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은 종교가 공산당 집권에 위협이 된다고 간주하고 종교도 국가화하려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중국의 태도는 친중 노선을 걷고 있는 한국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이러한 때에 교회가 더욱 깨어 중국에 기독교와 종교의 자유를 위해서도 더욱 기도해야 할 때입니다. 중국 내 기독교 핍박은 ‘중국의 종교 국가화 프로젝트’ 일환 중국에서 지난 2년 간 한국인을 비롯한 기독교인 선교사가 대거 추방되고 중국 내 교회에 대한 탄압이 심화된 가운데, BBC는 이것이 2016년 시진핑의 지시로 시작된 중국의 종교 국가화 프로젝트의 일환이며, 이 프로젝트가 기독교뿐 아니라 이슬람교 및 불교에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에서 중국 정부의 기독교 탄압이 지난 2017년 5월 파키스탄에서 있었던 중국 기독교인 순교 사건 이후라는 주장과는 달리, BBC를 비롯한 다수의 외신들 및 차이나에이드(ChinaAid) 등 중국 인권 감시단체들은 중국의 기독교 탄압은 그 사건과 무관하게 이전부터 이미 추진되어 온 ‘국가 프로젝트’임을 명백히 했다. BBC의 최근 보도(https://www.bbc.com/turkce/haberler-dunya-46803600)와 차이나에이드의 보고들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이 집권한 2013년 이후 종교 탄압이 진행되어 왔는데, 특히 2016년 시진핑 주석이 종교에 대한 회의를 진행한 후 “종교의 중국화”가 가속화됐다. 시 주석은 이 회의에서 종교인들은 나라를 사랑해야 하며 나라를 위해 공산당의 지도를 적극적으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BBC는 지난 수년 간 중국 정부에 의해 ‘기독교의 중국화’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실행 중이며, 이 계획에는 사회주의에 대한 찬사 및 시진핑 중국 주석의 이론을 설교에서 가르칠 것과 중국 건축 양식에 따른 교회 건설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중국인 인권 감시단체 차이나에이드(ChinaAid)의 대표 밥 푸(Bob Fu) 목사는 “현재 중국 정부의 교회와 기독교인 탄압은 문화대혁명 이래로 최고 수위”이며, “핍박사례는 해마다 늘어 2015년 643건에서 2016년 762건으로 늘었고, 2017년 2월 신종교사무조례 발효 이후로는 핍박이 노골화되었으며, 2018년에는 전방위적인 거센 핍박이 있었다”고 전했다. 밥 푸 목사는 중국에서의 핍박의 형태에 대해, 교회 폐쇄, 십자가 철거, 교회 재산 몰수, 수천 명의 지도자를 포함한 기독교인 체포, 교회 지도자의 누명과 실종, 기독교인들을 변호하는 인권 변호사들의 체포, 구금, 실종, 의문의 죽음, 성경말씀의 중국화, 성경 판매 중지, 학교 내 종교활동 금지, 기독교인의 해외 활동 금지 등 광범위하고 전방위적인 종교 탄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난 해 말에는 중국의 대형 지하교회 지도자 및 성도들 100여 명이 체포되는 등 박해의 수위가 매우 높다고 했다. BBC에 따르면, 종교적 신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중국 정부의 ‘종교의 중국화’ 정책은 기독교에 이어 이슬람교에도 강하게 적용되고 있다. BBC는 중국 정부가 지난 해 이슬람교도인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민 100만 명을 구금하고, 200백만 명 이상에게 정치 재교육을 시킨 혐의로 UN 등 국제 사회의 강한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올해 1월 초에는 중국 공산당 당국자와 8개 지역의 이슬람 단체 대표들이 회담을 갖고, 중국 사회주의와 이슬람을 일치시키기 위한 5개년 계획을 채택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작년에도 이와 비슷한 ‘기독교의 중국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기독교의 중국화 계획에는 기독교 외적 요소들과 서구의 멍에로부터 ‘중국 기독교’가 정화될 것이라고 언급되어 있으며, 이는 해외 선교사들의 추방과도 연결되어 있다. BBC는 이슬람에 대한 계획도 이와 유사한 관행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가까운 시일 내에 동일한 계획이 불교권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윤지언 기자] 2019-01-14 @15:32http://www.missiontoday.co.kr/news/8096 WP “시진핑, 신앙에 국가 도장 찍으려해” 종교탄압 비판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6일(현지시간)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끄는 중국은 신앙에도 국가의 고무도장을 찍으려 하고 있다”며 중국의 강도 높은 종교탄압을 보도했다. WP는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5대 종교 즉 불교, 가톨릭, 개신교, 도교, 이슬람교가 시 주석 집권 이후 가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 시 주석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유례를 찾기 어려운 방식으로 민족주의를 조장하며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강요하고 있다고 알렸다. 