 문화재청에 ‘목포 목조건물’ 등을 언급하며 문화재 복원 공모사업을 요구하자, 실제로 사업이 이행됐고, 공교롭게도 2017년 3월부터 2018년 9월 무렵까지 손 의원 남자 조카, 여자 조카, 의원실 보좌관 가족, 그리고 남편이 이사장인 크로스포인트 문화재단 명의로 건물이 매입된 정황을 SBS가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당초 손 의원이 일제시대 적산가옥(敵産家屋)을 리모델링한 창성장 등 9채의 건물 매입 및 소유주를 둘러싼 의혹이 제기됐는데, 현재까지 언론의 등기부등본 등 추가취재로 손 의원 측 매입 부동산이 25건(건물 21채와 토지 4건)으로까지 늘어난 상황이다. SBS는 초기 보도에서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 이후 구역 내 땅값이 4배로 치솟았다고 전했는데, 주요 일간지들 추가 취재를 통해서도 땅값 상승폭이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도됐다.
조선일보는 19일 “25건은 근대역사문화공간에서 위치가 좋은 ‘노른자 블록’에 몰려 있다. 손 의원 측이 사들인 건물은 ‘노른자 블록’의 약 30%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특히 ‘사재(私財)를 털어 목포를 살리려 했다’던 손 의원의 주장이 무색하게도 크로스포인트 문화재단 이사장인 남편 정건해씨는 “아내가 은행에서 11억원을 대출받아 7억1000만원을 재단에 기부했고, 그 돈을 목포 부동산 매입에 썼다”고 이 신문에 말했다. 해당 재단이 목포 문화재거리 일대에 매입한 건물 및 토지는 드러난 25건 중 15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손 의원 측이 부동산을 대량 매입한 목포 만호동·유달동 일대에 2017년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쪽지 예산’ 60억원이 편성됐다는 의혹 역시 18일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에 의해 제기된 상황이다. “2018~2020년 ‘목포 근대문화 자원 활용 관광 자원화 사업’ 명목으로 해당 지역에 예산 60억원이 편성됐다”는 주장이다.
한기호 기자 rlghdlfqjs@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김정숙 명의‘ 文대통령 서울 홍은동 사저 매입자는 손혜원 보좌관 출신인 김재준 현 靑행정관
곽상도 의원 “孫의원실에 있던 보좌관이 靑 들어가 金여사와 직접 거래…국회 운영위 열어야”
文 내외 靑으로 이사한지 다섯달 지나 靑 제1부속실 김재준 행정관이 대출받아 매입
19대 국회 文-20대 국회 孫 보좌관 지낸 김 행정관 “거주 목적…이제 와 孫과 엮으니 불쾌”
靑김의겸도 “대응할 가치 못느낀다” 한마디뿐…김 행정관 후임보좌관은 ‘손혜원 랜드’ 연루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명의였던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사저를 현 정권 출범 이후 사들인 청와대 행정관이 제19대 국회 문재인 의원실, 20대 국회 손혜원 의원실에서 잇달아 보좌관으로 근무했던 사실이 밝혀졌다.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대전 중구남구·초선) 측이 최근 공개한 해당 빌라의 ‘등기사항 전부증명서’에 따르면 문 대통령 내외는 2015년 12월17일 김정숙 여사 명의로 2억8500만원에 이곳을 매입했다고 중앙일보는 2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문 대통령 내외는 2017년 5월13일 청와대 관저로 이사하기 전까지 1년 5개월간 거주했다. 이후 해당 빌라는 같은 해 10월13일 김재준 현 청와대 행정관(48)이 3억4000만원을 주고 샀다. 김재준 행정관은 당시 매입자금 일부(채권 최고액 1억6500만원)를 우리은행으로부터 대출받았다.
곽 의원실은 사저를 매입한 김 행정관은 2017년 6월 청와대로 가기 전 손혜원 의원실에서 보좌관으로 일했다고 밝혔다. 그의 이력을 보면, 19대 국회 당시 문재인 의원실에 보좌관으로 근무했고 2016년 4.13 총선 이후 손혜원 의원실로 옮겨 당해 12월까지 있었다.
이후 19대 대선 캠프가 꾸려지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수행팀장을 맡았고 현재는 청와대에서 대통령 직접 보좌를 담당하는 제1부속실 행정관으로 일하고 있다.
곽 의원실 관계자는 “손 의원과 김정숙 여사는 숙명여중·여고 동기”라며 “겉으로 나타난 상황만 요약해 보면 손 의원실에 있던 보좌관이 청와대로 들어가 김정숙 여사와 직접 거래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행정관의 사저 구입 배경과 자금 조달 방식 등을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권 관계자는 이와 관련 “대통령이 살던 공간을 공개 매물로 내놓기엔 애매하다고 봤을 수도 있다”고 짐작했다고 중앙일보는 전했다. 문 대통령이 임기 후 경남 양산 사저로 이사할 예정인데, 그때까지 약 5년간 빈집으로 두기보단 가까운 지인에게 매매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2주택자였던 점도 고려한 조치란 말도 나왔다. 민주당의 한 인사는 “문재인 정부는 1가구 2주택자에 거주하지 않는 집을 매각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며 “이런 정부의 부동산 정책도 대통령의 홍은동 사저 매각에 영향을 줬던 것 같다”고 말했다.
손 의원 측은 이와 관련해 “전혀 모르는 내용이다. 김 행정관에게 확인하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김 행정관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거주 목적으로 샀고 실제 거주 하고 있다”며 “이제 와서 손 의원과 엮으려는 의도가 무엇이냐. 불쾌하고 대응할 가치를 못 느낀다”고 반응했다.
청와대는 21일 오전 김의겸 대변인이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전직 손 의원 보좌관의 홍은동 사저 매입 관련 의혹에 “대응할 가치가 없다”는 입장만 냈다.
한편 김 행정관의 후임 보좌관 격인 손 의원실의 조모 보좌관(52)의 경우 목포 문화재 거리 주변에 가족 명의로 집을 2채 매입해 논란이 되고 있다. 손 의원과 가까운 인사들이 소유한 것으로 추적된 25건의 부동산(건물 21채·토지 4건) 중 조 보좌관의 남편 명의로 된 건물만 유일하게 문화재로 개별 등록된 근대문화유산으로 알려졌다.
조 보좌관의 딸(20)은 손 의원 남자 조카(22), 손 의원 남편이 이사장으로 있는 크로스포인트 문화재단 채모 이사의 딸(23)과 함께 창성장 공동명의자 3인 중 1인이다.
한기호 기자 rlghdlfqjs@pe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孫, 국감서 특정 작가 띄우며 “나전칠기 작품 사라“… 현안마다 입김
[‘손혜원 타운’ 파문]
통영공방 문화재 지정 위해 상임위서만 6번 거론… 결국 지정돼
경남 통영과 전남 목포에 토지와 건물을 갖고 있고, 서울 이태원의 한국나전칠기박물관을 소유하고 있는 손혜원 의원이 국회 의정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개인적 이익과 관련된 정책과 현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과 행동들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직자가 공익과 충돌하는 사적 이익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이익 충돌 금지의 원칙’에 어긋나며 직권남용도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손 의원, 무조건 밀어붙여 불씨 커져”
손 의원은 2016년 9월 ‘누구든지 국가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전승에 중대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는 내용이 포함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당시 손 의원은 경남 통영의 나전칠기 장인 추용호씨 공방을 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해 뛰었다. 이곳에서 차로 5분 거리인 통영시 문화동에 2008년 손 의원이 구입한 대지가 있다.
이 땅은 통영시 소유로 도로 개설을 위해 철거가 결정된 곳이었다. 그러나 당시 손 의원의 주민 면담 기록엔 “추 장인 공방을 상징물로 그 주변에 공원, 공방 등을 세워 사람들이 찾는 곳으로 만들겠다. 집값도 올라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나온다. 통영시 관계자들은 손 의원이 현재 목포와 같은 형태의 나전칠기 단지를 통영에 조성하려 했다고 말했다. 진의장 전 통영시장은 “(손 의원은) 통영 12공방 부활을 제의하고 통영에다 나전칠기 박물관을 만들어주겠다고 말했다”고 했다.
추용호 공방이 문화재로 전격 등록된 과정도 석연치 않다. 손 의원은 2016년 10월 문화재청 국감에서 “건물 짓다 땅에서 유물이 나오면 스톱하지 않느냐, 중요무형문화재인 이분이 땅 파다 나오는 기왓장 쪼가리만도 못하냐”고 따졌다. 손 의원이 국회 상임위에서 2016년 6월에서 2017년 2월까지 통영 소반장 공방 철거 문제를 언급한 것만 6차례에 달한다. 결국 문화재청은 그해 4월 문화재 소유자만이 할 수 있는 문화재 등록 신청을 문화재청장이 직권으로 할 수 있게 시행규칙을 개정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추씨 공방의 보존 가치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2017년 5~6월 두 차례 열린 문화재청 분과회의에서 이곳은 모두 ‘보류’ 결정이 났었다. 그러나 7월 추씨 공방은 문화재로 전격 결정된다. 문화재청 고위 관계자는 “행정이라는 게 절차가 있는데 (손 의원은) 무조건 밀어붙이는 식이었고, 이번(목포)일 역시 그래서 불씨가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국감서 나전칠기 작품 구매 강권도
손 의원은 작년 10월 국립중앙박물관 국정감사에선 자신이 발굴한 장인을 극찬하며 중앙박물관이 현대 나전칠기 작품도 구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의원은 “오○○이라고 무형문화재도 아니고 지방문화재도 아닌 이 사람 작품을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뮤지엄이 샀다. 근현대 나전칠기 작품을 더 늦기 전에 구입하는 것이 박물관의 책무”라고 했다. 오씨는 손 의원이 목포에 마련한다는 나전칠기 공방에 함께 가는 작가로 알려졌다. 손 의원은 2016년 6월에도 국회 상임위에서 황모 작가의 사례를 들며 중앙박물관이 현대 작품을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의원은 2018년 10월에도 국회에서 나전칠기진흥원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박물관 고위 관계자는 “손 의원이 작년 초 나전칠기 관련 책을 한 보따리 싸들고 찾아와서 한 시간 동안 강의하다시피 했다.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피감 기관으로선 압력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야당 “근대역사문화재 예산, 목포가 싹쓸이”
자유한국당은 “작년 8월 ‘근대역사문화재’로 등록된 전북 군산이나 경북 영주에 비해 목포에 예산이 집중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목포의 경우 지역 전체를 문화재로 등록하면서 만호동·유달동 일대 600여 가옥이 통째로 문화재가 된 반면 영주는 ‘거리’를 중심으로 6개 유적만 문화재로 등록됐고, 군산도 개인 소유 토지 중 문화재로 등록된 것은 목포의 2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도 목포에 집중됐다. 영주와 군산에는 각각 연 9억원씩 배정된 반면 목포에는 12배에 달하는 연 110억원이 배정됐다. 한국당은 “문화재청이 군산과 영주는 ‘들러리’ 취급하고 목포만 챙긴 데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1/201901210034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