특히 1,300만명에 달하는 위구르족 이슬람교도들이 거주하는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 중국 정부는 이슬람교에 대해 강도 높은 탄압을 가하고 있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가 지난주 펴낸 117쪽의 보고서에 따르면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종교적 제약과 집단 감시는 더욱 악화하고 있다. 100만명가량의 이슬람교도들이 ‘재교육 수용소’에 구금당한 채 세뇌교육을 받으며, 고문을 포함한 학대를 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불교와 도교는 종교적인 조형물을 세우거나 새로운 상업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 금지됐다. 중국 불교의 성지이자 소림무술로 알려진 허난성 덩펑시의 소림의 경우 지난달 495년 건립 이래 최초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게양식을 갖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종교의 중국화’를 목표로 ‘종교사무조례’를 시행하며 종교 간섭을 극대화했다. 지난 3월에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기독교 중국화 5개년 계획’을 선포했다. 이후 중국 정부는 국가의 공인을 받지 않은 가톨릭 ‘지하교회’와 개신교 가정교회에 대한 강도 높은 압박을 가했다. 개신교의 경우 중국 정부는 관영 ‘삼자(三自) 애국교회’만을 공인하지만, 중국 전역에 ‘가정교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많은 교회가 있다. 가톨릭의 경우도 중국 정부는 천주교 애국회 소속 교회만을 공인하지만, 로마 교황청을 따르는 수많은 지하교회 신도들이 있다. 이에 중국 당국은 교황청과 중국 내 주교 임명권 문제를 둘러싼 협상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 지하교회들에 대한 폐쇄 조치를 취하고 있다. 특히 개신교 가정교회에 대해 강력하게 탄압하고 있다. 최근 들어 남부 광둥성에서 북부 헤이룽장성에 이르기까지 중국 전역에서 수많은 개신교 가정교회들이 중국 당국에 의해 강제로 문을 닫았다. 홍콩의 명보(明報)는 지난 6일 자 기사에서 허난성 당국이 교회 4,000여 곳의 십자가를 강제로 철거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허난성 당국은 가정교회나 지하교회 뿐 아니라 당국의 공인을 받은 삼자 애국교회의 십자가까지 철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WP는 지난 2주간 약 279명의 목사가 교회에 시 주석의 초상화를 내걸고 공산당의 노래를 부르도록 강제하는 중국 공산당 지침에 반대하는 공개서한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중국 종교문제 전문가인 캐리 코에셀 노트르담대 교수는 “시 주석이 종교에 대항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 센터는 종교를 믿는 중국인은 공산당원보다 4배 많다고 밝혔다. 퓨리서체 센터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원은 약 9,000만 명이지만 기독교 인구만 7,000만 명에 달한다. 또한, 기독교도는 중국 인구의 5%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불교를 믿는 사람이 18%,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은 2%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코에셀 교수는 “이들 종교 가운데 일부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정부를 매우 긴장하게 하고 있다”면서 “그것은 그들이 국가에 도전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국가가 종교를 실존하는 위협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물론 중국 정부는 종교 탄압을 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중국 외교부는 다른 민족 집단과 종교의 ‘조화로운 공존’을 보장하고 있다고 역설한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1995년에도 달라이라마의 후계자인 판첸 라마의 계승 과정에 개입해 10대 판첸라마의 사후, 11대로 지목된 6세 소년 겐둔 치에키 니마를 구금하고, 부모가 공산당원인 기알첸 노르부란 소년을 판첸 라마로 내세운 바 있다. 이에 티베트 망명정부를 이끌고 있는 달라이 라마가 지난 2014년 9월에 더 이상 환생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중국 정부의 티베트 문제 담당 주웨이췬이 2015년 4월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달라이 라마 환생 여부는 현재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가 결정할 일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달라이 라마의 환생을 비롯한 혈통 단절과 지속을 결정하는 권한은 중국 중앙정부에 있다”고 주장하며 종교 간섭을 시도한 사례를 볼 때 중국의 종교 탄압 여부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S4O7HYCC7/GF01 中 극에 달한 종교 통제…4천여 교회 십자가 철거 당국의 통제 강화…몸살 앓는 ‘가정교회’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베이징(北京) 최대 ‘가정교회’인 시온교회가 중국 당국의 방해로 임차기간을 연장하지 못했고, 이슬람 사원과 불교 사찰에 대한 압력도 강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FT에 따르면 시온 교회는 8월 19일 임차기간이 만료됐으나 지난 건물로부터 퇴거를 거부하고 있다. 이 교회의 에즈라 진 목사는 건물주와 교회 성도들이 당국의 압력을 받아 교회의 임차기간 연장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회를 통제하려는 당국 입장은 더 강해졌다”면서 교회를 폐쇄하지 않고 버티겠다고 밝혔다.최근 몇 달새 교회는 공안으로부터 지속적인 해산 강요도 받았다. 성도에게는 교회에 계속 다니면 임대 아파트에서 쫓겨나거나 직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압력을 가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종교활동은 국가 통제를 받는 교회에서만 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관영 ‘삼자(三自) 애국교회’만을 공인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 전역에 당국의 공인을 받지 못한 ‘가정교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교회가 대다수라는 것이다.<중국의 영혼들: 마오쩌둥 이후 신앙으로의 회귀>의 저자인 이안 존슨은 “이것(공인받지 않은 종교단체에 대한 탄압)은 시진핑의 중국에서는 전형적인 현상”이라면서 “종교는 전임자 시대보다 훨씬 더 회의적으로 취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늘고 있는 기독교인들…中 “권위 약화 우려”이러한 당국의 압력은 시온교회 뿐 아니라 중국 전역의 비공인 가정교회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홍콩 명보는 중국 허난(河南) 성 정부가 종교 탄압을 강화하면서 성내 교회 4천여 곳의 십자가가 최근 무더기로 철거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허난 성 난양(南陽), 융청(永城) 등 성 곳곳의 교회에서는 수십여 명의 사법집행요원들이 들이닥쳐 십자가를 철거하고, 예배당 집기를 모두 압수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십자가 철거는 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가정교회뿐 아니라 공인을 받은 삼자교회에서도 자행되고 있다. 허난 성의 한 목사는 “당국은 교회 안에 국기와 시진핑 초상화를 내걸고, 사회주의 가치관을 내용으로 하는 선전화를 붙일 것을 요구한다”며 “이를 어기는 교회는 아예 폐쇄된다”고 전했다.중국 당국이 이처럼 종교단체를 탄압하는 이유는 이들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중국 공산당의 권위가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현재 가정교회나 가톨릭 지하교회에 다니는 기독교인들은 최소 3천만 명에서 최대 5천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한 전문가는 “중국 가정교회는 변하고 있다”면서 “경영인, 화이트칼라 노동자, 지식인 계층이 점점 더 많이 가정교회에 다니고 있다”며 “가정교회의 성도들은 빈곤퇴치, 재난구호, 어린 학생들을 위한 기부 등과 같은 자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들의 활동은 중국 공산당의 사회에 대한 권위를 상쇄시키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중국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종교의 중국화’를 목표로 종교 통제를 강화하는 내용의 ‘종교사무조례’를 시행했다. 지난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는 ‘기독교 중국화 5개년 계획’을 결의했으며, 이에 따라 각 지방 정부는 지역 내 신자와 교회 수를 줄이고 가정교회를 정리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 7월 말에는 전국종교단체연석회의가 종교활동 장소에 국기를 내걸 것을 결의하기도 했다. http://m.goodnews1.com/news_view.asp?seq=82754 중국당국, 이슬람교 중국화 5개년 지도계획 추진…반발 가능성 고조 중국에서 사회주의 가치관에 맞춰 이슬람교를 중국화 하는 5개년 계획이 추진된다. 시진핑 지도부의 의향을 받은 중국이슬람교협회가 계획을 만들어 각지에 전달했고 머지않아 개요를 공표할 전망이라고 7일자 환구시보(영어판)가 전했다. 시진핑 지도부는 그동안 공산당의 지도보다는 신앙을 중시하기 쉬운 종교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 왔다. 이슬람교도가 많고 독립적인 움직임도 있는 신장 위구르자치구에서는 재교육시설을 만들어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협회 측은 “이슬람의 신앙이나 관습은 바꿀 수 없다”고 말하고 있어 종교에의 새로운 압력에 대한 반발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이 신문이나 협회의 발표에 의하면 계획기간은 지난해부터 2022년까지의 5년간으로 시 지도부가 제창하는 “신시대의 중국의 특색 있는 사회주의 사상”을 철저히 해 당의 지도에 따르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신자들이 모이는 모스크에서 중국의 법과 사회주의 가치관을 가르치는 강좌를 개설하거나, 모범적인 이슬람 신도의 사연을 전달해 이슬람교도를 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위한 .교재도 사용된다고 한다. 이에 앞서 5일에는 베이징에서 당 간부들도 참석한 가운데 협회회의가 열렸다. 베이징, 상하이, 광둥, 칭하이, 네이멍구를 포함한 8개 시·성·자치구의 협회의 대표가 논의한 결과 계획의 기본정책을 승낙 각지에 전달했다고 하고 있다. 최근 기독교에도 이와 비슷한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김경수 편집위원 ggs077@g-enews.com http://www.g-enews.com/view.php?ud=2019010800172727919ecba8d8b8_1 |